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 이미지 모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민족기록화관리메뉴}} | {{민족기록화관리메뉴}} | ||
− | + | =신규 이미지= | |
− | + | ==논산==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황산벌_안내판_01.jpg | 황산벌 전투도<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안내판 03.jpg | 황산벌 전적지<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홍살문 01.jpg | 충렬사 홍살문<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01.jpg | 충렬사<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계백영정 01.jpg | 충렬사내 계백 표준영정<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
+ | </gallery> | ||
− | === | + | ==연천==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매소성"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매소성 연천 대전리산성 01.jpg| 대전리산성 올라가는 길<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매소성 연천 대전리산성 02.jpg| 대전리산성 안내판<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매소성 연천 대전리산성 03.jpg| 대전리산성에서 바라 본 한탄강<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매소성 연천 대전리산성 04.jpg| 대전리산성 축성 흔적<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매소성 연천 대전리산성 05.jpg| 군사시설로 활용중인 산성 유적<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ref>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파일: | ||
− | 파일: |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완도==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청해진"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완도 청해진 02.jpg | 장도 청해진 유적지 우물터<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완도 청해진 03.jpg | 장도 청해진 유적지 외삼문<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완도 청해진 04.jpg | 장도 청해진 유적지 장보고 사당<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완도 청해진 05.jpg | 장도 청해진 유적지 굴립주<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완도 장보고 기념관 01.jpg | 장보고 기념관 1층 전시실<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완도 장보고 기념관 02.jpg | 장보고 기념관 장도 디오라마<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완도 장보고 기념관 03.jpg | 장보고 기념관 장도 디오라마<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완도 장보고 기념관 05.jpg | 장보고 기념관 설명판<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완도 장보고 기념관 04.jpg | 장보고 기념관 장보고 초상(이종상 작)<ref>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f> | ||
+ | </gallery> | ||
+ | |||
+ | ==경주==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경주 석굴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1.jpg| 석굴암 입구<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2.jpg| 석굴암 가는 길<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3.jpg| 석굴암 안내판<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4.jpg| 석굴암 전경<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5.jpg| 석굴암 석물<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6.jpg| 석굴암 앞<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7.jpg| 석굴암 석등하대석<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주 석굴암 08.jpg| 석굴암에서 내려다 본 토함산<ref>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ref> | ||
+ | </gallery> | ||
− | |||
− | |||
− | |||
− | ===C008 : [[오승우-황산싸움]]=== | + | =수집 이미지= |
− | ====수집==== |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9nyjemgTuiU 황산벌전투(출처:백제문화단지)] | + | ==작품== |
+ | ===C002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
+ | ====수집====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DGFs3r8uMs 역사스페셜, 광개토대왕 업적] | ||
+ | |||
+ | ===C003 : [[박각순-살수대첩]]=== | ||
+ | ====수집==== | ||
+ | #영상 1 : [http://tv.naver.com/v/1493756 고구려의 기습!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 ||
+ | #이미지 3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 ||
+ | 파일:살수대첩.JPG|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그림<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살수대첩2.JPG|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그림<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파일:청천강.jpg|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진<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781 청천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gallery> | ||
+ | |||
+ | ===C004 : [[박창돈-안시성싸움]]=== | ||
+ | ====수집==== | ||
+ | #영상 2: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20110900&mediadtl=36587&gbn=DK 대한뉴스_KC 제 1109호-양만춘 사극 공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05094&cid=51704&categoryId=51711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안시성 전투] | ||
+ | |||
+ | ===C006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
+ | ====수집====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F6YQ9JoO1NA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통일대업을 이룬 주역 화랑도] | ||
+ | |||
+ | ===C008 : [[오승우-황산싸움]]=== | ||
+ | ====수집====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9nyjemgTuiU 황산벌전투(출처:백제문화단지)] | ||
#이미지 3 : | #이미지 3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38번째 줄: | 80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09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수집==== |
− | 파일: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y0ilWe3XCjI?list=PLEA7Q2uVyJs0dVh2lQ52mxTR8bJhrFjHx 3만 VS 20만!신라는 당군을 어떻게 이겼나? 매소성전투의 비밀] |
− | 파일: | + | |
− | 파일: | + | ===C010 :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
− | 파일: | +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rqkt4W1YkPI 1200년 전, 해상무역의 비밀] | |
+ | |||
+ | ===C011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
+ | ====수집====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fdCm2yrtDpo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문화재-4.삼국의 고분],[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10527&mediadtl=22554&gbn=MH 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고대건축] | ||
+ | #이미지 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파일:쌍영총실측도.jpg|쌍영총 실측도<ref>김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쌍영총견취도.jpg|쌍영총견취도<ref>김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팔각기둥.jpg|쌍영총 팔각기둥<ref>김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쌍영총생활도.jpg|쌍영총생활도<ref>김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13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 | + | ====수집====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2oDdwsCvTyE 문화유산코리아 세계유산 시리즈- 석굴암,불국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014 :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수집==== |
− | 파일:민족기록화 | + | #이미지 2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충선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3d혜초.JPG|혜초 3D 복원도<ref>"[http://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309908.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253&categorys=4&subcate=67&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pageIndex=25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콘텐츠산업정보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충선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혜초지도.JPG|혜초 3D 복원도<ref>"[http://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309908.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253&categorys=4&subcate=67&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pageIndex=25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콘텐츠산업정보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C015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
+ | ====수집====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qh6UvOKuUO8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서희의 외교 담판] | ||
+ | #이미지 2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스케치 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스케치 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 ||
− | === | + | ===C016 : [[이용환-귀주대첩]]=== |
====수집==== | ====수집==== | ||
− | # | + | #이미지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용환 귀주대첩 우표01.JPG| 민족기록화 '이용환-귀주대첩'으로 제작한 우표 <ref>영혼샘, "[http://blog.daum.net/heenaree/13532453 강감찬의 귀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영혼샘의 작은 사랑방』<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9월 06일.</ref>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17 : [[안재후-여진정벌]]=== |
+ | ====수집(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J15Pvvmkn3I 한국의 정신- 76회 윤관] | ||
+ | |||
+ | ===C019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
====수집==== | ====수집====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MTGl07WuPMc EBS 5분 한국사- 27 반원 자주 개혁, 공민왕] |
+ | ===C020 : [[문학진-쌍성수복]]=== | ||
+ | ====수집==== |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_dgzikILUUk 동영상 쌍성총관부 공격] | ||
− | === | + | ===C021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수집==== | ====수집==== | ||
− | #이미지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cpznRRJgk-Y 부여 백제방송 - 홍산대첩문화제]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이미지 3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스케치 01.jpg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2&gubun=search 민족기록화1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스케치 02.jpg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스케치 03.jpg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 | ||
+ |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3&gubun=search 민족기록화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24 : [[문학진-고려청자]]=== |
====수집==== | ====수집==== | ||
− | #영상 | + | # 영상 3 :[https://www.youtube.com/embed/V0ZdcweViZs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고려청자를 찾아라_#001], |
+ |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1452&mediadtl=7888&gbn=MH 국보로 지정된 청자의 아름다움],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2163&mediadtl=8997&gbn=MH 고려자기] | ||
− | #이미지 2 : | + | # 이미지 2 :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고려청자 예시01.JPG|2005년 용산에서 촬영된 고려청자<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FP&photo_PhotoID=0&detl_PhotoDTL=5755 청자]",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고려청자 예시02.JPG|고려청자 청자상감운학문매병<ref>"[https://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1859&pageFlag= 청자상감운학문매병(고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정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025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수집==== | ====수집==== | ||
− |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b9qnieZxeaQ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무기 시대를 열다. 최무선]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 | 파일: | + | ===C026 [[김태-육진개척]]=== |
+ | ====수집(이1, 영1)==== | ||
+ | # 이미지 :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육진개척_국가기록원1.jpg|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4&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gqaj8KM67cE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 | ||
− | === | + | ===C027 [[강대운-진주성싸움]]=== |
− | |||
− | |||
− | |||
− | |||
====수집==== | ====수집==== | ||
− | #영상 | + | # 영상 2: |
+ | [http://jinju.museum.go.kr/html/kr/exhibition/exhibition_04.html 국립진주박물관-진주대첩], [http://jinju.museum.go.kr/html/kr/movie/mov1.html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 | ||
− | === | + | ===C028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F3iQoJkcl4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51회 곽재우] |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스케치 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8&gubun=search 민족기록화1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 ||
− | === | + | ===C030 : [[박석호-추풍령싸움]]=== |
− | ====수집==== | + | ====수집(이1)==== |
− | # | + | #이미지 1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석호-추풍령싸움_전시장관람.jpg|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9&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6 ]",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파일: | ||
− | |||
− |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31 : [[오승우-행주대첩]]===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yZRqMZ-pYgQ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위기의 조국을 구한 행주대첩의 명장 권율] |
− | |||
− | + | ===C032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수집====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이미지 3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 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6&gubun=search 민족기록화1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3.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33 : [[김형구-한산대첩]]=== |
====수집==== | ====수집====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txD_hLhfJg 인터넷 통영방송 - 한산대첩 재현장면] | |
+ | * 이미지 1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형구-한산대첩_전시회_01.jpg|[[국가기록원]] 전시회 모습<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4&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C034 : [[김기창-명량대첩]]=== |
====수집==== | ====수집==== | ||
− | + | * 영상 1 : [http://jinju.museum.go.kr/html/kr/movie/mov2.html 국립진주박물관 - 명량대첩] | |
− | [http://jinju.museum.go.kr/html/kr/ | ||
− | === | + | ===C035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lAQwbkx83Vo 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 |
− | # 이미지 | + | # 이미지 3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6&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3.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36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 | # 이미지 : | + | ====수집====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 이미지 : 2 |
− | 파일:민족기록화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 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gallery>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
− | === | + | ===C037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 | ====수집 | + | ====수집====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2PrluMh1Nlo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 | + | # 이미지 : 3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신영상-백마산성을지킨임경업장군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신영상-백마산성을지킨임경업장군 스케치03.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5&gubun=search 민족기록화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신영상-백마산성을지킨임경업장군 스케치01.jpg|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1&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38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 | ====수집(영2)====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tSYViIALMSg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시공을 초월해 세계질병사에 기여한 구암 허준], [https://www.youtube.com/embed/YqETCKOKQ8A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서 동의보감] | ||
+ | |||
+ | ===C040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
====수집==== | ====수집==== | ||
− | # | + | # 이미지 : 2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 | + | ===C041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수집==== | ====수집====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5o4tWeAr7fE 역사채널e -1894년 '그날'동학농민운동]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 이미지 : 3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스케치 01.jpg|스케치 01<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2&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스케치 02.jpg|스케치 02<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5&gubun=search 민족기록화1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스케치 03.jpg|완성본 흑백사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80929&dsid=000000000003&gubun=search 민족기록화관련사진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42 : [[장리석-홍주성수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집==== | ====수집==== | ||
− | + | # 영상 : 1 [https://www.youtube.com/embed/2OP18xsbuo8 홍주 천년 홍성 30경 홍주성, 조양문, 홍주성역사관_한국어] | |
− | |||
− | + | ===C043 : [[정창섭-태백산전투]]=== | |
− | + | ====수집(영1)==== | |
− | + | # 영상 : 1 [https://www.youtube.com/embed/H-oyIRKG3sQ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8회 신돌석] | |
− | === | + | ===C044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 | ====수집==== | + | ====수집(이3)==== |
− | + | # 이미지 : 3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1.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5&gubun=search#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2.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3.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8&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 | ||
− | 파일: | ||
− | |||
− | 파일: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46 :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ATj0AkToSVo 안중근 의거 100년, 이토 적격 영상을 찾아라] |
− | # 이미지 3 | + | # 이미지 : 3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스케치 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7&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7]",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스케치 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6&gubun=search 민족기록화1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전시회 01.jpg|[[국가기록원]] 최규하국무총리 전시회 관람 모습<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72&dsid=000000000002&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047 : [[손수광-청산리싸움]]=== |
====수집==== | ====수집==== | ||
− | #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U8d2xz06wk 대한뉴스 제 880호-이범석 장군 서거] |
− | |||
− | |||
− | |||
− | |||
− | === | + | ===C048 :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9OV3ODIS-s8 독립군 영웅 홍범도는 왜 극장 수위로 생을 마감했나? - 심용환의 근현대사 똑바로 보기] |
− | # 이미지 : | + | # 이미지 : 2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스케치 01.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8&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스케치 02.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8&gubun=search 민족기록화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49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 | ====수집( | + | ====수집(이4 / 영1)==== |
− | # 영상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7ta2yWgeAz4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 |
+ | # 이미지 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스케치.jpg| [[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스케치1.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7&gubun=search 민족기록화7]",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환국_최익현.jpg|일본 헌병에 최포된 [[최익현]]<ref>류영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110712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환국_최익현선생순국비.jpg | [[대마도]]에 위치한 [[최익현 선생 순국비]]<ref>류영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110712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ref> | ||
+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C050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수집==== | ====수집==== | ||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9Se5C0Z1yyU 관민공동회] |
− | + | ||
− | |||
− | |||
− | |||
− | === | + | ===C051 :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Q1aEBUZBhl0 도산안창호기념관 - 도산안창호의 생애] |
− | # 이미지 : | + | |
+ | # 이미지 4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스케치 01.jpg| 스케치 01<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6&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스케치 02.jpg| 스케치 02<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4&gubun=search 민족기록화1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스케치 03.jpg| 스케치 03<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4&gubun=search 민족기록화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전시회 01.jpg| 전시회 01<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72&dsid=000000000001&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ref> | ||
+ | </gallery> | ||
+ | |||
+ | ===C052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
+ | ====수집(이4 / 영1)====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G3qKoLMV5eE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20110516_1907년, 오산학교] | ||
+ | # 이미지 : 4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오산학교.jpg|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오산학교<ref>국가보훈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이승훈]", 네이버 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1년 2월 22일.</ref> | ||
