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軫星)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 별자리인 28수(宿) 가운데 28번째 별자리[宿].

개설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28수가 방위에 따라 네 가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여겼다. 진성(軫星)은 그중에서 남방 주작(朱雀)에 속하는 일곱 별자리 가운데 마지막 일곱째 별자리로서 주작의 꼬리에 해당한다. 진성은 서양 별자리로는 까마귀자리를 이루는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밤하늘에는 늘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붙박이별[恒星]들과 그 붙박이별을 배경으로 늘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해와 달, 그리고 오행성 등의 태양계 천체들이 있다. 이들 태양계 천체들은 밤하늘에서 주로 황도(黃道)를 따라 운행한다. 그래서 태양계 천체들의 위치를 기술할 때 황도 주위에 별자리들을 정해두고 그 별자리들에 대한 상대 위치로 기술하면 편리하다. 이와 같은 동기로 서양 천문학에서는 황도 12궁을 지정하였고, 중국에서는 28수를 지정하였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왜 28개의 별자리를 정하였는지에 대해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그중 유력한 설은, 달의 운행 주기인 항성월을 기준으로 했다는 설이다. 1항성월은 약 27.32일이기 때문에, 황도 주변에 27개나 28개의 별자리를 정해두면 매일 변하는 달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28수를 이루는 28개의 별자리들을 각 계절별로 7개씩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주로 봄과 초여름 밤에 보이는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는 청룡(靑龍)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여름과 가을철에 보이는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은 현무(玄武)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가을과 겨울에 보이는 규(奎)·누(婁)·위(胃)·묘(昴)·필(畢)·자(觜)·삼(參)은 백호(白虎)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겨울에 보이는 정(井)·귀(鬼)·유(柳)·성(星)·장(張)·익(翼)·진(軫)은 주작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했다.

단원자(丹元子)의 『보천가(步天歌)』에는 “네 별이 장성(張星)을 닮았고 익성(翼星)과 서로 가깝다.” 하고 노래했다. 마름모의 양쪽에 별이 붙어 있는 모습이 장성을 닮았기 때문에 이런 표현이 나왔다. 진성의 좌우에는 좌할(左轄)과 우할(右轄)이라는 별이 하나씩 붙어 있는데 이것은 진성을 수레로 보기 때문에 수레의 부속품을 나타내는 별들을 만들어놓은 것이다. 또한 네모꼴 가운데에 장사(長沙)라는 별이 있다. 좌할·우할·장사는 모두 진성과 관련된 보관부좌(輔官附座)들이다.

진성은 서양 별자리로는 까마귀자리의 주요 별들로 구성되어 있는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의 기준별인 거성(距星)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성도(星圖)에는 ‘σ Hya(시그마 바다뱀자리)’라는 별로 되어 있으나, 중국 별자리 체계에서는 당나라 때 ‘ρ Hya(로 바다뱀자리)’로 제정되어 오늘날까지 쓰이고 있다.

조선시대의 천문학자들은 별점을 칠 때 일반적으로 『천문류초(天文類抄)』를 참고하였다. 이 『천문류초』는 송(宋)나라의 정초(鄭樵)가 편찬한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을 저본으로 하고 『송사(宋史)』「천문지(天文志)」에서 내용을 보충한 것이다.

『통지』「천문략」에서는 진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감덕(甘德)이 이르기를 ‘진성은 일곱 별로 이루어졌는데, 장군(將軍)·악부(樂府)·가환(歌讙) 등의 일을 주관한다. 오행성이 진성을 침범하면 왕이 자리를 잃어 나라를 버리고 여자가 정사를 주관하며 백성들은 직업을 잃고 도적 패거리가 백성들을 노략질하게 되는데, 재앙이 100일 이내에 생길 것이다. 만약 별들이 밝고 크면 천하가 번창하고 만백성이 건강하며 사해(四海)가 왕에게 귀의할 것이다.’ 하였다. 장형(張衡)이 이르기를 ‘진성은 총재(冢宰)요 보좌하는 신하[輔臣]이니, 수레와 말 타는 것을 주관한다. 진성을 이루는 별들이 밝고 크면 차기(車騎)를 쓰게 된다. 일설에는 밝고 크면 차기가 움직이게 된다.’ 하였다. 『수서(隋書)』「천문지(天文志)」에 이르기를 ‘재임(載任)을 주관하니, 군대의 출입이 있을 때는 반드시 진성에서 점을 친다. 또한 사망과 상사(喪事)를 주관하니, 밝으면 거가(車駕)가 갖추어질 것이고, 동요하면 거가가 쓰일 것이며, 별들이 이탈하거나 옮겨가면 천자(天子)에게 우환이 생길 것이다. 별들이 모여들면 병란이 크게 일어날 것이다.’ 하였다.”

『송사』「천문지」에서는 “화성이 진성을 침범하면 난병(亂兵)이 있고, 화성이 진성에 들어가면 장군이 반란을 일으키며 수해가 곡식을 해치고 백성들이 요사스러운 말을 많이 할 것이다. 화성이 진성에서 역행하면 화재나 병란이 일어날 것이다. 금성이 진성을 침범하면 병란이 일어날 것이다. 수성이 진성을 침범하면 백성들이 전염병에 걸리고 대신(大臣)이 우환이 있을 것이다. 수성이 진성에서 그 자리를 지키면 홍수가 날 것이고, 수성이 진성에 들어가면 천하가 불 때문에 근심이 있을 것이다. 객성(客星), 혜성(彗星), 패성(孛星), 별똥별[流星]이 진성을 침범하면 병란이 일어나거나 상사가 일어날 것이다.” 하였다. 여기서 침범한다[犯]는 것은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의미하며, 지킨다[守]는 것은 들어가서 오랫동안 있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일반적으로 ‘진성’과 ‘진수(軫宿)’라고 표현되어 있다. 진성은 주로 별똥별을 서술할 때 사용되며, 진수는 혜성 등의 위치를 입수도(入宿度)로 나타낼 때 사용되었다. 진성으로 표현된 예로는 별똥별이 진성에서 나와서 고루성(庫樓星)으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바리때[鉢] 같았고 꼬리 길이는 10척(尺) 정도였다는 기록이 있다(『성종실록』 19년 3월 24일). 『조선왕조실록』에는 ‘진수’로 표현된 경우도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밤에 혜성이 진수에 나타났는데, 점점 진수의 밖으로 나가면서 점차 우할성(右轄星)으로 향하였다는 기록이 있다(『현종실록』 5년 10월 24일).

참고문헌

  • 『통지(通志)』 「천문략(天文略)」
  • 『송사(宋史)』 「천문지(天文志)」
  • 『보천가(步天歌)』
  • 『천문류초(天文類抄)』
  • 안상현,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별자리』, 현암사, 200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