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명(朴錫命)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370년(고려 공민왕 19)~1406년(조선태종 6) = 37세]. 고려 말 우왕~조선 초기 태종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의정부(議政府)지사(知事)이고, 봉작(封爵)은 평양군(平陽君)이다. 호는 이헌(頤軒)이고, 본관은 순천(順天)이다. 조부는 평원부원군(平原府院君)박천상(朴天祥)이고, 아버지는 밀직부사(密直副使)박가흥(朴可興)이며, 어머니 정씨(鄭氏)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정을보(鄭乙輔)의 딸이다.

고려 우왕~조선 정종 시대 활동

박석명은 나이 16세 때인 1385년(우왕 11)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요직(淸要職)에 임명되었으며, 22세 때인 1391년(공양왕 3)에는 우부대언(右副代言)이 되었다. 그러나 고려가 망하고 1392년(태조 원년) 조선이 건국된 후, 그는 고려 공양왕의 아우인 귀의군(歸義君)왕우(王瑀)의 사위인 까닭에 8년 동안 침폐(沈廢)해 있었다.

1399년(정종 1) 정종이 고려의 구신들을 등용하면서, 그는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가 되고, 그 해 9월 안주목사(安州牧使)가 되었다. 1400년(정종 2) 9월에는 도승지(都承旨)가 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11일 정종이 왕세제(王世弟)인 태종에게 선위(禪位)하자 삼군부 판사(三軍府判事)이무(李茂)는 교서(敎書)를 받들고 도승지박석명은 국보(國寶)를 받들고 가서 태종을 옹립하였다.

태종 시대 활동

1401년(태종 원년) 1월 좌명공신(佐命功臣) 3등이 되고 평양군(平陽君)에 봉해진 뒤, 지신사(知申事)가 되었으며, 1405년(태종 5) 12월 의정부 지사가 되었다. 지신사에서 의정부 지사로 품계를 뛰어넘어서 관직에 임명된 경우는 개국(開國) 이래로 없었던 일이다. 1406년(태종 6) 선위사(宣慰使)가 되고, 전라도 제주 도체찰사(全羅道濟州都體察使)가 되었다가 같은 해 의정부 지사 겸 사헌부(司憲府)대사헌(大司憲)이 되었는데, 그가 임명을 받고 김제역(金蹄驛)에 이르러 병이 들어 위독하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태종은 탄식하고는, 그의 직임을 한상경(韓尙敬)으로 대신하게 하고, 의관(醫官)·내관(內官)과 그의 아들 박거비(朴去非)·매부(妹夫) 정지당(鄭之唐)을 보내어 약을 가지고 역마(驛馬)를 타고 가게 하였다. 또 충청도 관찰사에게 명하기를, “만일 불행하여 죽는다면, 빈장(殯葬)을 옮기는 중에 그 아비와 처자(妻子)의 소원을 따르라. 나의 하명을 기다릴 것 없이 예(禮)를 갖추어 판비(辦備)토록 하라.”고 하였다. 7월 13일 그의 부음(訃音)이 이르니, 태종은 애도하여 철조(輟朝)하고 미두(米豆) 1백 20석과 종이 2백 권을 내려주고, 내사(內史)를 보내어 빈소(殯所)에 사제(賜祭)하였다.

성품과 일화

박석명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의표(儀表)가 준수하고 총민(聰敏)함이 뛰어났으며, 평소에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이 깊었다. 턱의 길이가 남들과 달라서 호를 이헌(頤軒)이라 하였다. 태종이 즉위하자, 구교(舊交)가 있었던 까닭으로 태종이 좌승지(左承旨)에 임명하였다. 명달(明達)하고 강기(强記)하여, 태종이 끝까지 의지하고 믿어, 전후(前後)로 비할 신하가 없었으므로, 자급을 뛰어 의정부 지사에 임명되었다. 그는 천성이 술을 좋아하여 종일 거나하게 마셨으나, 일을 결단하는 것은 물이 흐르는 듯하였다. 한편, 마음 속에 절조가 없어 여색(女色)에 빠지고, 뜻이 높아 남에게 굽히지 아니하고 전단(專斷)하여 사람들이 매우 꺼렸다는 평도 있다.

묘소와 시호

시호는 문숙(文肅)이고,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陶谷里)에 있다. 부인 왕씨(王氏)는 고려 왕실의 귀의군왕우의 딸인데, 3남을 두었다. 1자는 박거비이고, 2자는 박거완(朴去頑)이며, 3자는 박거소(朴去疎)이다. 박거소(朴去疎)의 부인 청송심씨(靑松沈氏)는 영의정(領議政)심온(沈溫)의 딸이며, 세종의 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이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정종실록(正宗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
  • 『용재총화(慵齋叢話)』
  • 『고려열조등과록(高麗列朝登科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