+ | 파일: 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이승훈.jpg|[[이승훈]] 선생<ref>김호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스케치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전시장면.jpg|전람회를 관람하는 최규하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6&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53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1 [ | + | # 영상 : |
+ | # 이미지 : 4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_3.1독립선언서.jpg|[[3.1독립선언서]]<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764 3·1독립선언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_스케치.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8&gubun=search#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_스케치2.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_스케치3.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6&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 ||
− | === | + | ===C055 : [[윤중식-8.15해방]]=== |
− | ====수집 | + | ====수집==== |
− | # 영상 : | + | # 영상 : [https://www.youtube.com/embed/N6dJqRoBZfw 대한뉴스 제 430호-광복절 18주년 기념식] |
− | === | + | ===C057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 | ====수집( | + | ====수집(이1 / 영2)==== |
− | # 이미지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Tt6RRWtfn5g 대한뉴스 제 873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https://www.youtube.com/embed/LSXoEXDPF7E 대한뉴스 제 875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
+ | #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01.jpg| 경기도 가평군 개곡리 새마을사업 현장을 돌아보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ref>고병우, "[http://m.econotalking.kr/news/articleView.html?idxno=129660#04z6 새마을과 박정희 대통령 : 가난추방 눈물의 결정]",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 2015년 10월 29일.</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58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X=== |
+ | |||
+ | ===C061 : [[이마동-감귤]]=== |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6Cf--Jo3dhM 대한뉴스 제 858호-잘사는 농촌을] |
− | # 이미지 : | + | # 이미지 : 2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 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마동-감귤_국가기록원1.jpg|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이마동-감귤<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8741&dsid=000000000002&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마동-감귤 _박정희.jpg|제주도 감귤 농장을 시찰하는 [[박정희]]<ref>아이엠피터, "[http://theimpeter.com/34845/ 제주도민이 추앙하던 박정희, 제주를 ‘미군기지’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The 아이엠피터』<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3월 19일.</ref>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62 : [[천칠봉-경지정리]]=== |
+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KJoj9vOy5g0 대한뉴스 제 507호-농경지 정리] | ||
+ | |||
+ | ===C063 : [[천칠봉-대단위뽕밭]]=== |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VfMsp3zuJS0?ecver=2 대한뉴스 제 985호-양잠 시범 대회] |
− | === | + | ===C064 :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 | + | # 영상 1 :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20102500&mediadtl=36094&gbn=DK 대한뉴스_KC 제 1025호-조림 사업] |
− | |||
− | |||
− | |||
− | |||
− | |||
− | === | + | ===C066 : [[이인영-삼화목장]]=== |
− | ====수집 | + | ====수집==== |
− | + | #이미지 3 : | |
− | # 이미지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인영 삼화목장 전시장01.jpg|전시된 모습<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8&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삼화목장 김종필방문01.jpg|[[삼화목장]]을 방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8&detl_PhotoDTL=3225 김종필 국무총리 충남 서산 삼화목장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삼화목장 김종필방문02.jpg|[[삼화목장]]을 방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8&detl_PhotoDTL=3224 김종필 국무총리 충남 서산 삼화목장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LDIFFPWaniA 대한뉴스 제 1269호-김종필 공화당 총재, 삼화목장 기증] | ||
− | === | + | ===C066 : [[이용환-굴뗏목양식]]===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굴뗏목양식 굴뗏목양식01.JPG|<center>1973년 신문에 실린 굴뗏목양식 풍경</center><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011900329203003&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1-19&officeId=00032&pageNo=3&printNo=8402&publishType=00020# 잡는 漁業에서 기르는 漁場으로]", 『경향신문』, 1973년 1월 19일.</ref> | ||
+ | </gallery>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3jX8snj_d-Y 대한뉴스 제 880호-남해안에 큰 굴공장] | ||
− | + | ===C066 : [[김창락-원양어업]]=== | |
− | === |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이미지 2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이미지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원양어업 조업장면01.JPG|원양어업 조업 광경<ref>김삼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8332 원양어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원양어업 김종필01.JPG|부산 감천항 원양어업 전용부두 준공식에 참여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23&detl_PhotoDTL=5187 김종필 국무총리 부산 감천항 원양어업 전용부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 | </gallery> | ||
+ | #영상 3: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11894&mediadtl=27039&gbn=MH 분야별기록영상-오대양을 간다], | ||
+ |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10408&mediadtl=22419&gbn=MH 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어업],[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11783&mediadtl=26276&gbn=MH 분야별기록영상-북양을 가다(북양 어업)] | ||
+ | |||
+ | ===C069 : [[문학진-강원탄광]]=== | ||
+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yHJDLp420P8?ecver=2 대한뉴스 제 409호-석탄증산(강원)] | ||
+ | #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문학진-강원탄광 전시회 01.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9&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 민족기록화관람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70 : [[최덕휴-장성광업소]]=== |
− | ====수집 | + | ====수집====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A35iqt0ato?ecver=2 대한뉴스 제1168호-최규하 국무총리 탄광촌 시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071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QNkCFmH64F8?ecver=2 철강왕 박태준, 대한민국 제철신화를 이루다] |
− | + | ||
− | + | ===C072 : [[김원-마산공업단지]]=== | |
− | + | ====수집====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L-WqkzZu5E 마산 수출 공단으로 출근하는 시민(The civil work of Masan Export Corporation)] | |
− | + | # 이미지 : 1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원-마산공업단지_마산자유무역지구 제1공구.jpg |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마산자유무역지구 제1공구<ref>강인범,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3/01/2011030101620.html 창원시 '마산자유무역지역' 재도약]", 『조선일보』, 작성일: 2011년 03월 02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73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 | # 이미지 : | + | ====수집====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wBcvAqrLUe8 대한뉴스 제 668호-건설의 메아리], [https://www.youtube.com/embed/KBrYxvEbIfI 대한뉴스 제 1181호-울산 석유화학 공장 준공] |
− | 파일: | + | # 이미지 :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_울산화학공업단지.jpg | 1964년 5월, 준공된 울산화학공업단지 전경<ref>김종경, "[http://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704 울산공단 50년 ⑧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울산신문』, 작성일: 2011년 06월 29일.</ref>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75 : [[김태-신진자동차]]===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fxLRntaDiM?ecver=2 대한뉴스 제 579호-건설의 메아리] |
+ | |||
− | === | + | ===C076 : [[양인옥-기아산업]]=== |
− | ====수집 | + | ====수집==== |
− | # 영상 | + | # 영상 1 :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20095400&mediadtl=35587&gbn=DK 총리 기아산업 시찰-대한뉴스 KC 제 954호]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양인옥-기아산업 전시회 01.jpg|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5&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077 : [[박득순-현대조선소]]=== |
+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R8VOwXhxFyg 현대중공업 홍보영화] | ||
− | === | + | ===C078 : [[박창돈-금성사]]===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영상 : 2 |
− | # 이미지 : | + | #* [https://www.youtube.com/embed/eOTET-NDZmo 대한뉴스 제 244호-최초의 국산 라디오], [https://www.youtube.com/embed/sbDHwMXCw7g 대한뉴스 제 485호-수출진흥]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 이미지 : 7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창돈-금성사_1975년준공직후금성사창원공장.jpg | 1975년 준공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ref>"[http://50th.kicox.or.kr/history/history_view.asp?viewFlag=3&viewYear=1975 1975 준공 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산업단지 출범 50주년 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산업단지 50주년 기념행사.</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금성사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jpg | 1962년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ref>"[http://www.ehistory.go.kr/page/pop/photo_pop.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1&detl_PhotoDTL=1374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금성사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jpg | 1962년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ref>"[http://www.ehistory.go.kr/page/pop/photo_pop.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1&detl_PhotoDTL=1417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금성사 부산금성사tv조립광경.jpg | 1971년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ref>"[http://www.ehistory.go.kr/page/pop/photo_pop.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2939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금성사 최초의전자렌지.jpg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레인지<ref>"[http://www.lgblog.co.kr/lg-story/lg-product/34610 광복 70년, 국민과 함께 역사를 만들다 – 광복 70년 특별기획전을 빛낸 LG 제품들]", <html><online style="color:purple">『LG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LG.</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금성사 최초의선풍기.jpg| 우리나라 최초의 선풍기<ref>추연화, "[http://news1.kr/photos/view/?2105951 1960년 수출 선풍기]", 『news1』, 작성일: 2016년 8월 30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금성사 최초의흑백tv.jpg |[[금성 텔레비전 VD-191]]<ref>"[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9&contents_id=1110 금성 흑백TV VD-191, 1966]", 한국의 생활 디자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79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 | ====수집==== | + | ====수집(이2 / 영1)==== |
− | # 영상 1 | + | # 영상 : 1 |
+ | #* [https://www.youtube.com/embed/gTH7t3BjhQw 구미국가산업단지] | ||
+ | # 이미지 : 2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오승윤-구미전자공업_73년항공촬영.jpg|1973년 [[구미국가산업단지]] 항공뷰<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14613960 구미전자공업단지(항공촬영)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오승윤-구미전자공업_근로자작업광경.jpg|1973년 [[구미국가산업단지]] 근로자 작업광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14428618 구미전자공단근로자작업광경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 ||
− | === | + | ===C080 : [[김종하-한일합섬]]=== |
− | ====수집==== | + | ====수집(영3)==== |
− | # 영상 | + | # 영상 3 : [https://www.youtube.com/embed/HX1mabuomdc 대한뉴스 제 608호-건설의 새소식], [https://www.youtube.com/embed/JXr1mUTCL5s 한일 합섬 섬유 공업 현장(Hanil Synthetic Fiber Co., Ltd.)], [https://www.youtube.com/embed/6wUWdwQ52As MBC경남 뉴스특종영상 (2006.4.23 #한일합섬)] |
− | === | + | ===C081 : [[박창돈-선경직물]]===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5sbVVVJf64 대한뉴스 제121호-나일론도 우리손으로] |
− | === | + | ===C082 : [[박항섭-한국기계]]=== |
− | ====수집==== | + | ====수집(이2 / 영1)====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Ym-ap2KG0_0 대한뉴스 제 675호-발전하는 공업 한국]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이미지 : 2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항섭-한국기계_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jpg| [[한국기계공업]] 공장사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810&dsid=000000000001&gubun=search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항섭-한국기계_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jpg|[[한국기계공업]] 공장사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810&dsid=000000000002&gubun=search 2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C083 : [[이용환-삼도물산]]=== |
+ | ====수집(영1)====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zHd9HHRl3Ts 1984 삼도물산 써지오바렌테 광고] | ||
− | === | + | ===C084 : [[최영림-대동공업]]=== |
====수집==== | ====수집====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A1Pwzs-5YZg 대한뉴스 제1286호-영농의 기계화] | |
− | |||
−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최영림-대동공업 전시회 01.jpg|김종필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5&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6월 30일.</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086 : [[김숙진-한국비료]]===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J-4xhy18YJc 대한뉴스 제 605호-전진의 맥박] |
− | === | + | ===C088 : [[하인두-동명목재]]===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Z6jeJhhNihk 대한뉴스 제 599호-수출 진흥] |
− | === | + | ===C089 : [[박광진-소양강댐]]===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ALZXg8nRvKY 대한뉴스 제954호-소양강댐 준공] |
− | |||
− | |||
− | |||
− | |||
− | === | + | ===C090 : [[김숙진-소양강댐]]=== |
====수집==== | ====수집==== | ||
− | # |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숙진-소양강댐 소양강댐사진.jpg |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소양강댐 사진<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3/15/0200000000AKR20110315075600062.HTML '특등급' 소양강댐 내진설계기준 청평댐보다 낮아]", 『연합뉴스』, 작성일: 2011년 03월 15일.</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091 : [[정영렬-팔당수력발전소]]=== |
====수집==== | ====수집==== | ||
− | # | + | # 이미지 3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전경01.JPG|팔당댐 전경<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tour.jsp?cid=1851129 팔당수력발전소]", 관광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방류01.JPG|팔당댐 방류 광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22613&detl_PhotoDTL=177868 팔당댐 방류]",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방류02.JPG|팔당댐 방류 광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22613&detl_PhotoDTL=177868 팔당댐 방류]",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 | ===C092 : [[이의주-호남정유]]=== | |
− | === | + | ====수집(이4 / 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gVatXw3XyfI 대한뉴스 제 729호-우리는 건설한다] | ||
+ | # 이미지 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호남정유_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1.jpg|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이의주-호남정유<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8068&dsid=000000000002&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의주 호남정유 박정희대통령관람01.jpg|전시회 관람중인 박정희 대통령<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8741&dsid=000000000006&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이의주-호남정유 호남정유야경.jpg |1970년대의 호남정유 야경<ref>"[http://125.60.61.136/page/photo/gover_index.jsp 호남정유야경]", 정부기록사진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호남정유_여천석유화학공업단지.jpg |현재의 여수국가산업단지 아경<ref>"[https://namu.wiki/w/%EC%97%AC%EC%88%98%EA%B5%AD%EA%B0%80%EC%82%B0%EC%97%85%EB%8B%A8%EC%A7%80 여수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
+ | ===C094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
+ | ====수집====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0V1zYzTRUeE 대한뉴스 제784호-경부고속도로 준공] | ||
+ | |||
+ | ===C095 :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WM44E9B4ZEQ 대한뉴스 제772호-호남 고속도로 기공], [https://www.youtube.com/embed/wHyyHLYM4XY 대한뉴스 제809호-호남고속도로 준공(대전에서 전주간) 79.1Km]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손응성-호남고속도로 전시회 01.jpg|스케치 01<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3&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096 : [[박각순-남해대교]]=== |
====수집==== | ====수집==== | ||
− | # 영상 1 : [ | + | # 이미지 2: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남해대교 옛전경01.jpg|남해대교 옛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8&detl_PhotoDTL=3207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을 잇는 한국 최초의 현수교 남해대교 전경]",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남해대교 옛전경02.jpg|남해대교 가설 공사 광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149 '남해대교' 가설 공사]",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 영상 1 :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870&mediadtl=6578&gbn=DH 대한뉴스 제 938호-남해대교] | ||
− | === | + | ===C097 : [[박각순-산업선전철]]=== |
− | ====수집==== | + | ====수집(이1 / 영1)==== |
− | # 영상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CYDZL_cuzBY 대한뉴스 제 1060호-산업선 전철 영동선 개통] |
− | + | # 이미지 1 : | |
− | # 이미지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산업선전철_영동선.jpg | 영동선, 태백선 개통<ref>유우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320 영동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98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 | ====수집( | + | ====수집(이3 / 영1)==== |
− | # 영상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tHEgnXpFGzY 대한뉴스 제 998호-수도권 전기철도] |
− | + | # 이미지 : 3 | |
− | # 이미지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파일: | + | 파일:지하철제1호선승강구_gallery3.JPG |지하철 1호선 시청역 부근 공사현장(1971년 10월 23일 촬영)<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7404927 지하철 1호선 시청역 부근 공사현장]",『연합뉴스』, 작성일: 2015년 2월 10일.</ref> |
− | 파일: | + | 파일:지하철제1호선승강구_gallery1.JPG |지하철 1호선 시청역-서울역 구간 건설 현장(1973)<resf>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2쪽.</ref> |
+ | 파일:지하철제1호선승강구_gallery2.JPG |지하철 1호선 건설 현장(1973)<ref>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2쪽.</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098 : [[박득순-지하철]]=== |
− | + | ====수집(이2)====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집(이2 | ||
− | |||
# 이미지 : 2 | # 이미지 : 2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파일: | + | 파일:지하철_gallery2.JPG |개통을 앞둔 지하철의 시운전(1974.08.12)<ref>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9쪽.</ref> |
− | 파일: | + | 파일:지하철_gallery1.JPG |개통 직전의 지하철 1호선 지하역사(1974.08.12)<ref>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7쪽.</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100 : [[박광진-아산방조제]]=== |
− | |||
− | |||
− | |||
− | |||
====수집==== | ====수집==== | ||
−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원 해안사방 김종필국무총리관람01.jpg|전시회 관람중인 국무총리 김종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2&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Lda2TOIgrjE, 대한뉴스 제 984호-아산,남양 방조제 준공], [https://www.youtube.com/embed/fFlKEDqXjLQ 대한뉴스 제 964호-아산만의 댐 건설] | ||
− | === | + | ===C101 : [[박서보-수출선박]]===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rY6_JdnCcmE 대한뉴스 제989호-수출 100억불을 향하여], [https://www.youtube.com/embed/Ru7HtkVXHPM 대한뉴스 제1109호-국산 자동차 수출] |
− | === | + | ===C102 : [[정창섭-인천항도크]]===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wwPs2ksUgQg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 [https://www.youtube.com/embed/O1IfF1jdqro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 |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인천항도크_인천항 입항 과정.jpg|[[인천항]] 입항 과정<ref>"[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ref> | ||
+ | </gallery> | ||
− | === | + | ===C103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 | |||
− | |||
− | |||
− | |||
====수집==== | ====수집====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인천항제2도크_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jpg|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정창섭-인천항제2도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8741&dsid=000000000003&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104 : [[김원-해안사방]]=== |
====수집==== | ====수집==== | ||
− |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_xyxQZEfxEQ 대한뉴스 제 242호-사방사업 촉진], [https://www.youtube.com/embed/3tvYc71OOnY 대한뉴스 제 1074호-사방사업] |
− | |||
− | |||
− | |||
− | |||
− | |||
− | === | + | ===C105 : [[박영선-현충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cQjse7SQ1VI 대한뉴스 제 690호-충무공의 얼], [https://www.youtube.com/embed/g0eo20uwsjY 대한뉴스 제 724호-현충사] |
− | === | + | ===C106 : [[손응성-불국사]]=== |
====수집==== | ====수집==== | ||
− | # 영상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co4KbaMfOv0 대한뉴스 제 753호-불국사 복원] |
− | |||
− | |||
− | |||
− | |||
− | === | + | |
− | ====수집==== | + | ==작가== |
− | # 이미지 | + | ===C107 : [[강대운]]===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수집(이4)==== |
