"윤의(尹顗)"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1602년(선조 35) [[성균관(成均館)]][[사예(司藝)]]에 임명되었고, 1603년(선조 36) 사간원 [[정언(正言)]]으로 옮겼다가, 사헌부 [[장령(掌令)]]으로 승진하였다. 1604년(선조 37) [[종묘서(宗廟署)]][[영(令)]]으로 전임되었다가, [[통례원(通禮院)]][[찬의(贊儀)]]를 거쳐 예빈시(禮賓寺) [[부정(副正)]]이 되었다. 그때 [[춘추관(春秋館)]][[편수관(編修官)]]을 겸직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하는 데에 참여하였다. 1605년(선조 38) 세자시강원 [[필선(弼善)]]이 되었다가, 병조 [[참의(參議)]]가 되었다.(『선조실록』 참고.) | 1602년(선조 35) [[성균관(成均館)]][[사예(司藝)]]에 임명되었고, 1603년(선조 36) 사간원 [[정언(正言)]]으로 옮겼다가, 사헌부 [[장령(掌令)]]으로 승진하였다. 1604년(선조 37) [[종묘서(宗廟署)]][[영(令)]]으로 전임되었다가, [[통례원(通禮院)]][[찬의(贊儀)]]를 거쳐 예빈시(禮賓寺) [[부정(副正)]]이 되었다. 그때 [[춘추관(春秋館)]][[편수관(編修官)]]을 겸직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하는 데에 참여하였다. 1605년(선조 38) 세자시강원 [[필선(弼善)]]이 되었다가, 병조 [[참의(參議)]]가 되었다.(『선조실록』 참고.) | ||
− | 광해군 시대 [[대북(大北)]]의 정인홍(鄭仁弘) 등이 그가 연산군의 외조부 윤기무의 5세손이라고 하여 질시(疾視)하였기 때문에 현달(顯達)하지 못하고 한직(閒職)에 머물렀는데, 1618년(광해군 10) 정인홍·이이첨( | + | 광해군 시대 [[대북(大北)]]의 정인홍(鄭仁弘) 등이 그가 연산군의 외조부 윤기무의 5세손이라고 하여 질시(疾視)하였기 때문에 현달(顯達)하지 못하고 한직(閒職)에 머물렀는데, 1618년(광해군 10) 정인홍·이이첨(李爾瞻)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위하자는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고 <정청(庭請)>을 전개할 때 호군윤의가 이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러나 그가 바라던 대로 현달한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1618년(광해군 10) 병으로 돌아가니, 향년이 62세였다.(『월사집(月沙集)』 권 47 「통정대부 분병조참의 윤공의묘갈명(通政大夫分兵曹參議 尹公顗墓碣銘」 참고. 이하 「묘갈명」이라 약칭.) |
=='''성품과 일화'''== | =='''성품과 일화'''==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묘소와 후손'''== | =='''묘소와 후손'''== | ||
− | 묘소는 경기도 양주(楊州) 불암산(佛巖山) 아래에 있는데, 월사(月沙)이정귀( | + | 묘소는 경기도 양주(楊州) 불암산(佛巖山) 아래에 있는데, 월사(月沙)이정귀(李廷龜)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 있다.(『월사집(月沙集)』 권 47 「통정대부 분병조참의 윤공의묘갈명(通政大夫分兵曹參議 尹公顗墓碣銘」) |
− | 부인 진주정씨(晉州鄭氏)는 현감정인덕(鄭麟德)의 딸인데,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다. 아들은 윤우진(尹又進)이고, 딸은 사헌부 감찰(監察)이정남( | + | 부인 진주정씨(晉州鄭氏)는 현감정인덕(鄭麟德)의 딸인데,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다. 아들은 윤우진(尹又進)이고, 딸은 사헌부 감찰(監察)이정남(李井男)의 처가 되었다.(「묘갈명」 참고.)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8년 1월 9일 (화) 22:52 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윤의 |
한글표제 | 윤의 |
한자표제 | 尹顗 |
분야 | 정치·행정가/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선조~광해군 |
집필자 | 윤경수, 이현숙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윤의(尹顗) |
총론
[1557년(명종 12)∼1618년(광해군 10) = 62세]. 조선 중기 선조~광해군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병조 참의(參議)이다. 자는 정보(靜甫)이다. 본관은 함안(咸安)이고, 주거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순천 군수(順天郡守)윤세형(尹世亨)이고, 어머니 함종 어씨(咸從魚氏)는 참찬(參贊)어계선(魚季瑄)의 딸이다. 연산군의 외조부 윤기무(尹起畝)의 5세손이다.
