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윤(裵閏)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배윤 |
한글표제 | 배윤 |
한자표제 | 裵閏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태종~세종 |
집필자 | 정일영 |
출신 | 양반 |
성별 | 남 |
출생 | 미상 |
사망 | 1422년(세종 4) |
본관 | 성주(星州) |
주거지 | 서울, 성주 |
증조부 | 배용성(裵用成) |
조부 | 배진손(裵晉孫) |
부 | 배규(裵規) |
모_외조 | 수원 김씨(水原金氏) : 김승득(金承得)의 딸 |
형제 | (동생)배한(裵閑) |
처_장인 | 수성 나씨(壽城羅氏) : 나상지(羅尙之)의 딸 →(자녀)1남 |
자녀 | (1자)배추(裵樞)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배윤(裵閏)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14년 1월 10일, 『태종실록』 14년 1월 19일, 『태종실록』 14년 2월 13일, 『태종실록』 17년 윤5월 26일, 『태종실록』 17년 6월 11일, 『세종실록』 4년 9월 23일, 『세종실록』 4년 12월 24일, 『세종실록』 8년 8월 16일 |
총론
[?~1422년(세종 4) = ?]. 조선 전기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병조 좌랑(佐郞), 승정원(承政院)주서(注書) 등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거주지는 서울과 성주이다. 아버지는 고려 후기 홍문관(弘文館)직제학(直提學) 및 사간원(司諫院) 직제학 등을 지낸 배규(裵規)이고, 어머니 수원 김씨(水原金氏)는 고려 후기 집의(執義) 및 좌부대언(左副代言)을 역임한 김승득(金承得)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고려 후기 공조판서(判書)를 지낸 배진손(裵晉孫)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고려 후기 추밀원사(樞密院使)를 지낸 배용성(裵用成)이다. 주로 간관(諫官)의 역할을 맡았으나, 탄핵이나 파직을 당하는 등의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태종~세종 시대 활동
1411년(태종 11)에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방목(榜目)』] 1414년(태종 14)에는 병조 좌랑을 역임 중이었는데, 김숭(金崇)을 잘못 천거했다 하여 탄핵을 받기도 했다.(『태종실록』 14년 1월 10일) 결국 파직되었는데, 그때의 이유는 “종묘제(宗廟祭)의 대축(大祝)이 되어 희생(犧牲)을 이끌고 주방(廚房)으로 나아가지 않았고, 또 희롱하여 웃고 불경(不敬)하였다”는 것이었다.(『태종실록』 14년 1월 19일) 그러나 태종의 명에 의해 면죄를 받았다.(『태종실록』 14년 2월 13일) 이후 1416년(태종 16)에는 승정원 주서를 제수 받았고,[『당후선생안(堂后先生案)』] 이듬해에는 사헌부(司憲府)헌납(獻納)이 되었다.(『태종실록』 17년 윤5월 26일) 이때에도 무고 등의 이유로 의금부(義禁府)에 갇히는 고초를 겪기도 했다.(『태종실록』 17년 6월 11일) 세종 때에는 사헌부 장령(掌令)을 거쳐 직집현전(直集賢殿)까지 올랐다. 얼마 후 세상을 떠나자 임금이 관(棺)과 쌀 10석, 종이 70권을 부의로 하사했다.(『세종실록』 4년 9월 23일),(『세종실록』 4년 12월 24일)
성품과 일화
부인 수성 나씨(壽城羅氏)는 배윤이 죽었을 때 머리를 깎고 3년 동안 무덤을 지켰으며, 상례와 장례를 불교식이 아닌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지냈다 하여 정려(旌閭) 받았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세종실록』 8년 8월 16일) 아버지 배규가 청요직에 오른 것에 이어 배윤과 동생 배한(裵閑)도 간관(諫官)에 올랐고, 아들 배추(裵樞) 또한 사간원 좌헌납(左獻納)이 되어 집안이 귀현(貴顯)으로 이름이 높았다 한다.[『성산인물지』(星山人物誌)]
묘소와 후손
부인 수성 나씨는 나상지(羅尙之)의 딸로, 1남인 배추를 두었다. 배추는 1411년(태종 11) 아버지 배윤이 식년문과에 급제할 때, 사마시에 합격하여 집안의 이름을 드높였다.
참고문헌
- 『태종실록(太宗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 『당후선생안(堂后先生案)』
- 『성산인물지』(星山人物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