− | 파일: | + | # 이미지 4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강대운.jpg | <ref>"[http://www.mise1984.com/database?person=26 강대운]", 미술세계명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미술세계』<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강대운_계절, 대검찰청소장.jpg| 계절, 캔버스에 유채, 450×200cm, 대검찰청소장<ref>좌영길,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Print-News?serial=62635 예술작품산책 : 대검 청사 '계절']", 『법률신문』, 2012년 3월 5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강대운_작품1.jpg| 추양, 1966, 캔버스에 유채, 174x10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294 추양]",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강대운_작품2.jpg | 공작, 1984, 캔버스에 유채, 145x11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110 공작]",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C108 : [[김기창]]=== |
− | ====수집( | + | ====수집(이6 / 영3)==== |
− | # 영상 | + | # 영상 3 : [https://www.youtube.com/embed/30YhMOyWYfE 대한뉴스 제 1307호-늦가을의 화단], [https://www.youtube.com/embed/Bee7_iXGNNc 운보 김기창 판화전], [https://www.youtube.com/embed/31I_RC7Rx5o 모두가 가품이라 예측한 운보 김기창 선생님의 그림!! 그 감정가는?- 신의 한 수 37회] |
− | # 이미지 | + | # 이미지 6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jpg |<ref>김희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615 김기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태양을 먹은 새 01.jpg| 태양을 머금은 새, 1968, 두방에 수묵채색, 31.5×39㎝<ref>최은주,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78036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2016년 6월 3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군마도 01.jpg| 군마도, 1964, 비단에 수묵담채, 175.5x34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3989 군마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김기창_청산청경.jpg | 청산청경, 1980, 수묵담채, 88x145.5cm<ref>"[https://neolook.com/archives/20100909g 한국화 판타지-한국화의 감각적 재해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오룩』<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김기창_가을.jpg | 가을, 1934, 비단에 수묵채색, 170.5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0166 가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김기창_복덕방.jpg | 복덕방, 1953, 종이에 수묵담채, 77.5x100cm<ref>거부기, "[http://www.sunjooschool.com/index.php?mid=class_published_ModernPainting&document_srl=7900&sort_index=readed_count&order_type=asc 마지막 회 - 근대에서 현대로]"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김선주학교』<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1년 01월 31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12 : [[김종하]]=== |
====수집(이3 / 영1)==== | ====수집(이3 / 영1)==== | ||
− | # 영상 1 : [ | + | # 영상 1 : [http://channel.pandora.tv/php/embed.fr1.ptv?userid=yunhap&prgid=11246564&skin=1&share=on '여인의 뒷모습' 인터넷 최고 경매가] |
− | # 이미지 : | + | # 이미지 3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종하_작품1.jpg | 자연의 의미, 1971, 캔버스에 유채, 162x11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428 자연의 의미]",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종하_여인의 뒷모습, 73cm x 92cm.jpg | 여인의 뒷모습, 1980, 캔버스에 유채, 92x73cm<ref>데일리안, "[http://www.dailian.co.kr/news/view/97990 김종하 화백 ´여인의 뒷모습´ 경매 기록 깰까?]", 『데일리안』, 작성일: 2008년 01월 16일.</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종하_작품2.jpg | 자연의 표상, 1974, 캔버스에 유채, 72.7x60.6cm<ref>"[http://www.porart.com/auction_detail.php?goodsIdx=25984 자연의 표상]", 미술품 경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포털아트』<sup>online</sup></online></html>, (주)포털아트.</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115 : [[김태]]=== |
− | ====수집( | + | ====수집(이3)==== |
− | # 이미지 | + | # 이미지 3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태_태종대.jpg|태종대, 1975, 캔버스에 유채, 45.5x52.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384 태종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김태-탁상정물.jpg|卓上靜物(탁상정물)D, 1982,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ref>"[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424519&coll_id=8628&type=visual 탁상정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태_삼월의 한계령.jpg|삼월의 한계령, 1984, 캔버스에 유채, 9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093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19 : [[박광진]]=== |
− | ====수집==== | + | ====수집(이4)==== |
− | # 이미지 | + | # 이미지 4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박광진-국보.jpg|국보, 1957, 캔버스에 유채, 130.3x162.2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jejumuseum.go.kr/kor/index.php/contents/collection/collection?act=view&cyears%5B0%5D=1960&cyears%5B1%5D=1950&all=0&sch_text=%B9%DA%B1%A4%C1%F8&page=2&seq=81 국보]", 소장품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제주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박광진-닭장.jpg|닭장, 1960, 캔버스에 유채, 112.9x145.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4279 닭장]",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박광진_월출산.jpg | 월출산, 1978, 캔버스에 유채, 50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946 월출산]",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박광진-공작.jpg|공작, 1992, 캔버스에 유채, 50x150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jejumuseum.go.kr/kor/index.php/contents/collection/collection?act=view&all=0&sch_text=%B9%DA%B1%A4%C1%F8&page=13&seq=79 공작]", 소장품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제주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C120 : [[박기태]]=== |
− | + | ====수집(이3)====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기태 여인, 2003년.jpg| 여인, 2003년<ref>자유로,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BvQa&articleno=17822298&categoryId=905367®dt=20101025165647 2010 이철명 수채화전 주요작 & 초대 출품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자유로의 작은여유』<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10월 25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기태 5월, 2003년.jpg| 5월, 2003, 종이에 수채, 90.9x72.7cm<ref>"[http://ulsanart.com/tech/read.cgi?board=junsi&y_number=331 2004 울산광역시 수채화 협회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울산아트닷컴』<sup>online</sup></online></html>, 울산갤러리."</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기태 여인.jpg | 여인<ref>"[http://www.gyeongbukart.com/bbs/board.php?bo_table=gallery_c&wr_id=13&page=2¤tId=53 박기태], 출향작가 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미술협회경상북도지회』<sup>online</sup></online></html>. </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21 : [[박득순]]=== |
− | ====수집==== | + | ====수집(이4 / 영1)==== |
− | # 영상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LHw7Yj87CPw 대한뉴스 제 889호-이런일 저런일] |
− | + | # 이미지 4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득순_자화상.jpg | 자화상, 1964, 캔버스에 유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130 자화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파일:박득순-서울풍경.jpg | 서울 풍경(風景), 1949, 캔버스에 유채, 162x98cm<ref>재봉틀, "[http://blog.naver.com/kwank99/220071611747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ref> | |
− | + | 파일:박득순-나부좌상.jpg | 나부좌상, 1964, 캔버스에 유채, 127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재봉틀, "[http://blog.naver.com/kwank99/220071611747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ref> | |
− | < | + | 파일:박득순-부인상.jpg | 부인상, 1953, 캔버스에 유채, 117x9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432 부인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22 : [[박서보]]=== |
− | ====수집==== | + | ====수집(이4 / 영3)==== |
− | # 이미지 | + | # 영상 3 : [https://www.youtube.com/embed/vCvC4A0wNvo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1], [https://www.youtube.com/embed/_SsMsUHUe74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2], [https://www.youtube.com/embed/1wGqe3CVGG0 작업실(Artist & Space) - ③박서보 화백]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이미지 4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박서보_묘법no43.jpg | 묘법 No.43-78-79-81, 1981, 면천에 유채‧흑연, 193.5x259.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495 묘법 No.43-78-79-81]",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박서보-묘법 No.355-86.jpg|묘법 No.355-86, 1986, 종이에 먹, 194×3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092 묘법 No.355-86]",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박서보-묘법_시리즈4.jpg| 묘법시리즈 4, 1994, 종이에 한지,안료, 103.8×78.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DP-03515 묘법시리즈 4]",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박서보_원형질.jpg | 원형질 1-62, 1962, 캔버스에 유채, 162x13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4585 원형질 1-62]",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23 : [[박석호]]=== |
− | ====수집==== | + | ====수집(이3)====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입항.jpg | 입항, 1977, 캔버스에 유채, 100x73cm<ref>후아, "[http://blog.naver.com/jujukey/220507340880 박석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후아 전중관의 그림과 글 세상』<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5년 10월 13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수난.jpg | 수난(受難), 1987, 캔버스에 유채, 80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7816 수난(受難)]",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희망.jpg | 희망, 1987, 캔버스에 유채, 146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336 희망]",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 | + | ===C125 : [[박영선]]=== |
− | ====수집==== | + | ====수집(이4)==== |
− | # | + | # 이미지 4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영선.jpg | <ref>심재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0942 박영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영선 농부의 가족 01.jpg|농부의 가족, 1970, 캔버스에 유채, 96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977 농부의 가족]",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영선 모녀 01.jpg|모녀, 1989, 캔버스에 유채, 91×117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ref>"[http://211.252.37.150/search_artwork/search/collectionDetail.php?artwork_no=PA-0459&lang=ko 모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광주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박영선_판타지.jpg|판타지, 1957, 캔버스에 유채, 53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6208 판타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 | + | ===C127 : [[박항섭]]=== |
− | ====수집==== | + | ====수집(이4 / 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NzVL0uuqUkY 대한뉴스 제 849호-제 20회 국전] |
+ | # 이미지 3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박항섭.JPG|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1352 박항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박항섭-가을.jpg | 가을, 1956, 162x130cm,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ref>김미정, "[http://www.koreanart21.com/review/antiques/view?id=3533&page=10 깊어가는 겨울, 좋은 것을 보는 안복(眼福)]", <html><online style="color:purple">『SMARTK』<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미술정보개발원.</ref> | ||
+ | 파일:박항섭-수중지대.JPG | 수중지대, 1971, 캔버스에 유채, 144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189 수중지대]",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박항섭-마술사의여행.jpg | 마술사의 여행, 1977, 캔버스에 유채, 63x7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15 마술사의 여행]",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 | ===C129 : [[손응성]]=== | |
− | |||
− | |||
− | == | ||
− | |||
− | |||
− | |||
====수집(이4)==== | ====수집(이4)==== | ||
− | # 이미지 4 | + | # 이미지 4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 손응성.jpg|<ref>조성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552 손응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2014년 6월 24일.</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손응성_비원.jpg| 비원, 1963, 캔버스에 유채, 90x73cm<ref>참나무, "[http://blogs.chosun.com/kangquilt/2012/10/08/3-%EB%AC%B4%EB%AC%B4-%EC%9B%90%ED%94%BC%EC%8A%A4%EC%9D%98-%EC%B6%94%EC%96%B5/ 3.무무 원피스의 추억]",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닷컴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2년 10월 08일.</ref> |
− | 파일: | + | 파일: 손응성-스키복 입은 여인.jpg| 스키복 입은 여인, 1940, 캔버스에 유채, 129x9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119 스키복 입은 여인]",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 : 손응성-여래상.jpg|여래상, 1954, 캔버스에 유채, 128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118 여래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130 : [[신영상]]=== |
− | ====수집( | + | ====수집(이4)==== |
− | # | + | # 이미지 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午(오), 1980년, 개인소장.jpg| 오(午), 1980, 종이에 수묵<ref>"[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신영상]",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잔회.jpg| 殘懷(잔회), 1970, 종이에 수묵<ref>"[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신영상]",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조Ⅱ.jpg| 조Ⅱ, 1982, 화선지에 수묵, 181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1040 조Ⅱ]",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율.jpg| 율 9925, 2000, 옥양목에 수묵, 245.5x22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7069 율 9925]",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31 : [[안재후]]=== |
− | ====수집( | + | ====수집(이2)==== |
− | + | # 이미지 2 : | |
− | # 이미지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안재후_송도의 소녀.jpg|송도의 소녀, 1952, 종이에 연필, 22.5x18.5cm, 소마미술관 소장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안재후_여성동아 1980년 8월호 표지에 안재후가 그린 부인 손재경.jpg|여성동아 1980년 8월호 표지에 안재후가 그린 부인 손재경<ref>소와달, "[http://m.blog.daum.net/sowadal/12351240 화가들의 여인극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소와 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1년 02월 19일.</ref>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32 : [[양인옥]]=== |
− | ====수집( | + | ====수집(이4)==== |
− | # 이미지 | + | # 이미지 4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양인옥 소녀상 01.jpg| 소녀상, 1992, 캔버스에 유채, 117x91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ref>"[http://211.252.37.150/search_artwork/search/collectionDetail.php?artwork_no=PA-0227&lang=ko 소녀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광주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양인옥 성산일출 01.jpg|성산 일출, 1995, 캔버스에 유채, 61x7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ref>"[http://211.252.37.150/search_artwork/search/collectionDetail.php?artwork_no=PA-0412&lang=ko 성산일출]",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광주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양인옥 소망.jpg|소망, 1983, 캔버스에 유채, 131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987 소망]",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양인옥 상.jpg|상, 1989, 캔버스에 유채, 광주광역시 소장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33 : [[오승우]]=== |
====수집(이4)==== | ====수집(이4)====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FoGzt9LbxB0 오승우화백_#빛날_#광주MBC] | ||
# 이미지 4 : | # 이미지 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파일: | + | 파일: 오승우.jpg | <ref>"[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00&nPage=1&tot_srchquery=srch_col=0;srch_nm=%BF%C0%BD%C2%BF%EC 오승우]", 회원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예술원』<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오승우-법당내부.jpg| 법당내부, 1957, 캔버스에 유채, 191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07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File: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오승우_팔상전.jpg |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1959, 캔버스에 유채, 161x112.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07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오승우_설악추경.jpg | 설악추경(1078m 강원 인제 속초 고성 양양), 1991, 캔버스에 유채, 259x194.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07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34 : [[오승윤]]=== |
− | ====수집( | + | ====수집(이4)==== |
+ | # 이미지 4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오승윤-대한.jpg| 대한, 1973, 캔버스에 유채, 19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890 대한]",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오승윤-해녀도.jpg|해녀도, 1985, 캔버스에 유채, 192.5x33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ref>"[http://211.252.37.150/search_artwork/search/collectionDetail.php?artwork_no=PA-0191&lang=ko 해녀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광주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오승윤-회상.jpg|회상, 1995,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4097 회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오승윤_바람과물의역사.jpg| 바람과 물의 역사, 2004, 캔버스에 유채, 210x610cm (삼면화)<ref>다다, "[http://blog.naver.com/jojako/40207215188 오승윤展]", <html><online style="color:purple">『jojako님의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02월 24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37 : [[이마동]]=== |
− | ====수집(이4 | + | ====수집(이4)==== |
− | + | # 이미지 4 : | |
− | # 이미지 4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이마동.jpg|<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꽃다발 있는 정물, 115 x 88cm.jpg |꽃다발이 있는 정물, 1933, 캔버스에 유채, 116.8x9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남자, 117 x 91cm, 1931년.jpg | 남자, 1931, 캔버스에 유채, 115x8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자화상.jpg |자화상, 1932, 캔버스에 유채.<ref>회남자, "[http://blog.naver.com/agogik/80047987003 412. 이마동 <자화상(1932)>]",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회허백 겸선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2월 06일.</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C139 : [[이의주]]=== |
− | ====수집( | + | ====수집(이3)==== |
− | # | + | # 이미지 3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파일:이의주-부산항.jpg | 부산항, 1990, 130.3x162.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182 부산항]",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파일:이의주-해경.jpg| 해경, 1990, 캔버스에 유채<ref>종근당, "[http://blog.daum.net/culturelive/15951078 이의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다음 블로그 -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5년 06월 21일.</ref> | |
− | 파일: | + | 파일:이의주-바다풍경.jpg | 바다풍경, 1985, 캔버스에 유채<ref>종근당, "[http://blog.daum.net/culturelive/15951078 이의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5년 06월 21일.</ref> |
− | 파일: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42 : [[임직순]]=== |
− | ====수집( | + | ====수집(이4 / 영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BEL_AyoCI28 대한뉴스 제 136호-제 6회 국전] |
− | 파일: | + | # 이미지 3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임직순.jpg | <ref>이구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658 임직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임직순 모자를 쓴 소녀 01.jpg|모자를 쓴 소녀, 1970, 캔버스에 유채, 145.5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85 모자를 쓴 소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임직순 화실 01.jpg|화실, 1984, 캔버스에 유채, 72.7x90.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918 화실]",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임직순_좌상.jpg | 임직순, 좌상, 1957, 캔버스에 유채, 148x95cm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43 : [[장두건]]=== |
− | ====수집( | + | ====수집(이3)==== |
− | # 이미지 | + | #이미지 3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장두건_한강변 풍경.jpg | 한강변 풍경, 1964, 캔버스에 유채, 188x16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4530 한강변 풍경],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장두건_투계.jpg | 투계, 1970, 캔버스에 유채, 10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4529 투계],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장두건_장미.jpg | 장미, 캔버스에 유채, 162.2x130.0, 포항시립미술관 소장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46 : [[정창섭]]=== |
− | ====수집( | + | ====수집(이3 / 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afG2IJRD9Fg 정창섭 "묵고"전(2015), 조현화랑 페로탱갤러리, Chung Chang-Sup "meditation", Johyun Gallery & Galerie Perrotin] |
− | # 이미지 3 : | + | # 이미지 3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정창섭-묵고.JPG |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소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7090&cid=46717&categoryId=46765 묵고 No.9606]",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미술작품』<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닥.jpg|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624 닥 No. 85099]",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묵고9680.jpg| 묵고(默考) 9608,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727 묵고 No.9608]",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47 : [[천칠봉]]=== |
− | ====수집( | + | ====수집(이3)==== |
− | # 이미지 | + | # 이미지 3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천칠봉-10월.jpg| 10월, 1980, 캔버스에 유채, 100x80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ref>"[http://www.jma.go.kr/ 10월]", 상세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북도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천칠봉-설경.jpg|설경, 1981, 캔버스에 유채, 65x91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ref>"[http://www.jma.go.kr/ 설경]", 상세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북도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천칠봉_토기.jpg| 토기, 1978, 캔버스에 유채, 112x145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ref>"[http://www.jma.go.kr/ 토기]", 상세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북도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