선조~광해군 시대 활동
1583년(선조 16) 정시(庭試)문과(文科)의 을과(乙科)에 급제하였는데, 그때 나이가 27세였다. 1601년(선조 34) 호조 좌랑(佐郞)이 되었는데, 사헌부에서 탄핵하기를, “호조는 나라의 재용(財用)을 관리하는 곳이므로 낭료(郞僚)가 되는 자는 진실로 강직하고 분명하며 근면한 사람이 아니면 그 직임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호조 좌랑윤의는 위인이 용렬하여 전곡(錢穀)을 출납하는 직임에 합당하지 못하니, 체차하소서.” 하니, 선조가 체차하라고 명하였다.(『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 34년 4월 29일조 기사 참고) 그때 집권한 사림파(士林派)는 그가 연산군의 외조부 윤기무의 5세손이라고 하여 미워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1602년(선조 35) 성균관(成均館)사예(司藝)에 임명되었고, 1603년(선조 36) 사간원 정언(正言)으로 옮겼다가, 사헌부 장령(掌令)으로 승진하였다. 1604년(선조 37) 종묘서(宗廟署)영(令)으로 전임되었다가, 통례원(通禮院)찬의(贊儀)를 거쳐 예빈시(禮賓寺) 부정(副正)이 되었다. 그때 춘추관(春秋館)편수관(編修官)을 겸직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하는 데에 참여하였다. 1605년(선조 38) 세자시강원 필선(弼善)이 되었다가, 병조 참의(參議)가 되었다.(『선조실록』 참고.)
광해군 시대 대북(大北)의 정인홍(鄭仁弘) 등이 그가 연산군의 외조부 윤기무의 5세손이라고 하여 질시(疾視)하였기 때문에 현달(顯達)하지 못하고 한직(閒職)에 머물렀는데, 1618년(광해군 10) 정인홍·이이첨(李爾瞻)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위하자는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고 <정청(庭請)>을 전개할 때 호군윤의가 이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러나 그가 바라던 대로 현달한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1618년(광해군 10) 병으로 돌아가니, 향년이 62세였다.(『월사집(月沙集)』 권 47 「통정대부 분병조참의 윤공의묘갈명(通政大夫分兵曹參議 尹公顗墓碣銘」 참고. 이하 「묘갈명」이라 약칭.)
성품과 일화
성품이 과묵하고 행동이 신중하였다. 집안에서 행동이 순수하여 자상하여 형이 죽은 뒤에 그 아들을 거두어 자기 아들보다 더 소중하게 기르자, 향당(鄕黨)에서 그 의로운 행위를 칭찬하였다. 그는 말이 적은 것을 옳게 여기고 남과 교유(交遊)하기를 즐기지 않았으며, 자기 뜻과 맞지 않으면, 영욕(榮辱)과 이해(利害) 때문에 그 지키는 지조를 바꾸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는 평생 한산한 부서(部署)에서 하는 일 없이 지내다가, 만년에 가서 친구가 전조(銓曹)를 맡아서 그를 끌어주어 청요직(淸要職)에 올랐다. 사헌부 정언·사헌부 장령·세자시강원 필선 등이 되었으나, 다만 분수대로 직무에 응했을 뿐이고, 자기 자신이 남들과 어울려서 출세하기를 구하지 않았으므로, 종신토록 벼슬이 크게 현달(顯達)하지 못하였다.(「묘갈명」 참고.)
1618년(광해군 10) 1월 우의정한효순(韓孝純)이 당상관 가운데 연원 부원군(延原府院君)이광정(李光庭), 중추부 행 지사박홍구(朴弘耉), 행 호군정광성(鄭廣成)·이위경(李偉卿)·이여검(李汝儉)·윤의 등을 이끌고, 의정부 사인(舍人)유충립(柳忠立)·정광경(鄭廣敬)이 당하관의 많은 사람들을 이끌고, 정청하여 폐모론을 적극 주장하였다.(『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광해군 10년 1월 4일조 참고.)그때 부사과(副司果)윤의는 주장하기를, “임금에게 아뢰기 어려운 일이 있으면 대신들이 이를 전담하여 종묘사직을 편안하게 할 일이고, 위태로운 화(禍)가 조석(朝夕)에 박두하면 대신들이 당연히 진정시켜야 할 일인데, 어찌 지금 신하들로 하여금 분분하게 수의(收議)하게 하여, 마치 길가에서 집을 짓는 듯이 시끄럽게 합니까.” 하였다.(『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 권3 「정사년에서 무오년 정월까지」 참고.) 윤의는 윤기무의 5세손으로서 성종 때 폐비된 연산군의 생모 윤씨가 바로 그의 조상이었다. 그러므로 그의 증조부 윤지청(尹之淸)·조부 윤림(尹霖)·아버지 윤세형 등이 모두 출세하지 못하였으므로, 이때 그가 폐모론을 적극 주장하고 나섰던 것이다.
묘소와 후손
묘소는 경기도 양주(楊州) 불암산(佛巖山) 아래에 있는데, 월사(月沙)이정귀(李廷龜)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 있다.(『월사집(月沙集)』 권 47 「통정대부 분병조참의 윤공의묘갈명(通政大夫分兵曹參議 尹公顗墓碣銘」)
부인 진주정씨(晉州鄭氏)는 현감정인덕(鄭麟德)의 딸인데,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다. 아들은 윤우진(尹又進)이고, 딸은 사헌부 감찰(監察)이정남(李井男)의 처가 되었다.(「묘갈명」 참고.)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
- 『백사집(白沙集)』
- 『상촌집(象村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월사집(月沙集)』
- 『구전집(苟全集)』
- 『양와집(養窩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