+ | ===C148 : [[최덕휴]]=== | ||
+ | ====수집====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LTmKItiJDnY 네 벌의 군복, 어느 예술가의 초상], [https://www.youtube.com/embed/vYdPfq-GqJU 최덕휴 교수 특별전 : 소요유] | ||
+ | # 이미지 6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덕휴.jpg | <ref>서유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777 최덕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최덕휴_돌산.jpg | 돌산, 1958, 캔버스에 유채, 97x14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938 돌산]",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덕휴 원지동의 가을 01.jpg| 원지동의 가을, 1981, 캔버스에 유채, 84.4x180.5cm, 서울시립미술관 소장<ref>"[http://sema.seoul.go.kr/korean/collection/collection2014View.jsp?sArtSeq=2275 원지동의 가을]",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덕휴 불암산의 만추 01.jpg|불암산의 만추, 1972, 캔버스에 유채, 80.3×100cm<ref>"[http://choidukhyu.org/1960s.html 불암산의 만추]", 작품보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CHOIDUKHYU MUSEUM』<sup>online</sup></online></html>, 최덕휴 기념관.</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덕휴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01.jpg|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1988, 캔버스에 유채, 109x33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853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최덕휴_용화산경.jpg | 용화산경, 1982, 캔버스에 유채, 76.3x195cm, Oil on Canvas<ref>"[http://choidukhyu.org/1980s_03.html 용화산경]", 작품보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CHOIDUKHYU MUSEUM』<sup>online</sup></online></html>, 최덕휴 기념관.</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49 : [[최대섭]]=== |
− | ====수집( | + | ====수집(이1)==== |
− | # 이미지 | + | # 이미지 1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최대섭-흔적.JPG |흔적, 1980, 종이에 먹, 채색, 98x68.5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ref>"[http://jma.go.kr/korean/SubPage.php?CID=collection/people_view.php&sselect=&stext=&page=19&pp_id=102 흔적]", 소장품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북도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50 : [[최영림]]=== |
− | ====수집 | + | ====수집==== |
− | # 이미지 | + | # 이미지 5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무제 (남과여) 01.jpg| 무제(남과 여), 연도미상, 종이에 판화, 59x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DP-04666 무제(남과 여)]",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원태 01.jpg|원태, 1969, 캔버스에 유채․토분, 116x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37 원태]",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심청전에서 01.jpg|심청전에서, 1967, 캔버스에 유채․토분, 85x8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50 심청전에서]",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경사날 01.jpg|경사날, 1975, 캔버스에 유채, 75x170cm, 개인소장<ref>"[http://db.gamsung.org/hk_gamsungdb/sboard3/read.php?db=allnewdb&cateuid=1&page=2&uid=954 경사날]",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감성DB』<sup>online</sup></online></html>, 호남학연구원.</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최영림_모자.jpg|모자, 1976, 캔버스에 유채․토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16 모자]",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51 : [[하인두]]=== |
− | ====수집( | + | ====수집(이5)==== |
− | # 이미지 | + | # 이미지 5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하인두.jpg|<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하인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하인두_자화상.jpg|자화상, 1957, 캔버스에 유채, 87.5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5662 자화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하인두_환중.jpg|환중 1, 1984,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129 환중]",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하인두 만다라 01.jpg|만다라, 1984, 캔버스에 유채, 117x80cm, 부산시립미술관 소장<ref>"[https://art.busan.go.kr/05_possession/possession01.jsp?amode=view&id=461&stype=artist_name&sstring=%ED%95%98%EC%9D%B8%EB%91%90 만다라]", 소장품보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부산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하인두 혼불-빛의 회오리 01.jpg|혼불-빛의 회오리, 1989, 캔버스에 유채, 194x26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992# 혼불-빛의 회오리]",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수집( | + | ==소장처==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C153 :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수집(이1 / 영2)==== | |
−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H3CL8A3X648 한국학중앙연구원 홍보동영상], [https://www.youtube.com/embed/WZO0IeFzQzI 대한뉴스 제 1191호-한국 정신 문화연구원 개원식] | |
− | + | # 이미지 1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소장처_한국학중앙연구원_사진1.jpg | <ref>"[http://www.aks.ac.kr/home/index.do 한국학중앙연구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중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C156 : [[인천문화예술회관]]=== |
− | ====수집 | + | ====수집==== |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f3sfWG7UggU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20주년 시립예술단 합동공연]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이미지 1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소장처 인천문화예술회관 01.jpg |<ref>김정희, "[http://incheonnamgu.grandculture.net/Contents?local=incheonnamgu&dataType=01&contents_id=GC04701121 인천문화회관]" ,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인천남구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인물== |
− | ====수집( | + | ===[[이괄]]=== |
− | # 이미지 | + | ====수집(이1)==== |
+ | #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이괄_이괄필적.jpg|이괄의 필적<ref>하현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665 이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의순]]=== |
− | ====수집( | + | ====수집(이1 / 영1)==== |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player.vimeo.com/video/168606390?byline=0&portrait=0 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이미지 1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의순_선사의영정.jpg|의순의 영정<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이시헌]]=== |
− | ====수집( | + | ====수집(이1)==== |
− | # | + | # 이미지 1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이덕휘_다산이차를요청한편지.jpg|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ref>김태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563335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ref> |
− | 파일: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백제 의자왕]]=== |
− | ====수집 | + | ====수집====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Ceis7V8j1BI 의자왕 항복의 충격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이미지 1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의자왕 단비와 가묘 01.jpg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곽재우]]=== |
− | ====수집 | + | ====수집====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F3iQoJkcl4 NATV 국회방송 - 한국의 정신, 곽재우] |
− | # 이미지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곽재우.jpg | 곽재우 동상<ref>좋은 습관 블로그,"[http://ywpop.tistory.com/2325 대구 망우공원 홍의장군 곽재우 동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티스토리』<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영규]]=== |
− | ====수집( | + | ====수집(이1)==== |
− | # 이미지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 민족기록화_인물_영규_영정.jpg|영규대사 영정<ref>김영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243 영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심덕부]]=== |
− | ====수집==== | + | ====수집(영1)==== |
− | # 영상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fgd3XAiprXw 정신문화기획시리즈 오래된 약속6편 청송 심씨 두 형제의 다른 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혜장]]=== |
+ | ====수집(영1)====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r5izySd1vbM U-남도여행길잡이 강진군-백련사] | ||
+ | |||
+ | ===[[이병철]]=== | ||
====수집(이1)==== | ====수집(이1)====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이병철 대표사진01.jpg|이병철 대표사진<ref>윤희종, 조은효,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2246441 이병철 탄생 100년.. 삼성의 ‘일류 DNA’ 원천을 찾는다]", 『파이낸셜뉴스』, 2010년 1월 13일</ref>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김종필]]=== |
− | ====수집==== | + | ====수집(이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김종필01.png|김종필 국무총리.<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A2%85%ED%95%84 김종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10월 21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권율]]=== |
====수집(이5)==== | ====수집(이5)==== | ||
− | # 이미지 5 | + | # 이미지 5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권율 동상.jpg| 행주산성 권율 동상<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22 권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고양 충장사.jpg| 행주산성 충장사<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22 권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이치대첩비.jpg| 이치대첩비<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22 권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권율 묘.jpg| 경기도 양주 권율 묘<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22 권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권원수실적.jpg| 권원수실적<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22 권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김개남]]=== | |
− | + | ====수집(이1,영1)====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WcCrfWpor8 동학농민군의 마지막 격전지, 우금치] | |
− | + | # 이미지 1 : |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김개남 01.jpg |김개남<ref>김용덕, "[http://namwo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amwon&dataType=01&contents_id=GC00600790 김개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남원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이미지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손화중]]=== |
− | ==== | + | ====수집(영1)==== |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wSPYXMn7xZE 동학농민혁명] |
− | |||
− | |||
− | |||
− | === | + | ===[[원균]]=== |
− | ====수집( | + | ====수집(이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원균_선무공신교서_01.jpg| 원균 선무공신교서<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2,11330000,31&imgfname=1615996.jpg&dirname=treasure&photoname=%EA%B5%90%EC%84%9C%EB%82%B4%EC%9A%A9&photoid=1615996#pr2 원균 선무공신교서]",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묘.jpg| 원균 묘소<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1646118.jpg&dirname=monument&photoname=%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photoid=1646118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 신도비.jpg| 원균 신도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2017080216044403.jpg&dirname=monument&photoname=%EC%8B%9C%EB%8F%84%EA%B8%B0%EB%85%90%EB%AC%BC%20%EC%A0%9C57%ED%98%B8_%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_%EC%8B%A0%EB%8F%84%EB%B9%84&photoid=4333685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원균 사당.jpg | 원균 사당<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00570000,31&imgfname=1646119.jpg&dirname=monument&photoname=%EC%9B%90%EA%B7%A0%EC%9E%A5%EA%B5%B0%EB%AC%98%EC%82%AC%EB%8B%B9&photoid=1646119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이억기]]=== |
− | ====수집==== | + | ====수집(이 3)====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여수 충민사.jpg| 여수 충민사<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3810000,36&imgfname=1627196.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7%AC%EC%88%98%20%EC%B6%A9%EB%AF%BC%EC%82%AC%20-%20%EC%B6%A9%EB%AF%BC%EC%82%AC&photoid=1627196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여수 충민사 숭모문.jpg| 여수 충민사 숭모문<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3810000,36&imgfname=1627194.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7%AC%EC%88%98%20%EC%B6%A9%EB%AF%BC%EC%82%AC%20-%20%EC%88%AD%EB%AA%A8%EB%AC%B8&photoid=1627194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여수 충민사 내부.jpg | 여수 충민사 내부<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3810000,36&imgfname=1627197.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7%AC%EC%88%98%20%EC%B6%A9%EB%AF%BC%EC%82%AC%20-%20%EC%B6%A9%EB%AF%BC%EC%82%AC%20%EB%82%B4%EB%B6%80&photoid=1627197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전봉준]]=== |
− | ==== | + | ====수집(이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전봉준 01.jpg | 전봉준<ref>김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437 전봉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gallery> | </gallery> | ||
− | </ | + | ===[[안중근]]=== |
+ | ====수집(이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안중근 01.jpg| 안중근 <ref>오세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 | + | ===[[홍범도]]=== |
− | < | + | ====수집(영상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_jmcW_m7Seo 카자흐스탄 홍범도 장군묘역] | ||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홍범도.jpg | 홍범도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093 홍범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김시민]]=== | ||
+ | ====수집(영상2)====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IpAa2LcK51A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 [http://jinju.museum.go.kr/html/kr/exhibition/exhibition_04.html 진주대첩] | ||
− | + | ===[[안창호]]=== | |
− | + | ====수집(이미지 1)==== | |
− | |||
− | ===[[ | ||
− | ====수집(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안창호.jpg | 안창호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50 안창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정기룡]]=== |
− | ====수집( | + | ====수집(영상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jkS6YaF0tRs 정신문화기획시리즈 오래된 약속 16편 60전 무패신화 정기룡 장군]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정기룡 01.jpg | 정기룡 <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017 정기룡]",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김좌진]]=== |
− | ====수집( | + | ====수집(영상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hItLEKpQ_JA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청산리 대첩을 승리로 이끈 항일운동의 영웅 백야 김좌진]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김좌진.jpg | 김좌진 <ref>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528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임경업]]=== |
− | ==== | + | ====수집(영상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2PrluMh1Nlo 한국의 정신 -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임경업.jpg | 임경업 <ref>차문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365 임경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이토 히로부미]]=== |
− | ====수집==== | + | ====수집(이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이토 히로부미.jpg |이토 히로부미 <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t%C5%8D_Hirobumi.jpg?uselang=ko Ito Hirobumi]",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미디어』<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 ||
</gallery> | </gallery> | ||
− | ===[[ | + | ===[[신돌석]]=== |
− | ====수집( | + | ====수집(영1, 이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oLUBZkrXXm0 NATV 국회방송 그날을말하다 10회 신돌석]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신돌석생가 01.jpg | 신돌석 생가<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23%2C00870000%2C37&imgfname=1654542.jpg&dirname=monument&photoname=신돌석장군생가지&photoid=1654542# 신돌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이승훈]]=== |
− | ====수집( | + | ====수집(이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남강 이승훈 01.jpg | 이승훈 <ref>김호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 | + | ===[[배중손]]=== |
− | ====수집( | + | ====수집(이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2tZAgAbvzBw 배중손 사당] |
− | |||
− | |||
− | |||
− | |||
− | |||
− | ===[[ | + | ===[[배중손]]=== |
− | ====수집( | + | ====수집(영상 1,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gqaj8KM67cE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김종서 유허지.jpg | 김종서 유허지 <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31,03940000,34&imgfname=1661575.jpg&dirname=cultural_material&photoname=%EA%B9%80%EC%A2%85%EC%84%9C%EC%9C%A0%ED%97%88%EC%A7%80&photoid=1661575#pr2 김종서유허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박승환]]=== |
− | ====수집( | + | ====수집(이미지 1)==== |
− | # 이미지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박승환.jpg | 박승환 <ref>"[http://www.mpva.go.kr/narasarang/month_hero_view_photo.asp?id=70&ipp=12 박승환]",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이달의 독립운동가』<sup>online</sup></online></html>, 국가보훈처.</ref>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민영환]]=== |
− | ====수집( | + | ====수집(영상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rrnboBozYbM 한국의 정신 사이불사, 2천만 동포에게 죽음으로 남긴 애국정신 계정 민영환] |
− | # 이미지 1 :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민영환.jpg | 민영환 <ref>김성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0206 민영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이완용]]=== |
− | ====수집( | + | ====수집(영상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ZB18F3_JXME 친일파 이완용 재산, '여의도 7.7배 규모'…후손 대물림 여전] |
− | + | # 이미지 1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이완용.jpg | 이완용 <ref>차문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234 이완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손병희]]=== |
− | ====수집( | + | ====수집(영상1)====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bxxaSxp2Xow '손병희 선생의 애국정신 다시 새기자' 탄신제 열려] | |
− | |||
− | |||
− | |||
− | |||
− | ===[[ | + | ===[[변이중]]=== |
− | ====수집( | + | ====수집(영상1)====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wpWfu98L_aI 화차 시험발사 #1/2 (망암 변이중 서거 400주년 기념사업)] | |
− | |||
− | |||
− | ===[[ | + | ==단체== |
− | ====수집( | + | ===[[금성사]]===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수집 (이미지 6)====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
+ | 파일:민족기록화_단체_금성사_로고.jpg | 금성사 로고<ref>김창훈, "[http://www.hankookilbo.com/v/fdd6d72b73144d20805d646061dde0c5 금성사 전자레인지 '34년 만의 귀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일보』<sup>online</sup></online></html>, 2017년 8월 24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단체_금성사_금성라디오_A-501.jpg| 금성라디오 A-501(1959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79,05590100,31 금성라디오 A-501]",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금성사 상품전시장.jpg | 금성사 상품전시장(1965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629&dsid=000000000007&gubun=search 금성사상품전시장광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금성사 TV생산 장면.jpg | 금성사 근로자 작업광경(1970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695&dsid=000000000011&gubun=search 금성사작업광경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금성사 금오기술학교.jpg | 금성사 금오기술학교(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113&dsid=000000000002&gubun=search 금성사금오기술학교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금성사 김영상대통령방문.jpg | 김영삼대통령 금성사방문 근로자격려(1994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85934&dsid=000000000001&gubun=search 김영삼대통령금성사방문근로자격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 ||
</gallery> | </gallery> | ||
− | ===[[ | + | ===[[선경직물]]=== |
− | ====수집( | + | ====수집 (이미지 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단체_선경직물_01.jpg| 1950년대 선경직물<ref>"[https://ksun.suwon.go.kr/digitalgallery/view.asp?idx=16&kind_code_01=A&kind_code_02=A&kind_code_03=C&page=1 1950년대 선경직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수원시 권선구 디지털갤러리』<sup>online</sup></online></html>, 수원시 권선구청.</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단체_선경직물_02.jpg| 선경직물 공장내부 방직 작업 모습(1973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807&dsid=000000000002&gubun=search 선경직물공장내부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단체_선경직물_03.jpg| 선경직물 공장전경 항공촬영(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062&dsid=000000000003&gubun=search 선경직물공장항공촬영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단체_선경직물_04.jpg| 1974년 선경합섬<ref>"[https://ksun.suwon.go.kr/digitalgallery/view.asp?idx=17&kind_code_01=A&kind_code_02=A&kind_code_03=C&page=1 1977년 4월 선경합섬 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수원시 권선구 디지털갤러리』<sup>online</sup></online></html>, 수원시 권선구청.</ref> | |
− | < |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단광회]]=== |
− | ====수집( | + | ====수집(이미지 2)====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File:민족기록화_단체_단광회_단광회전람회.jpg| 1943년 제1회 [[단광회전람회]] 기념사진.<ref>앞줄 오른쪽 두 번째 자리에 앉은 사람이 [[단광회]] 창립을 주도했던 [[야마다 신이치]]이다.</ref><ref>김용철, 「[http://kaja.ne.kr/_common/do.php?a=full&b=&bidx=209&aidx=2504 총력전시기 재조선일본인 미술가의 역할과 위상]」, 『일본학보』, 100권, 100호, 한국일본학회, 2014, 409쪽.</ref> | |
+ | File:민족기록화_단체_단광회_조선징병제실시기념화.jpg | <[[조선징병제실시기념화]]><ref>김용철, 「[http://kaja.ne.kr/_common/do.php?a=full&b=&bidx=209&aidx=2504 총력전시기 재조선일본인 미술가의 역할과 위상]」, 『일본학보』, 100권, 100호, 한국일본학회, 2014, 409쪽.</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 | ====수집( | + | ====수집(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DxgWbQv47LU 대한뉴스 제 1162호-역대 국전 수상작품전] |
− | |||
− | |||
− | |||
− | |||
− | ===[[ | + | ===[[르 살롱]]=== |
− | ====수집( | + | ====수집(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6-owqX-ajOI Bilan 2017 très positif pour le Salon des Artistes Français !] |
− | |||
− | |||
− | |||
− | |||
− | ===[[ | + | ===[[목우회]]=== |
− | ====수집( | + | ====수집(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목우회"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목우회 오승우 십장생도.JPG| 오승우, 십장생도, 목우회 회원전 출품<ref>"[http://www.mokwoohoe.com/SUB03/sub0301.php?mode=view&bo_table=mbexhibition&wr_id=1125 십장생도]", 회원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목우회』<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종군화가단]]=== |
− | ====수집( | + | ====수집(이미지 4)====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종군화가단"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김환기 피난열차.jpg | 김환기, 피난열차, 1951, 캔버스에 유채, 37x52, 개인소장<ref>맹수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32&bbs_id=BBSMSTR_000000000138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ref>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이수억 전선야곡.jpg | 이수억, 전선야곡, 1952, 캔버스에 유채, 72.7x60, 개인 소장<ref>맹수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32&bbs_id=BBSMSTR_000000000138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이중섭 MP.jpg | 이중섭, MP, 1952, 종이에 먹과 색연필, 19x11, 개인소장<ref>맹수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32&bbs_id=BBSMSTR_000000000138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자유의여신.jpg | 1952년 군복 차림의 화가들이 문교부·보건부가 청사로 쓰던 옛 부산시청에 걸릴 '자유의여신'을 그리고 있다.<ref>윤범모,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08084.html 길을 찾아서(31), 국방부 종군화가단의 활동]", 『한겨레신문』, 2017년 08월 24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후소회]]=== |
− | ====수집( | + | ====수집(이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left"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후소회 후소회창립전.jpg|후소회 창립전, 12×16, 1936.11.3<br/><ref>김달진, "[http://www.daljin.com/column/14907 한국화 단체와 전시회의 역사 : 1936-2016 (1)]", 외부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김달진미술연구소』<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태화복지재단]]=== |
− | ====수집(이 1 | + | ====수집(이 1/영 1)====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태화복지재단 로고.JPG | 태화복지재단 로고<ref>"『[http://www.taiwhafound.org 태화복지재단]』<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사회복지법인 감리회 태화복지재단."</ref> | |
− | |||
− | <gallery mode=packed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ec_ln7cTfo8 태화복지재단 홍보영상] | ||
− | ===[[ | + | ===[[한국수력원자력]]=== |
− | ====수집( | + | ====수집(이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수력원자력 대표사진01.jpg|한국수력원자력 로고<ref>"『[http://www.khnp.co.kr/main.do 한국수력원자력]』<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파일:민족기록화 | ||
</gallery> | </gallery> | ||
− | ===[[ | + | ===[[고리원자력발전소]]=== |
− | ====수집( | + | ====수집(이 3/영 1)====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gallery mode=packed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고리원자력발전소 전경01.jpg|고리1,2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kori/main.office 고리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고리원자력발전소 전경02.jpg|고리3,4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kori/main.office 고리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고리원자력발전소 전경03.jpg|신고리1,2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kori/main.office 고리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LwI5ATi_g5c 대한뉴스 제 1194호-고리 원자력 발전소 준공및 기공식] | ||
− | ===[[ | + | ===[[한울원자력발전소]]=== |
− | ====수집( | + | ====수집(이 3)====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01.jpg|한울1,2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hanul/main.office 한울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02.jpg|한울3,4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hanul/main.office 한울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03.jpg|한울5,6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hanul/main.office 한울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월성원자력발전소]]=== |
− | ====수집( | + | ====수집(이 3)====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01.jpg|월성1,2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wolsong/main.office 월성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02.jpg|월성3,4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wolsong/main.office 월성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03.jpg|신월성1,2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wolsong/main.office 월성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한빛원자력발전소]]=== |
− | ====수집( | + | ====수집(이 3)====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빛원자력발전소 전경01.jpg|한빛1,2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hanbit/main.office 한빛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빛원자력발전소 전경02.jpg|한빛3,4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hanbit/main.office 한빛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빛원자력발전소 전경03.jpg|한빛5,6호기 전경<ref>"『[http://www.khnp.co.kr/hanbit/main.office 한빛원자력본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수력원자력."</ref> | ||
+ | </gallery> | ||
− | ===[[ | + | ===[[한국비료공업]]=== |
− | ====수집( | + | ====수집(영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J-4xhy18YJc 대한뉴스 제 605호-전진의 맥박] |
− | + | ===[[충주비료공장]]=== | |
− | ===[[ | + | ====수집(이 3/영 4)==== |
− | ====수집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1.jpg|충주비료공장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2.jpg|충주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3.jpg|충주비료공장을 시찰중인 정부 각료들.<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영상 4: [https://www.youtube.com/embed/fkGLfxLNo5o 대한뉴스 제 180호-충주 비료공장], [https://www.youtube.com/embed/_dkFQ3q-qds 대한뉴스 제 206호-충주비료 발전소 시운전], [https://www.youtube.com/embed/VjYhAs-x8RQ 대한뉴스 제 312호-충주 비료공장 준공], [https://www.youtube.com/embed/UU1onJyrBRg 대한뉴스 제 255호-충주비료공장 가동] | |
− | + | ||
− | + | ===[[국제연합한국재건단]]===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수집(이 3/영 1)====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제연합한국재건단 대표사진01.jpg|운크라의 원조 조인식 석상에서의 운크라 단장과 백두진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next/photo/supplies02List.do 전후경제복구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진!대한민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제연합한국재건단 대표사진02.jpg|구호물자를 전달하는 운크라 관계자<ref>"[http://theme.archives.go.kr/next/photo/supplies02List.do 전후경제복구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진!대한민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제연합한국재건단 대표사진03.jpg|한국 경제원조 계획에 관한 운크라 협약서<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1461&cid=57618&categoryId=57621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BHIcILgjnjo 대한뉴스 제 62호-국제연합 한국재건단에게 감사장 수여] | ||
− | ===[[ | + | ===[[인천판유리]]=== |
− | ====수집 ( | + | ====수집(이 3/영 1)====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인천판유리 1957년사진.jpg|1957년 당시 인천판유리 공장 전경<ref>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인천판유리 준공식01.jpg|1956년 2월 14일 인천판유리 준공식 현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1461&cid=57618&categoryId=57621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인천판유리 준공식02.jpg|1956년 2월 14일 인천판유리 준공식 현장<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9&detl_PhotoDTL=387 인천판유리 공장 준공기념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fITPujdg4V8 대한뉴스 제 146호-인천 판유리 공장] | ||
− | ===[[ | + | ===[[쌍용양회 문경공장]]=== |
− | ====수집( | + | ====수집(이 3/영 1)====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 문경공장 전경01.jpg|쌍용양회 문경공장 전경<ref>"[http://www.idaegu.com/?c=6&uid=365430 쌍용양회 문경공장 ‘산업유산’ 등재 시동]", 『대구일보』, 2017년 6월 19일.</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 문경공장 기공식01.jpg|1955년 11월 30일 쌍용양회 문경공장 기공식 현장<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2&detl_PhotoDTL=232 문경 시멘트공장 기공식(1)]",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 문경공장 준공식01.jpg|1957년 9월 26일 쌍용양회 문경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9&detl_PhotoDTL=389 문경시멘트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zjWCWiBNT_4 대한뉴스 제 133호-문경시멘트 공장 준공] | ||
− | ===[[ | + | ===[[쌍용양회 동해공장]]=== |
− | ====수집( | + | ====수집(이 3)====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작업광경01.jpg|쌍용양회공업 작업광경<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8 쌍용양회공업(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01.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8 쌍용양회공업(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02.jpg|쌍용양회 동해공장 클링커 생산 광경<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2843078 쌍용양회 동해공장 가보니 녹색성장 '활짝']", 『아시아경제』, 2012년 9월 17일.</ref> | |
− | |||
− | |||
− | |||
− |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gallery> | </gallery> | ||
− | ===[[ | + | ===[[쌍용양회공업]]=== |
− | ====수집( | + | ====수집(이 4/영 2)====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로고01.jpg|쌍용양회공업 로고<ref>"『[http://www.ssangyongcement.co.kr/default.html 쌍용양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영월공장01.jpg|쌍용양회 영월공장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038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영월공장02.jpg|쌍용양회 영월공장 100만 톤 증설 준공식<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037 태완선 경제기획원장관 쌍용양회 영월공장 100만 톤 증설 준공식 참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01.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8 쌍용양회공업(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2: [https://www.youtube.com/embed/ffsa3rekkU4 대한뉴스 제 384호-건설의 새소식], [https://www.youtube.com/embed/V-5EWgmB44o 대한뉴스 제 676호-큰 규모의 시멘트 공장] | ||
− | ===[[ | + | ===[[롯데정밀화학]]=== |
− | ====수집( | + | ====수집(이 1)====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롯데정밀화학 로고01.jpg|롯데정밀화학 로고<ref>"『[http://www.lottefinechem.com/ 롯데정밀화학]』<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산림청]]=== |
====수집(이 1/영 1)==== | ====수집(이 1/영 1)====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산림청 로고01.png|산림청 로고<ref>『[http://www.forest.go.kr/newkfsweb/kfs/idx/Index.do?mainType=01 산림청]』<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산림청.</ref>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9foch6Dr_hk 대한뉴스 제 605호-산림청 발족] |
− | ===[[ | + | ===[[국립종축원]]=== |
− | ====수집(이 | + | ====수집(이 4)====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립종축원 남원지원01.jpg|국립종축원 남원지원을 방문한 장원식 국무총리<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15489&detl_PhotoDTL=124478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립종축원 대표사진01.jpg|국립종축원 연구원<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245 국립종축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립종축원 대표사진02.jpg|국립종축원 남원지원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15489&detl_PhotoDTL=124485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립종축원 대표사진03.jpg|국립종축원 남원지원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15489&detl_PhotoDTL=124485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국립축산과학원]]=== |
− | ====수집(이 | + | ====수집(이 1)====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국립축산과학원 로고01.png|국립축산과학원 로고<ref>『[http://www.nias.go.kr/front/main.do 국립축산과학원]』<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축산과학원.</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팔당수력발전소]]=== |
− | ====수집(이 3)==== | + | ====수집(이 1/영 3)====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팔당수력발전소 전경01.JPG|팔당수력발전소 전경<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tour.jsp?cid=1851129 팔당수력발전소]", 관광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3: [https://www.youtube.com/embed/Gscop9dId9w 대한뉴스 제 985호-팔당 댐 준공], [https://www.youtube.com/embed/A_7sEPuZ-Sk 대한뉴스 제 575호-건설의 메아리],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11206&mediadtl=25235&gbn=MH 팔당댐(팔당수력발전소)] | ||
− | ===[[ | + | ===[[극동건설]]=== |
− | ====수집(이 | + | ====수집(이 1/영 1)====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극동건설 로고01.jpg|극동건설 로고<ref>"[http://www.kukdong.co.kr/pr/ci.asp CI.BI]",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극동건설 홈페이지』<sup>online</sup></online></html>, 극동건설.</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K0J4csDMkD8 대한뉴스 제 394호-건설의 새소식] | ||
− | ===[[ | + | ===[[구상전]]=== |
− | ====수집(이 | + | ====수집(이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구상전"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구상전 공모전대상(작은소망).jpg | 2015년 제 44회 구상전 공모대전 대상 수상작품, 김은영 <작은소망><ref>"[http://gusangjeon.com/successive/3336 2015년 제44회 구상전 공모대전 수상작품]", 구상전 공모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단법인 구상전』<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흥사단]]=== |
− | ====수집(영 1)==== | + | ====수집(이 1/영 1)====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흥사단 01.jpg | 흥사단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6028&levelId=ti_028_0150&whereStr=%40where+%7B+IDX_TITLE%28HASALL%7C%27%ED%9D%A5%EC%82%AC%EB%8B%A8%27%7C100000%7C0%29+or+IDX_CONTENT%28HASALL%7C%27%ED%9D%A5%EC%82%AC%EB%8B%A8%27%7C100%7C0%29+or+IDX_ALL%28HASALL%7C%27%ED%9D%A5%EC%82%AC%EB%8B%A8%27%7C1%7C0%29+%7D 흥사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JVpJC6n5coA pcs4134 - 흥사단홍보영상] | ||
− | ===[[ | + | ===[[대성학교]]=== |
− | ====수집(이 | + | ====수집(이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성학교.jpg | 대성학교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ref>"[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str_040&levelId=ti_025_0240 대성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북로군정서]]=== |
− | ====수집(이 | + | ====수집(이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북로군정서.jpg | 김좌진과 북로군정서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ref>"[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06028&levelId=ti_028_0340 김좌진과 북로 군정서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화순광업소]]=== |
− | ====수집(이 | + | ====수집(이 2/영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화순광업소 01.jpg | 화순광업소 전경 <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31/0200000000AKR20160531110600054.HTML 화순탄광 '폐업설' 술렁…노조 파업 추진]", 『연합뉴스』, 2016년 5월 31일.</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화순광업소 02.jpg | 광업소 갱도내<ref>"[http://www.hwasuntoday.com/sub_read.html?uid=22409§ion=sc3 화순광업소 비정규직 편법 운영 여전]", 『화순투데이』, 2016년 1월 14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b4dYdfQKH2o 여수MBC - 화순탄광 폐쇄 위기 넘겨] |
− | ===[[ | + | ===[[장성광업소]]=== |
− | ====수집(이 | + | ====수집(이 4/영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장성광업소 01.jpg | 장성탄광 광부들 레일카 탑승, 갱도 출입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9839&dsid=000000000002&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장성광업소 02.jpg | 장성탄광 광부들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9839&dsid=000000000001&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장성광업소 03.jpg | 선탄장(選炭場) 전경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81108&dsid=000000000001&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장성광업소 04.jpg | 사택촌(화광아파트) 전경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81138&dsid=000000000001&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ref></gallery>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U12nYBxXdyE 대한석탄공사 - 석탄의 생산에서 출하까지] |
− | ===[[ | + | ===[[도계광업소]]=== |
− | ====수집(이 | + | ====수집(이 4/영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1.jpg | 갱내(坑內)로 들어가는 광부들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4&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2.jpg | 갱내(坑內)에서 캔 석탄을 밖으로 운반하는 광부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3&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3.jpg | 갱내(坑內)에서 채탄(採炭)작업하는 광부들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5&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4.jpg | 광업소 소속 광부의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2&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gt4DDkQLY4c YTN 실시간뉴스 - 석탄공사 폐지 수순] | ||
− | ===[[ | + | ===[[대한석탄공사]]=== |
− | ====수집(이 | + | ====수집(이 1/영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한석탄공사 로고 01.jpg | 대한석탄공사 로고.<ref>『[https://www.kocoal.or.kr/ 대한석탄공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대한석탄공사.</ref> |
− | + | </gallery>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zIncuXdqNG8 중앙일보 - 여기는 지하 557m, '세상의 막장' 탄광 속을 기자가 직접 내려가봤더니]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
+ | ===[[한국광해관리공단]]=== | ||
+ | ====수집(이 1/영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광해관리공단 로고 01.jpg| 한국광해관리공단 로고.<ref>『[http://www.mireco.or.kr/ 한국광해관리공단]』<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광해관리공단.</ref>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qjo5sr5jiRY 한국광해관리공단 홍보영상] |
− | ===[[ | + | ===[[보성사]]=== |
====수집(이 1)==== | ====수집(이 1)====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독립선언서 01.jpg| 독립기념관 소장 독립선언서.<ref>"[http://search.i815.or.kr/e-book/index.html#/16 독립선언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자료 사진집』<sup>online</sup></online></html>, 독립기념관.</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포항종합제철]]=== |
− | ====수집(이 1/영 | + | ====수집(이 1/영 2)====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포스코 로고.jpg| 포스코 로고.<ref>"[http://www.posco.co.kr/homepage/docs/kor5/jsp/prcenter/download/s91i0000091m.jsp?mdex=posco43A 다운로드]", 홍보채널, <html><online style="color:purple">『posco』<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 + | # 영상 2: [https://www.youtube.com/embed/khcnfegQXXI POSCO - 포스코 제철 공정 포항제철소], [https://www.youtube.com/embed/LUvTi6Bb8QE POSCO - 포스코 제철 공정 광양제철소] |
− | ===[[ | + | ===[[기아자동차]]=== |
− | ====수집(이 | + | ====수집(이 6/영 1)====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기아자동차 로고.jpg| 기아자동차 로고.<ref>"[http://pr.kia.com/ko/company/about-kia/ci.do CI]", company, <html><online style="color:purple">『KIA』<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기아자동차 01.jpg| 1956년 기아산업 자전거 생산 광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519&dsid=000000000007&gubun=search 기아산업주식회사자전거생산광경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기아자동차 02.jpg| 1972년 기아산업 오토바이 생산 광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781&dsid=000000000002&gubun=search 기아산업오토바이생산광경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기아자동차 03.jpg| 1972년 기아산업 공장내부<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6700&dsid=000000000009&gubun=search 기아산업공장내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기아자동차 04.jpg| 1976년도 기아산업 공장전경 항공촬영<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065&dsid=000000000001&gubun=search 기아산업항공촬영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기아자동차 05.jpg| 1977년 기아산업 포.장갑차 조립장면<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222&dsid=000000000004&gubun=search 기아산업포.장갑차조립4]",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Tkak3MAkk2c 현대자동차그룹 -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 K9,카니발,프라이드 자동차 제작과정] | ||
− | ===[[ | + | ===[[현대중공업]]=== |
− | ====수집(이 1)==== | + | ====수집(이 6/영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현대중공업 로고.jpg| 현대중공업 로고.<ref>"[https://www.hhi.co.kr/About/about08 현대중공업 CI]", <html><online style="color:purple">『현대중공업』<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현대중공업 01.jpg| 울산 미포항 현대조선소 공사 현장 시찰<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703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울산미포항현대조선소공사현장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현대중공업 02.jpg| 울산 현대조선소 전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804&dsid=000000000005&gubun=search 현대조선소전경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현대중공업 03.jpg| 울산 현대조선소 선박 제작 현장<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902&dsid=000000000002&gubun=search 현대조선소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현대중공업 04.jpg| 울산 현대조선소 내부 전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902&dsid=000000000004&gubun=search 현대조선소내부광경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현대중공업 05.jpg| 현대조선소 유조선 전경(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957&dsid=000000000005&gubun=search 현대조선소유조선전경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Wqf05NgPlp4 연합뉴스 TV - 현대중공업 정주영, 500원으로 일군 대한민국 조선사] | ||
− | ===[[ | + | ===[[삼도물산]]=== |
− | ====수집(이 | + | ====수집(이 3)====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삼도물산 01.jpg| 삼도물산 봉제품 공장 전경(1973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819&dsid=000000000002&gubun=search 삼도물산 봉제품공장 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삼도물산 02.jpg| 삼도물산 직원들 체조(1973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819&dsid=000000000003&gubun=search 삼도물산직원들체조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삼도물산 03.jpg| 삼도물산 직원들 체조(1973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819&dsid=000000000004&gubun=search 삼도물산직원들체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대동공업]]=== |
− | ====수집(이 | + | ====수집(이 6/영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동공업 로고.jpg|대동공업 로고.<ref>"[http://www.daedong.co.kr:2015/company/info/ci02Page.do 대동공업 CI]",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동공업』<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동공업 01.jpg| 진주 대동공업 내부 모습<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513&dsid=000000000001&gubun=search 진주대동공업주식회사공장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동공업 02.jpg| 박정희의장 대동공업사 시찰<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6622&dsid=000000000005&gubun=search 박정희의장대동공업사시찰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동공업 03.jpg| 대동공업 농기구 작업 과정<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40671&dsid=000000000001&gubun=search 대동공업농기구작업과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동공업 04.jpg| 공장 내부의 경운기<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862&dsid=000000000001&gubun=search 대동공업농기구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대동공업 05.jpg| 공장내에서 제작중인 경운기<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862&dsid=000000000004&gubun=search 대동공업근로자농기구제작광경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물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영상 1: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LX38pkmq94c 대동공업, 70주년 기업 홍보 영상] |
− | ===[[ | + | ===[[한국도로공사]]=== |
− | ====수집(이 1)==== | + | ====수집(이 6/영 1)====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도로공사 로고.jpg|한국도로공사 로고.<ref>"[http://www.ex.co.kr/site/com/pageProcess.do 한국도로공사 CI]",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도로공사』<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도로공사 01.jpg| 한국도로공사 창립 현판식 모습<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43710&dsid=000000000002&gubun=search 한국도로공사현판식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도로공사 02.jpg| 한국도로공사 서울영업소 전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77267&dsid=000000000001&gubun=search 한국도로공사의서울영업소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도로공사 03.jpg| 김재규 건설부장관, 영동·동해고속도로 공사장 시찰<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73207&dsid=000000000013&gubun=search 김재규건설부장관영동고속도로공사장시찰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도로공사 04.jpg|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교통정보센터 전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77262&dsid=000000000002&gubun=search 한국도로공사의고속도로교통정보센터전경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도로공사 05.jpg| 한국도로공사본사전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77303&dsid=000000000001&gubun=search 한국도로공사본사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b-czFEtOtvk YOUNGSOO KIM - 한국도로공사 교통방송(exTV) 홍보영상] |
− | ===[[ | + | ===[[호남정유]]=== |
− | ====수집(이 | + | ====수집(이 3)====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호남정유 01.jpg| 호남정유 공장 전경(1969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9385&dsid=000000000001&gubun=search 호남정유공장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호남정유 02.jpg| 호남정유 공장 전경(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184&dsid=000000000002&gubun=search 호남정유전경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호남정유 03.jpg| 새마을산업시찰단 호남정유 시찰(1977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70607&dsid=000000000001&gubun=search 새마을산업시찰단호남정유시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한일합섬]]=== |
− | ====수집(이 | + | ====수집(이 7)====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일합섬 01.jpg| 한일합섬공업주식회사 준공식(1967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9216&dsid=000000000001&gubun=search 한일합섬공업주식회사준공식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일합섬 02.jpg| 한일합섬 공장 내부 작업자 기계 관리 모습(1970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40674&dsid=000000000003&gubun=search 한일합섬작업과정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일합섬 03.jpg| 한일합섬 방직공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1972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763&dsid=000000000015&gubun=search 한일합섬방직공장작업광경13]",<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일합섬 04.jpg| 마산 한일합섬 공장 전경(1973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860&dsid=000000000006&gubun=search 한일합섬공장전경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일합섬 05.jpg| 한일합섬 수원공장 시찰(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9421&dsid=000000000004&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큰영애한일합섬수원공장시찰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일합섬 06.jpg| 마산 한일합섬 편직쉐타 작업 광경(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948&dsid=000000000003&gubun=search 한일합섬근로자작업광경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일합섬 07.jpg| 노태우대통령), 한일합섬 내 한일여고학생 방문 격려(1992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86814&dsid=000000000001&gubun=search 노태우대통령한일합섬내한일여고학생방문격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신진자동차공업]]=== |
− | ====수집(이 | + | ====수집(이 5)====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신진자동차 01.jpg| 신진자동차의 조업 광경(196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40068&dsid=000000000001&gubun=search 신진자동차제작광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신진자동차 02.jpg| 신진자동차 공장 작업 모습(1970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710&dsid=000000000001&gubun=search 신진자동차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신진자동차 03.jpg| 수밀시험장(Water test)에서 생산된 자동차를 시험하는 광경(1970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710&dsid=000000000002&gubun=search 신진자동차수밀시험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신진자동차 04.jpg| 신진자동차 공장 전경(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965&dsid=000000000003&gubun=search 신진자동차공장전경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신진자동차 05.jpg| 신진자동차 공장 작업 모습(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965&dsid=000000000001&gubun=search 신진자동차공장작업근로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한국기계공업]]=== |
− | ====수집(이 | + | ====수집(이 5/영 1)====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기계공업 01.jpg | 한국기계공장 작업광경(1965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729&dsid=000000000002&gubun=search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사진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기계공업 03.jpg | 한국기계공장 작업광경(1965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729&dsid=000000000001&gubun=search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사진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기계공업 04.jpg | 박정희대통령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 시찰(1968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6927&dsid=000000000002&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시찰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기계공업 05.jpg | 김종필국무총리 인천 한국기계 디젤엔진공장 준공식 참석(1975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688&dsid=000000000025&gubun=search 김종필 국무총리 인천 한국기계 디젤엔진공장 준공식 참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기계공업 02.jpg | 한국기계 공장내부(197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8810&dsid=000000000001&gubun=search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YOl7AJ1fkas 대한뉴스 제 418호- 확충된 기계제작 공장] |
− | == | + | ==장소== |
− | + | ||
− | |||
− | |||
− | |||
− | |||
− | ===[[ | + | ===[[백운동 별서정원]]=== |
− | ====수집( | + | |
− | + | ====수집(영1)====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mxeTR7Dwl_g 월출산 백운동의 재발견] | |
−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
− | |||
− | |||
− | |||
− | |||
− | |||
− | + | ====수집(영1)==== | |
− | ====수집( | + | # 영상1 : [https://www.youtube.com/embed/riijHTUrO5U 반만년의 역경을 이겨낸 한민족의 역사 현장 금산 칠백의총(사적 제105호)] |
− | |||
− | |||
− | |||
− | # | ||
− | ===[[ | + | ===[[진도 정충사]]=== |
− | ====수집( | + | ====수집(영2)==== |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2tZAgAbvzBw 배중손 사당(Shrine for Bae Jungson)], [https://www.youtube.com/embed/p0uvq5Eo0Rs 진도, 새로운 서진도와 만나다. 두번째이야기 "배중손장군 유적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집( | + | |
− | <gallery mode=packed | + | ===[[마산자유무역지역]]=== |
− | + | ====수집(이2)====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마산자유무역지역_전경1.jpg| 70년대 마산자유무역지구 전경<ref>손승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745 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30일.</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마산자유무역지역_전경2.jpg| 마산자유무역지구 전경<ref>이원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365 마산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ref> | |
− | 파일: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소양강댐]]=== |
− | ====수집( | + | ====수집 (이미지 3)====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1.jpg| 소양강댐 방류 광경(2006년 07월 19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38761&detl_PhotoDTL=293174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2.jpg| 소양강댐 건설공사(1971년 10월 30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2940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3.jpg| 소양강댐 준공식(1973년 10월 15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8&detl_PhotoDTL=3229 소양강 다목적 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청천강]]=== |
− | ====수집( | + | ====수집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청천강 01.jpg| 청천강 전경<ref>김주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781 청천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구월산]]=== |
− | ====수집( | + | ====수집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구월산 01.jpg| 청천강 전경<ref>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2008, (사)평화문제연구소.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71563&cid=57738&categoryId=57872 구월산]",조선향토대백과 자연지리정보관 : 지형지물(원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태화관]]=== |
− | ====수집( | + | ====수집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태화관 01.jpg| 옛 태화관 모습.<ref>이상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109 태화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호남고속도로]]=== |
− | ====수집( | + | ====수집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호남고속도로 01.jpg| 호남고속도로 전경.<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87 호남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경부고속도로]]=== |
− | ====수집( | + | ====수집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경부고속도로 01.jpg| 경부고속도로 전경.<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46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명량]]=== |
− | ====신규( | + | ====수집 (영상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Qbrnbrcq9ss 한국기행 - 이순신의 바다 1부, 승리의 바다 울돌목(명량해협)] |
− | 파일: | + | |
− | + | ====신규 (이 3)==== | |
− | + | # 이미지 3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명량"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해남 명량 01.jpg | 우수영관광지에서 바라본 진도대교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해남 명량 02.jpg | 조력발전소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해남 명량 03.jpg | 진도타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 | ||
− | 파일: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수집( | + | ===[[서울 탑골공원]]===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수집 (영상 1)====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kcKWLEg4DHY 서울늬우스, 1967년 12월 12일 탑골공원 새 단장] | |
− | + | ====신규 (이 25)==== | |
− | ====신규( | + | # 이미지 25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안내판 01.jpg |탑골공원 안내판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안내판 02.jpg |탑골공원 안내도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삼일문.jpg |삼일문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삼일문 현판.jpg |삼일문 현판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탑골공원사적비.jpg |탑골공원사적비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원각사지십층석탑 안내판.jpg |원각사지십층석탑 안내판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독립선언서.jpg| 독립선언서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삼일운동기념탑 01.jpg |삼일운동기념탑 왼편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삼일운동기념탑 02.jpg |삼일운동기념탑 중앙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삼일운동기념탑 03.jpg |삼일운동기념탑 오른편 |
− | 파일: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삼일정신찬양비.jpg |삼일정신찬양비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손병희동상 01.jpg |손병희동상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손병희동상 02.jpg |손병희동상 하단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원각사비 01.jpg |원각사비 정면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원각사비 02.jpg |원각사비 옆면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전경.jpg |동판부조 전경.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1.jpg |동판부조 01.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2.jpg |동판부조 02.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3.jpg |동판부조 03.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4.jpg |동판부조 04.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5.jpg |동판부조 05.jpg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6.jpg |동판부조 06.jpg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7.jpg |동판부조 07.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8.jpg |동판부조 08.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09.jpg |동판부조 09.jpg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서울 탑골공원 동판부조 10.jpg |동판부조 10.jp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gallery> | </gallery> | ||
===[[소양강댐]]=== | ===[[소양강댐]]=== | ||
====수집 (이미지 3)==== | ====수집 (이미지 3)==== | ||
− | <gallery mode= | + | # 이미지 3 : |
+ | <gallery mode=packedcaption="소양강댐"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1.jpg| 소양강댐 방류 광경(2006년 07월 19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38761&detl_PhotoDTL=293174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1.jpg| 소양강댐 방류 광경(2006년 07월 19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38761&detl_PhotoDTL=293174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2.jpg| 소양강댐 건설공사(1971년 10월 30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2940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2.jpg| 소양강댐 건설공사(1971년 10월 30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2940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
1,796번째 줄: | 1,678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 | + | ===[[영월 탄광문화촌]]=== |
− | ====수집 ( | + | ====수집 (영상1)====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w1D-ADKBgmQ 강원탄광문화촌] | |
− | |||
− | |||
− | ===[[ | + | ===[[정미의병 발원 터]]=== |
− | ====수집 ( | + | ====수집 (영상1, 이미지1)==== |
− | <gallery mode=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rXiYdqJnu-w EBS 경술국치 100년 기억, 그리고 미래 1부 의병]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caption="영월 탄광문화촌"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정미의병 발원터 01.jpg | 표지석<ref>"[http://www.junggu.seoul.kr/tour/content.do?cmsid=4869&keyword=&contentId=3827&order=&gotoPage=69 정미의병발원 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중구 문화관광』<sup>online</sup></online></html>, 서울특별시 중구청.</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
− | ====수집 ( | + | ====수집 (영상1)====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ugWJsp8dgrc 대한뉴스 제 1107호-울산 공업단지 동정] | |
− | |||
− | |||
− | == | + | ==문화유산== |
− | + | ||
− | |||
− | |||
− | |||
− | ===[[ | + | ===[[금산 종용사]]=== |
− | ====수집 ( | + | ====수집(영2)====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icGC7krYaV0 대한뉴스 제 1257호-칠백의총 순의 제향], [https://www.youtube.com/embed/PYRxXw0AV2E 대한뉴스 제 1301호-칠백의총 다례] | |
− | |||
− | |||
− | ===[[ | + | ===[[민영환 유서]]=== |
− | ==== | + | ====수집(이2)====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 이미지 2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_민영환 유서_유서1.jpg|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유서<ref>김정형,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2/03/2013120303141.html 김정형의 알아서 남주자②'혈죽(血竹)'으로 다시 피어난 민영환의 자결]", 『프리미엄조선』, 작성일: 2013년 12월 4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_민영환 유서_유서2.jpg| 미국 공사관에 있는 친지에게 보낸 유서<ref>플러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1k1&logNo=220206868423&parentCategoryNo=&categoryNo=77&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고려대학교 박물관③역사·민속전시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발길 닿는대로...홀로 다니는 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12월 11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금성 라디오 A-501]]=== |
− | ==== | + | ====수집(이3)====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 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성_라디오_A-501_사진1.jpg | 경기도 이천시 지산로 167-72 (주)LG에 소장된 금성 라디오 A-501<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79,05590100,31 금성 라디오 A-501]",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성_라디오_A-501_사진2.jpg | 1960년 2월 23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금성 라디오 A-501 광고<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80417&cid=59132&categoryId=59135 라디오로 수신하는 근대 (2)]", <html><online style="color:purple">『파워라이터 ON』<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성_라디오_A-501_사진3.jpg | 1959년 금성 라디오 A-501을 조립하는 장면<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80417&cid=59132&categoryId=59135 라디오로 수신하는 근대 (2)]", <html><online style="color:purple">『파워라이터 ON』<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 |||
− | 파일: | ||
− | |||
− | |||
− | |||
− | |||
− | 파일: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금산 칠백의총]]=== |
− | ==== | + | ====수집(영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 영상2 : [https://www.youtube.com/embed/eAAhyXsIhIM 대한뉴스 제 1101호-박정희 대통령, 칠백의총 시찰] |
− | 파일: | + | |
− | 파일: | + | ===[[고성 유점사]]=== |
− | 파일: | + | ====수집(이8)====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유점사 전경.jpg|능인보전과 구층석탑<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2 유점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유점사 승탑.jpg|1912년 무렵 유점사 승탑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A0%90%EC%82%AC 유점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대동여지도 유점사.jpg|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오른쪽 상단부에 빨강색 네모)<ref>한승동,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799912.html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되살아나다]", 『한겨레』, 작성일: 2017년 6월 22일.</ref> |
− | + | 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유점사 전경2.jpg|1929년 유점사 전경|유점사 전경<ref>"[http://dryplate.museum.go.kr/program_2016/sub/sub_view_region.jsp?SEQ=1456&cHkK=R&RELICNUM=001625&IDS1=&IDS2=&IDS3=&IDS4=&IDR2=A01&IDR3=%27A%27+A0102&categorySelect=&keyCategory=&searchSelect=&keyWord=&pageSize=12¤tPage=1 유점사 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유점사 구층석탑.jpg|유점사 구층석탑<ref>"[http://dryplate.museum.go.kr/program_2016/sub/sub_view_region.jsp?SEQ=1461&cHkK=R&RELICNUM=001632&IDS1=&IDS2=&IDS3=&IDS4=&IDR2=A01&IDR3=%27A%27+A0102&categorySelect=&keyCategory=&searchSelect=&keyWord=&pageSize=12¤tPage=1 유점사 구층석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능인보전 전경.jpg|능인보전 전경<ref>"[http://dryplate.museum.go.kr/program_2016/sub/sub_view_region.jsp?SEQ=1460&cHkK=R&RELICNUM=001629&IDS1=&IDS2=&IDS3=&IDS4=&IDR2=A01&IDR3=%27A%27+A0102&categorySelect=&keyCategory=&searchSelect=&keyWord=&pageSize=12¤tPage=1 유점사 능인보전 전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능인보전 처마.jpg|능인보전 천장<ref>"[http://dryplate.museum.go.kr/program_2016/sub/sub_view_region.jsp?SEQ=1459&cHkK=R&RELICNUM=001628&IDS1=&IDS2=&IDS3=&IDS4=&IDR2=A01&IDR3=%27A%27+A0102&categorySelect=&keyCategory=&searchSelect=&keyWord=&pageSize=12¤tPage=1 유점사 능인보전 천장과 내부 가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유점사범종.jpg|고성 유점사 종<ref>이동명,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697302 30. 유점사 청동범종]",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4년 9월 10일.</ref> | |
− | 파일: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진도 굴포당]]=== |
− | ====수집 ( | + | ====수집(이1)==== |
− | # 영상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진도 굴포당_1.jpg|굴포당 정면 사진<ref>나경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
+ | ===[[강진고려청자요지]]=== | ||
+ | ====수집(영2)====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cmiVb6azpbU 대한뉴스 제 1171호-고려청자 재현], [https://www.youtube.com/embed/0EHGhRsPHMk 대한뉴스 제 1347호-비색 천년의 옛터] | ||
− | ==== | + | ===[[안시성]]=== |
− | + | ====수집(이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안시성_01.jpg|안시성 모습.<ref>임기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465 영성자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이천 설봉산성]]=== |
− | ====수집 ( | + | ====수집(이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이천_설봉산성_01.jpg|이천 설봉산성 모습.<ref>김길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213 이천설봉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gallery>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거북선]]=== | |
− | + | ====수집(이1)====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거북선_01.jpg|거북선 모습.<ref>박혜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833 거북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청구도]]=== |
− | ==== | + | ====수집(이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청구도 01.JPG|청구도 모습.<ref>홍시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274 청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 | + | ===[[백운첩]]=== |
− | 파일: | + | ====수집(이5)====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백운첩_백운첩.jpg|백운첩<ref>리마빈, "[http://leedongkil.blog.me/220402650985 강진-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바람 속 갈팡질팡』, 작성일: 2015년 06월 26일.</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백운첩_백운동도.jpg|500px|center|섬네일|[[의순|초의선사]]가 그린 「백운동도」와 12경 표시<ref>한국레저경영연구소, "[http://blog.naver.com/leisuremgmt/220680657442 골목길 조선사 : 강진산책 - 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작성일: 2016년 04월 11일.</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백운첩_백운동도2.jpg|[[의순|초의선사]]가 그린 「백운동도」<ref>여름개굴, "[http://blog.naver.com/summerfrog/220455222596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summerfrog...beyond』, 작성일: 2015년 08월 19일.</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백운첩_백운첩 발문.jpg|[[정약용|다산]]이 쓴 발문<ref>茶泉, "[http://blog.naver.com/summerfrog/220455222596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취월당 유람록』, 작성일: 2016년 03월 07일.</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백운첩_다산도.jpg|[[의순|초의선사]]가 그린 「다산도」<ref>茶泉, "[http://www.korearoot.net/sasang/index05.html 다산을 찾아서 (1) - 다산 초당]", 『한국사상 현장순례』, 작성일: 2001년 5월 5일.</ref> |
− | + | </gallery> | |
− |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동여지도]]=== | |
− | + | ====수집(이2 / 영1)====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9CwjAKvOtWY 역사를 새로 쓰게 한 발견 -대동여지도 목판] | |
− | + | # 이미지 2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 | File:조민족기록화_문헌_대동여지도_삼각산, 경조5부.jpg | 삼각산, 경조5부<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ref> | |
− | + | File:조민족기록화_문헌_대동여지도_경조오부도.jpg | 경조오부도<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집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 이미지 | ||
− | <gallery mode=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
− | + | ====수집(이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집( | ||
# 이미지 2 : | # 이미지 2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박서보-설법으로_왜장을_감동시킨_사명당(송운대사)_01.jpg|가마쿠라시대까지 사용된 이가보시가부토<ref>"[https://namu.wiki/w/%EC%9D%BC%EB%B3%B8%20%EA%B0%91%EC%98%B7 일본 갑옷]",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박서보-설법으로_왜장을_감동시킨_사명당(송운대사)_02.jpg|가마쿠라시대 말기 갑옷<ref>"[https://hachinohe-kanko.com/kr/10stories/rekishi 하치노헤 역사]", 하치노헤 10가지 이야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하치노헤 관광정보 사이트』<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오승우-황산싸움 관련 기사]]=== |
− | ====수집( | + | ====수집(이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00px | + | # 이미지 1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 | File:민족기록화_개념_오승우-황산싸움 관련 기사_단갑.jpg | [[백제]] [[단갑]]<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0011&content_id=cp020800110001&search_left_menu=3 시대별 특징]",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김기창-명량대첩 관련 기사]]=== |
− | ====수집( | + | ====수집(이1)==== |
− | # | + | # 이미지 1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김기창-명량대첩 관련 기사_판옥선.jpg|[[각선도본]]에 그려진 [[판옥선]]<ref>김재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680 판옥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독립신문]]=== |
− | ====수집( | + | ====수집(이3 / 영1)==== |
− | <gallery mode=packed | + | # 영 1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336601&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SBS 뉴스 - 역사적 가치' 한성순보·독립신문 문화재 된다] |
− | 파일: | + | # 이미지 3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헌 독립신문 01.jpg| 최초의 신문 독립신문 편집실<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64216&dsid=000000000008&gubun=search 최초신문원조독립신문편집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헌 독립신문 02.jpg| 독립신문 1896년4월7일자<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64216&dsid=000000000001&gubun=search 독립신문1896년4월7일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헌 독립신문 03.jpg| 독립신문 1899년 5월 16일자<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946# 독립신문]",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광개토대왕릉비]]=== |
− | ====수집( | + | ====수집(이1 / 영1)==== |
− | #영상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7smv-FtDzks (고대사 숨은 이야기) 광개토대왕비의 비밀①] |
− | + | # 이미지 1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_광개토대왕비_01.jpg | 광개토대왕비 <ref>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mode=packed |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 | ==== | + | ====수집(이3 / 영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watch?v=jcNPLYtyCdY 역사&추적 광개토대왕 호우 왜경주에 묻혔나]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이미지 3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1.jpg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2.jpg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밑바닥<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3.jpg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탁본<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산 법화원]]===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 | + | ====수집(이 1)====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법화원 01.jpg | 적산 법화원<ref>"[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str_090&levelId=ti_009_0110 법화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국사편찬위원회.</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행주산성]]=== |
− | ====수집( | + | ====수집(이 8)====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이미지 8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행주산성 행주대첩비.jpg | 행주대첩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2016012515150302.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D%96%89%EC%A3%BC%EB%8C%80%EC%B2%A9%EB%B9%84&photoid=3161769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권율동상.jpg | 권율동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1625407.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D%96%89%EC%A3%BC%EC%82%B0%EC%84%B1&photoid=1625407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행주산성 대첩기념관.jpg | 대첩기념관<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2016012515150104.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B%8C%80%EC%B2%A9%EA%B8%B0%EB%85%90%EA%B4%80&photoid=3161757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행주산성 대첩비(1603년).jpg | 대첩비 (1603년 건립)<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1625410.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B%8C%80%EC%B2%A9%EB%B9%84(1603%EB%85%84%EC%84%B8%EC%9B%80)&photoid=1625410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행주산성 대첩비각.jpg | 대첩비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2016012515150105.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B%8C%80%EC%B2%A9%EB%B9%84%EA%B0%81&photoid=3161758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행주산성 덕양정.jpg | 덕양정<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2016012515150106.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B%8D%95%EC%96%91%EC%A0%951&photoid=3161759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행주산성 충장사.jpg | 충장사<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2016012515150206.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B6%A9%EC%9E%A5%EC%82%AC&photoid=3161766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고양 행주산성 토성.jpg | 토성<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0560000,31&imgfname=2016012515150300.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D%86%A0%EC%84%B1&photoid=3161767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문화재청.</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경주 석굴암]]=== |
− | ====수집( | + | ====수집(이 9)==== |
− | # | + | # 이미지 9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내부전경.jpg | 석굴암 내부 전경<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05.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B%A9%80%EB%A6%AC%EC%84%9C%20%EB%B0%94%EB%9D%BC%EB%B3%B8%20%EC%84%9D%EA%B5%B4%EC%95%94%EC%84%9D%EA%B5%B4&photoid=1612705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정면.jpg | 석굴암 본존불 정면<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17.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20(%EB%B3%B8%EC%A1%B4%EB%B6%88%20%EC%A0%95%EB%A9%B4)&photoid=1612717#pr2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천정.jpg | 석굴암 천정<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15.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C%84%9D%EA%B5%B4%EC%95%94%EC%84%9D%EA%B5%B4%20%EC%B2%9C%EC%A0%95&photoid=1612715#pr2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사천왕상.jpg | 석굴암 사천왕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27.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EC%82%AC%EC%B2%9C%EC%99%95%EC%83%81)&photoid=1612727#pr2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금강역사상(향좌).jpg | 석굴암 금강역사상(향좌)<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08.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C%84%9D%EA%B5%B4%EC%95%94%EC%84%9D%EA%B5%B4%20%EA%B8%88%EA%B0%95%EC%97%AD%EC%82%AC%EC%83%81(%ED%96%A5%EC%A2%8C)&photoid=1612708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십일면관음상.jpg | 석굴암 십일면관음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13.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C%84%9D%EA%B5%B4%EC%95%94%EC%84%9D%EA%B5%B4%20%EC%8B%AD%EC%9D%BC%EB%A9%B4%EA%B4%80%EC%9D%8C%EB%B3%B4%EC%82%B4%EC%83%81&photoid=1612713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십대제자상.jpg | 석굴암 십대제자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12.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C%84%9D%EA%B5%B4%EC%95%94%EC%84%9D%EA%B5%B4%20%EC%8B%AD%EB%8C%80%EC%A0%9C%EC%9E%90%EC%83%81&photoid=1612712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감실보살상.jpg | 석굴암 감실보살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26.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EA%B0%90%EC%8B%A4%EB%B3%B4%EC%82%B4%EC%83%81)&photoid=1612726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인왕상.jpg | 석굴암 인왕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28.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EC%9D%B8%EC%99%95%EC%83%81)&photoid=1612728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파일: |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 | ===[[ | + | ===[[경주 석굴암 본존불]]=== |
− | ====수집( | + | ====수집(이 5)==== |
− | # 이미지 | + | # 이미지 5 : |
− | <gallery mode=packed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정면.jpg | 석굴암 본존불 정면<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17.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20(%EB%B3%B8%EC%A1%B4%EB%B6%88%20%EC%A0%95%EB%A9%B4)&photoid=1612717#pr2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본존불 상단.jpg | 석굴암 본존불 상단<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19.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20(%EB%B3%B8%EC%A1%B4%EB%B6%88)%20%EC%83%81%EB%8B%A8&photoid=1612719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옆면.jpg | 석굴암 본존불 옆면<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20.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20(%EB%B3%B8%EC%A1%B4%EB%B6%88%20%EC%98%86%EB%A9%B4)&photoid=1612720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뒷면.jpg | 석굴암 본존불 뒷면<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21.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20(%EB%B3%B8%EC%A1%B4%EB%B6%88%20%EB%92%B7%EB%A9%B4)&photoid=1612721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좌대.jpg | 석굴암 본존불 좌대<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240000,37&imgfname=1612722.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2%BD%EC%A3%BC%20%EC%84%9D%EA%B5%B4%EC%95%94%20%EC%84%9D%EA%B5%B4%20(%EB%B3%B8%EC%A1%B4%EB%B6%88%20%EC%A2%8C%EB%8C%80)&photoid=1612722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경주 불국사]]=== |
− | ====수집( | + | ====수집(영상1, 이 4)==== |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Nh_6Q0ggMsc 지식채널e 문화유산 시리즈 비례, 균형, 조화의 불국사] |
− | <gallery mode=packed | + | # 이미지 4 : |
− | 파일: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jpg | 불국사 청운교백운교<ref>김영자,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413&brdType=R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다보탑.jpg | 불국사 다보탑<ref>하호숙,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398&brdType=R 경주 불국사 다보탑]",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가구식석축.jpg | 불국사 가구식 석축<ref>장남진,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8463&brdType=R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jpg |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ref>강명운,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8728&brdType=R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집( | + | ===[[비격진천뢰]]=== |
− | # 영상 1 : [ | + | ====수집(영상1, 이 4)==== |
+ | # 영상 1 : [http://www.k-heritage.tv/www/jsp/heritage/vod/oldView.jsp?bbIdx=558&lang=ko 조선의 비밀병기, 비격진천뢰]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비격진천뢰 01.jpg | 비격진천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2,08600000,11&imgfname=1614118.jpg&dirname=treasure&photoname=%EB%B9%84%EA%B2%A9%EC%A7%84%EC%B2%9C%EB%A2%B0(%E9%A3%9B%E6%93%8A%E9%9C%87%E5%A4%A9%E9%9B%B7)&photoid=1614118#pr2 비격진천뢰]",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 </gallery> | ||
− | + | ==사건== | |
− | ===[[ | + | ===[[사카린 밀수사건]]=== |
− | ====수집( | + | ====수집(이1)==== |
− | # | + | # 이미지 1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파일:민족기록화 사건 사카린 밀수사건 이병철01.jpg|[[사카린 밀수사건]] 당시 기자회견하는 이병철<ref>김재현, "[http://blog.daum.net/gmania65/182 한국비료(韓肥) 사카린 밀수사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따뜻한 고향』<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8월 21일.</ref>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전주화약]]=== |
− | ==== | + | ====수집(영1)==== |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zPXRwskC0F4 동학농민혁명 제122주년, 전주화약기념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산벌싸움]]=== |
− | ==== | + | ====수집(영1)==== |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watch?v=VmfIjoU5YOg 황산벌전투와 5천결사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진주전투]]=== |
− | ====수집( | + | ====수집(이1)====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파일: | + | 파일:진주전투_기록화_사건.jpg | 진주대첩 기록화<ref>전쟁기념관</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1차 진주전투]]=== |
− | ==== | + | ====수집(영1)==== |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watch?v=uqibA3aJYJo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거란침입]]=== |
− | ====수집( | + | ====수집(이1)==== |
− | # 이미지 | + | # 이미지 1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 파일:민족기록화 사건 거란침입 01.jpg | 거란침입<ref>이용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805 거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홍산전투]]=== |
− | ==== | + | ====수집(이1, 영1)==== |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cpznRRJgk-Y 최영장군의홍산대첩]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이미지 1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부여 태봉산성 홍산대첩비 01.jpg | 홍산대첩비<ref>구경욱, "[http://blog.daum.net/koo3570/12887292 태봉산성]", 『다음블로그 - 소설가구경욱』, 작성일: 2009년 09월 01일.</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고려말 왜구의 침입]]=== |
− | ==== | + | ====수집(이1, 영1)==== |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kcWUwdo8BJk 제29회 황산대첩 재현] |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사건 왜구의 침입 01.jpg | 고려말 왜구 침입<ref>[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393 왜구의 주체는 조선인과 중국인]", 『한국교육신문』, 작성일: 2004년 11월 03일.</ref> | ||
+ | </gallery> | ||
+ | |||
+ | ===[[연안성싸움]]=== | ||
+ | ====수집(이2)==== | ||
+ | # 이미지 2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연성대첩비 01.jpg | 연성대첩비<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54969&cid=58029&categoryId=58044 연성대첩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조선향토대백과.</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연성대첩비 탁본 01.jpg | 연성대첩비 탁본<ref>"[http://www.wongaksa.or.kr/g4/bbs/board.php?bo_table=junggak_09&wr_id=2340 연성대첩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원각사성보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원각사.</ref>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민공동회]]=== |
− | ====수집( | + | ====수집(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UQbiOr6Aaao 5분사탐 한국근현대사, 독립협회] |
− | + | ||
− | + | ===[[정미의병]]=== | |
− | + | ====수집(영1)====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rXiYdqJnu-w EBS 경술국치 100년 기억, 그리고 미래 1부 의병] | |
− | + | # 이미지 1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사건 정미의병 01.jpg | 정미의병<ref>"[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06025&levelId=ti_025_0180 의병부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새마을운동]]=== |
− | ==== | + | ====수집(이1, 영2)==== |
− | # | + | # 영상 2 : [https://www.youtube.com/embed/y-pTpQ71zuE 대한뉴스 제 870호-거국적인 새마을 운동을], [https://www.youtube.com/embed/JTBHJgyzj-k 세계가 인정한 빈곤퇴치 롤모델,'지구촌 새마을운동'이란?] |
− | + | # 이미지 1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사건 새마을운동 로고.jpg | 새마을운동 로고<ref>"[https://www.saemaul.or.kr/sub/information/ci_list.php 새마을운동CI]", <html><online style="color:purple">『새마을운동중앙회』<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진포대첩]]=== |
− | ==== | + | ====수집(이1, 영1)==== |
− | # 이미지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jMWTrfdT5uM 진포대첩] |
+ | # 이미지 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 + | 파일:민족기록화 사건 진포대첩 진포대첩 기념탑.jpg |진포대첩 기념탑<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4015&levelId=ti_015_0290 진포대첩 기념탑]", 영상이미지 속 우리 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개념== |
− | ==== | + | ===[[서울 지하철 1호선]]=== |
− | # 이미지 | + | ====수집(이2)==== |
− | <gallery mode=packed | + | # 이미지 2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득순-지하철_지하철1호선노선도.jpg |지하철 1호선 노선도(1974년)<ref>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46쪽.</ref> | |
− | + | 파일:지하철제1호선승강구_gallery4.JPG |지하철 1호선 건설 현장(1973)<ref>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43쪽.</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 | ||
− |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영동선 전철]] X === |
− | ====수집( | +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 | # 영상 1 : [ | + | ====수집(이1 / 영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efXLbDQpk3A 그때그시절 - 번영하는 우리조합 5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개념_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_1.jpg| 제1회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경진대회장 광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7916&dsid=000000000006&gubun=search 제1회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경진대회장광경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 | + | ===[[지부복궐상소]]=== | |
− | ===[[ | + | ====수집(영1)==== |
− | ====수집( | + | # [https://www.youtube.com/embed/AgzvQxb42uQ 한설에 핀 매화_면암선생 서거 110주년 추모공연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 |
− | # | + | |
− | + | ===[[추상미술]]=== | |
− | + | ====수집(영1)====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v7bbgb65wg 이야기 한국미술사 - 19강 한국적 추상과 모더니즘 정착 _#001] | |
+ | |||
+ | ===[[근대미술]]=== | ||
+ | ====수집(영1)====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ZhFEeOIwJNs 대한뉴스 제 1518호-문화계 소식] | ||
− | ===[[ | + | ===[[다다이즘]]=== |
====수집(영1)==== | ====수집(영1)====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EGWp1InnqpU 마르셀 뒤샹의 작품 샘_A&C아트스쿨 11회] |
− | ===[[ | + | ===[[한국화]]=== |
====수집(영1)==== | ====수집(영1)====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Cv1KS_TifPM 제57회 베니스 비엔날레 개막...코디최·이완 참여 / YTN] |
− | ===[[ | + | ===[[서양화]]=== |
− | ====수집( | + | ====수집(이2)==== |
− | # 이미지 | + | # 이미지 2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 File:민족기록화_개념_서양화_고희동-부채를 든 자화상.jpg | [[고희동]], <부채를 든 자화상>, 1915, 캔버스에 유채, 61×46㎝, 국립현대미술관.<ref>이구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914 서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File:민족기록화_개념_서양화_김두량-흑구도.jpg|[[김두량]], <흑구도>, 종이에 수묵, 23×26.3㎝, 국립중앙박물관.<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914 서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비엔날레]]=== |
====수집(영1)==== | ====수집(영1)====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nyN2jikadhw 현대 한국화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
− | ===[[ | + | ===[[화차]]=== |
− | ====수집( | + | ====수집(영상 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01lLrLpvvME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 | ||
# 이미지 1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 | + | 파일:한글팀 망암화차 01 복원시연회.JPG | 화차<ref>김용희, "[http://www.j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8040 변이중 화차, 지축을 흔들다]",『장성군민신문』, 2011년 11월 29일.</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대일청구권자금]]=== |
− | ====수집( | + | ====수집(영상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Dk_ACD3uEEA 日 '강제노역' 부인...핵심은 대일 청구권 / YTN] |
− | # 이미지 1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일관제철소]]=== |
− | 파일:민족기록화 | + | ====수집(영상 1, 이미지 1)====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khcnfegQXXI 포스코 제철 공정, 포항제철소] | ||
+ | # 이미지 1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일관제철소 01.jpg | 일관제철소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2181812 '王회장의 꿈' 이루어지다…현대제철, 일관제철소 화입식]", 한국경제, 『네이버 뉴스』, 2010년 01월 05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물품== |
− | ====수집( | + |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 | + | ===[[변이중화차]]=== |
− | # 이미지 | + | ====수집(이3 / 영1)====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 | + | # 영상 1 : [https://www.youtube.com/embed/yRZjIW67MYU 남도의보물100선 77회 - 호국의 비밀병기 '변이중의 화차'의 사본(게시일: 2016년 07월 26일)] |
− | 파일: | + | # 이미지 3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변이중]]의 글을 모은 [[망암집]] | ||
+ | File:민족기록화_물품_변이중화차_문종화차.jpg |[[망암집]]에 기록된 [[문종화차]] 도면<ref>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ref> | ||
+ | File:민족기록화_물품_변이중화차_변이중화차.jpg |[[망암집]]에 기록된 [[변이중화차]] 도면<ref>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ref> | ||
</gallery> | </gallery> | ||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 |
− | + | ===수집(이10)=== | |
− | # 이미지 | + | # 이미지 10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포스코1.jpg| ① 1968년 4월-[[포항종합제철]]이 탄생하다<ref>"[http://blog.posco.com/395 포스코의 45년 히스토리, 들어보실래요?]", 포스코 소식/기업소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hellp,posco』<sup>online</sup></online></html>, 포스코 기업 블로그.</ref>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포스코2.jpg| ②1970년 4월-영일만에 제철소를 세우다<ref>"[http://blog.posco.com/395 포스코의 45년 히스토리, 들어보실래요?]", 포스코 소식/기업소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hellp,posco』<sup>online</sup></online></html>, 포스코 기업 블로그.</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포스코3.jpg| ④1987년 5월 7일-[[광양제철소]]가 세워지다<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49319526 광양제철 제1기 준공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금성사1.jpg| ① 1958년 10월-[[금성사]]가 탄생하다<ref>김현석,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4810 금성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단체_선경직물_05.jpg| ① 1953년 10월-전쟁의 폐허속에서 [[선경직물]]이 탄생하다<ref>"[https://www.sknetworks.co.kr/cyber_history.jsp SK네트웍스의 발자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이버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SK네트웍스.</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01.jpg| ② 1955년 10월-닭표 안감, [[선경직물]] 도약의 발판이 되다<ref>SK에너지, "[http://blog.skenergy.com/822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SK에너지』<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02.jpg| ③ 1958년 5월-[[선경직물]]의 두 번째 히트작인 봉황새 이불감, 필수 혼수감이 되다<ref>SK에너지, "[http://blog.skenergy.com/822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SK에너지』<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03.jpg| ④ 1958년 11월-[[나일론]] 직물 생산, 1959년 12월-[[폴리에스터]] 직물 생산<ref>"[https://www.sknetworks.co.kr/cyber_history.jsp#2 SK네트웍스의 발자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이버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SK네트웍스.</ref> | |
− | 파일: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04.jpg| ⑥ 1964년~1965년-크레퐁과 깔깔이, 잇따른 히트상품 개발<ref>"[https://www.sknetworks.co.kr/cyber_history.jsp#2 SK네트웍스의 발자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이버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SK네트웍스.</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_기획_기업의탄생_05.jpg| ⑦ 1966년 6월-[[아세테이트]] 원사 생산, 1968년 3월-[[폴리에스터]] 원사 생산<ref>SK에너지, "[http://blog.skenergy.com/822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SK에너지』<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div> | </div>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2017년 11월 28일 (화) 20:24 판
개관 목차 작업실 전체 기사 목록 전자지도 파빌+영상 파빌(지침) 신규이미지 수집이미지 Icons 온톨(민족) 온톨(전체) |
목차
- 1 신규 이미지
- 2 수집 이미지
- 2.1 작품
- 2.1.1 C002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2.1.2 C003 : 박각순-살수대첩
- 2.1.3 C004 : 박창돈-안시성싸움
- 2.1.4 C006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2.1.5 C008 : 오승우-황산싸움
- 2.1.6 C009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2.1.7 C010 :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 2.1.8 C011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2.1.9 C013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2.1.10 C014 :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 2.1.11 C015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2.1.12 C016 : 이용환-귀주대첩
- 2.1.13 C017 : 안재후-여진정벌
- 2.1.14 C019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2.1.15 C020 : 문학진-쌍성수복
- 2.1.16 C021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2.1.17 C024 : 문학진-고려청자
- 2.1.18 C025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2.1.19 C026 김태-육진개척
- 2.1.20 C027 강대운-진주성싸움
- 2.1.21 C028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2.1.22 C030 : 박석호-추풍령싸움
- 2.1.23 C031 : 오승우-행주대첩
- 2.1.24 C032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2.1.25 C033 : 김형구-한산대첩
- 2.1.26 C034 : 김기창-명량대첩
- 2.1.27 C035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2.1.28 C036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2.1.29 C037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2.1.30 C038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2.1.31 C040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2.1.32 C041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2.1.33 C042 : 장리석-홍주성수복
- 2.1.34 C043 : 정창섭-태백산전투
- 2.1.35 C044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2.1.36 C046 :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2.1.37 C047 : 손수광-청산리싸움
- 2.1.38 C048 :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2.1.39 C049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2.1.40 C050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2.1.41 C051 :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2.1.42 C052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2.1.43 C053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2.1.44 C055 : 윤중식-8.15해방
- 2.1.45 C057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2.1.46 C058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X
- 2.1.47 C061 : 이마동-감귤
- 2.1.48 C062 : 천칠봉-경지정리
- 2.1.49 C063 : 천칠봉-대단위뽕밭
- 2.1.50 C064 :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2.1.51 C066 : 이인영-삼화목장
- 2.1.52 C066 : 이용환-굴뗏목양식
- 2.1.53 C066 : 김창락-원양어업
- 2.1.54 C069 : 문학진-강원탄광
- 2.1.55 C070 : 최덕휴-장성광업소
- 2.1.56 C071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2.1.57 C072 : 김원-마산공업단지
- 2.1.58 C073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2.1.59 C075 : 김태-신진자동차
- 2.1.60 C076 : 양인옥-기아산업
- 2.1.61 C077 : 박득순-현대조선소
- 2.1.62 C078 : 박창돈-금성사
- 2.1.63 C079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2.1.64 C080 : 김종하-한일합섬
- 2.1.65 C081 : 박창돈-선경직물
- 2.1.66 C082 : 박항섭-한국기계
- 2.1.67 C083 : 이용환-삼도물산
- 2.1.68 C084 : 최영림-대동공업
- 2.1.69 C086 : 김숙진-한국비료
- 2.1.70 C088 : 하인두-동명목재
- 2.1.71 C089 : 박광진-소양강댐
- 2.1.72 C090 : 김숙진-소양강댐
- 2.1.73 C091 : 정영렬-팔당수력발전소
- 2.1.74 C092 : 이의주-호남정유
- 2.1.75 C094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2.1.76 C095 :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2.1.77 C096 : 박각순-남해대교
- 2.1.78 C097 : 박각순-산업선전철
- 2.1.79 C098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2.1.80 C098 : 박득순-지하철
- 2.1.81 C100 : 박광진-아산방조제
- 2.1.82 C101 : 박서보-수출선박
- 2.1.83 C102 : 정창섭-인천항도크
- 2.1.84 C103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2.1.85 C104 : 김원-해안사방
- 2.1.86 C105 : 박영선-현충사
- 2.1.87 C106 : 손응성-불국사
- 2.2 작가
- 2.2.1 C107 : 강대운
- 2.2.2 C108 : 김기창
- 2.2.3 C112 : 김종하
- 2.2.4 C115 : 김태
- 2.2.5 C119 : 박광진
- 2.2.6 C120 : 박기태
- 2.2.7 C121 : 박득순
- 2.2.8 C122 : 박서보
- 2.2.9 C123 : 박석호
- 2.2.10 C125 : 박영선
- 2.2.11 C127 : 박항섭
- 2.2.12 C129 : 손응성
- 2.2.13 C130 : 신영상
- 2.2.14 C131 : 안재후
- 2.2.15 C132 : 양인옥
- 2.2.16 C133 : 오승우
- 2.2.17 C134 : 오승윤
- 2.2.18 C137 : 이마동
- 2.2.19 C139 : 이의주
- 2.2.20 C142 : 임직순
- 2.2.21 C143 : 장두건
- 2.2.22 C146 : 정창섭
- 2.2.23 C147 : 천칠봉
- 2.2.24 C148 : 최덕휴
- 2.2.25 C149 : 최대섭
- 2.2.26 C150 : 최영림
- 2.2.27 C151 : 하인두
- 2.3 소장처
- 2.4 인물
- 2.4.1 이괄
- 2.4.2 의순
- 2.4.3 이시헌
- 2.4.4 백제 의자왕
- 2.4.5 곽재우
- 2.4.6 영규
- 2.4.7 심덕부
- 2.4.8 혜장
- 2.4.9 이병철
- 2.4.10 김종필
- 2.4.11 권율
- 2.4.12 김개남
- 2.4.13 손화중
- 2.4.14 원균
- 2.4.15 이억기
- 2.4.16 전봉준
- 2.4.17 안중근
- 2.4.18 홍범도
- 2.4.19 김시민
- 2.4.20 안창호
- 2.4.21 정기룡
- 2.4.22 김좌진
- 2.4.23 임경업
- 2.4.24 이토 히로부미
- 2.4.25 신돌석
- 2.4.26 이승훈
- 2.4.27 배중손
- 2.4.28 배중손
- 2.4.29 박승환
- 2.4.30 민영환
- 2.4.31 이완용
- 2.4.32 손병희
- 2.4.33 변이중
- 2.5 단체
- 2.5.1 금성사
- 2.5.2 선경직물
- 2.5.3 단광회
- 2.5.4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2.5.5 르 살롱
- 2.5.6 목우회
- 2.5.7 종군화가단
- 2.5.8 후소회
- 2.5.9 태화복지재단
- 2.5.10 한국수력원자력
- 2.5.11 고리원자력발전소
- 2.5.12 한울원자력발전소
- 2.5.13 월성원자력발전소
- 2.5.14 한빛원자력발전소
- 2.5.15 한국비료공업
- 2.5.16 충주비료공장
- 2.5.17 국제연합한국재건단
- 2.5.18 인천판유리
- 2.5.19 쌍용양회 문경공장
- 2.5.20 쌍용양회 동해공장
- 2.5.21 쌍용양회공업
- 2.5.22 롯데정밀화학
- 2.5.23 산림청
- 2.5.24 국립종축원
- 2.5.25 국립축산과학원
- 2.5.26 팔당수력발전소
- 2.5.27 극동건설
- 2.5.28 구상전
- 2.5.29 흥사단
- 2.5.30 대성학교
- 2.5.31 북로군정서
- 2.5.32 화순광업소
- 2.5.33 장성광업소
- 2.5.34 도계광업소
- 2.5.35 대한석탄공사
- 2.5.36 한국광해관리공단
- 2.5.37 보성사
- 2.5.38 포항종합제철
- 2.5.39 기아자동차
- 2.5.40 현대중공업
- 2.5.41 삼도물산
- 2.5.42 대동공업
- 2.5.43 한국도로공사
- 2.5.44 호남정유
- 2.5.45 한일합섬
- 2.5.46 신진자동차공업
- 2.5.47 한국기계공업
- 2.6 장소
- 2.7 문화유산
- 2.8 문헌
- 2.9 사건
- 2.10 개념
- 2.11 물품
- 2.12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 2.1 작품
- 3 주석
신규 이미지
논산
연천
완도
- 청해진
장도 청해진 유적지 우물터[11]
장도 청해진 유적지 외삼문[12]
장도 청해진 유적지 장보고 사당[13]
장도 청해진 유적지 굴립주[14]
장보고 기념관 1층 전시실[15]
장보고 기념관 장도 디오라마[16]
장보고 기념관 장도 디오라마[17]
장보고 기념관 설명판[18]
장보고 기념관 장보고 초상(이종상 작)[19]
경주
- 경주 석굴암
석굴암 입구[20]
석굴암 가는 길[21]
석굴암 안내판[22]
석굴암 전경[23]
석굴암 석물[24]
석굴암 앞[25]
석굴암 석등하대석[26]
석굴암에서 내려다 본 토함산[27]
수집 이미지
작품
C002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수집
- 영상 1 : 역사스페셜, 광개토대왕 업적
C003 : 박각순-살수대첩
수집
- 영상 1 : 고구려의 기습!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 이미지 3 :
C004 : 박창돈-안시성싸움
수집
C006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수집
C008 : 오승우-황산싸움
수집
- 영상 1 : 황산벌전투(출처:백제문화단지)
- 이미지 3 :
C009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수집
C010 :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수집
- 영상 1 : 1200년 전, 해상무역의 비밀
C011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수집
- 영상 2 :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문화재-4.삼국의 고분,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고대건축
- 이미지 4 :
C013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수집
- 영상 1 : 문화유산코리아 세계유산 시리즈- 석굴암,불국사
C014 :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수집
- 이미지 2 :
C015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수집
- 영상 1 :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서희의 외교 담판
- 이미지 2 :
C016 : 이용환-귀주대첩
수집
- 이미지 1 :
민족기록화 '이용환-귀주대첩'으로 제작한 우표 [42]
C017 : 안재후-여진정벌
수집(영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76회 윤관
C019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수집
- 영상 1 : EBS 5분 한국사- 27 반원 자주 개혁, 공민왕
C020 : 문학진-쌍성수복
수집
- 영상 1 :동영상 쌍성총관부 공격
C021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수집
- 영상 1 :부여 백제방송 - 홍산대첩문화제
- 이미지 3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
C024 : 문학진-고려청자
수집
- 이미지 2 :
C025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수집
C026 김태-육진개척
수집(이1, 영1)
- 이미지 : 1
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47]
- 영상 1: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
C027 강대운-진주성싸움
수집
- 영상 2:
국립진주박물관-진주대첩,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
C028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수집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51회 곽재우
- 이미지 1 :
C030 : 박석호-추풍령싸움
수집(이1)
- 이미지 1 :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49]
C031 : 오승우-행주대첩
수집
C032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수집
- 이미지 3 :
C033 : 김형구-한산대첩
수집
- 영상 1 : 인터넷 통영방송 - 한산대첩 재현장면
- 이미지 1 :
C034 : 김기창-명량대첩
수집
- 영상 1 : 국립진주박물관 - 명량대첩
C035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수집
- 영상 1 : 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
- 이미지 3 :
C036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수집
- 이미지 : 2
C037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수집
- 영상 1 :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
- 이미지 : 3
C038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수집(영2)
C040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수집
- 이미지 : 2
C041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수집
- 영상 1 : 역사채널e -1894년 '그날'동학농민운동
- 이미지 : 3
C042 : 장리석-홍주성수복
수집
C043 : 정창섭-태백산전투
수집(영1)
- 영상 : 1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8회 신돌석
C044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수집(이3)
- 이미지 : 3
C046 :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수집
- 영상 1 : 안중근 의거 100년, 이토 적격 영상을 찾아라
- 이미지 : 3
C047 : 손수광-청산리싸움
수집
- 영상 1: 대한뉴스 제 880호-이범석 장군 서거
C048 :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수집
- 영상 1 : 독립군 영웅 홍범도는 왜 극장 수위로 생을 마감했나? - 심용환의 근현대사 똑바로 보기
- 이미지 : 2
- 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C049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수집(이4 / 영1)
- 영상 1 :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
- 이미지 4 :
대마도에 위치한 최익현 선생 순국비[78]
C050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수집
- 영상 1 : 관민공동회
C051 :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수집
- 영상 1 : 도산안창호기념관 - 도산안창호의 생애
- 이미지 4 :
C052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수집(이4 / 영1)
- 영상 1 :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20110516_1907년, 오산학교
- 이미지 : 4
C053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수집
- 영상 :
- 이미지 : 4
C055 : 윤중식-8.15해방
수집
C057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수집(이1 / 영2)
- 영상 2 : 대한뉴스 제 873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대한뉴스 제 875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 이미지 1 :
경기도 가평군 개곡리 새마을사업 현장을 돌아보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91]
C058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X
C061 : 이마동-감귤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58호-잘사는 농촌을
- 이미지 : 2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이마동-감귤[92]
C062 : 천칠봉-경지정리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507호-농경지 정리
C063 : 천칠봉-대단위뽕밭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985호-양잠 시범 대회
C064 :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_KC 제 1025호-조림 사업
C066 : 이인영-삼화목장
수집
- 이미지 3 :
전시된 모습[94]
C066 : 이용환-굴뗏목양식
수집
- 이미지 1 :
1973년 신문에 실린 굴뗏목양식 풍경 [97]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80호-남해안에 큰 굴공장
C066 : 김창락-원양어업
수집
- 이미지 2 :
원양어업 조업 광경[98]
- 영상 3: 분야별기록영상-오대양을 간다,
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어업,분야별기록영상-북양을 가다(북양 어업)
C069 : 문학진-강원탄광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409호-석탄증산(강원)
- 이미지 1 :
- 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C070 : 최덕휴-장성광업소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1168호-최규하 국무총리 탄광촌 시찰
C071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수집
- 영상 1 : 철강왕 박태준, 대한민국 제철신화를 이루다
C072 : 김원-마산공업단지
수집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마산자유무역지구 제1공구[101]
C073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68호-건설의 메아리, 대한뉴스 제 1181호-울산 석유화학 공장 준공
- 이미지 : 1
1964년 5월, 준공된 울산화학공업단지 전경[102]
C075 : 김태-신진자동차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579호-건설의 메아리
C076 : 양인옥-기아산업
수집
- 영상 1 : 총리 기아산업 시찰-대한뉴스 KC 제 954호
- 이미지 1 :
C077 : 박득순-현대조선소
수집
- 영상 1 : 현대중공업 홍보영화
C078 : 박창돈-금성사
수집
- 영상 : 2
- 이미지 : 7
1975년 준공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104]
1962년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105]
1962년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106]
1971년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107]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레인지[108]
우리나라 최초의 선풍기[109]
C079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수집(이2 / 영1)
- 영상 : 1
- 이미지 : 2
C080 : 김종하-한일합섬
수집(영3)
- 영상 3 : 대한뉴스 제 608호-건설의 새소식, 한일 합섬 섬유 공업 현장(Hanil Synthetic Fiber Co., Ltd.), MBC경남 뉴스특종영상 (2006.4.23 #한일합섬)
C081 : 박창돈-선경직물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121호-나일론도 우리손으로
C082 : 박항섭-한국기계
수집(이2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75호-발전하는 공업 한국
- 이미지 : 2
C083 : 이용환-삼도물산
수집(영1)
- 영상 1 : 1984 삼도물산 써지오바렌테 광고
C084 : 최영림-대동공업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1286호-영농의 기계화
- 이미지 1 :
C086 : 김숙진-한국비료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05호-전진의 맥박
C088 : 하인두-동명목재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599호-수출 진흥
C089 : 박광진-소양강댐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954호-소양강댐 준공
C090 : 김숙진-소양강댐
수집
- 이미지 1 :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소양강댐 사진[116]
C091 : 정영렬-팔당수력발전소
수집
- 이미지 3 :
C092 : 이의주-호남정유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729호-우리는 건설한다
- 이미지 4 :
C094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784호-경부고속도로 준공
C095 : 손응성-호남고속도로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772호-호남 고속도로 기공, 대한뉴스 제809호-호남고속도로 준공(대전에서 전주간) 79.1Km
- 이미지 1 :
C096 : 박각순-남해대교
수집
- 이미지 2:
- 영상 1 : 대한뉴스 제 938호-남해대교
C097 : 박각순-산업선전철
수집(이1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060호-산업선 전철 영동선 개통
- 이미지 1 :
영동선, 태백선 개통[127]
C098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수집(이3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998호-수도권 전기철도
- 이미지 : 3
C098 : 박득순-지하철
수집(이2)
- 이미지 : 2
C100 : 박광진-아산방조제
수집
- 이미지 1 :
전시회 관람중인 국무총리 김종필[132]
C101 : 박서보-수출선박
수집
C102 : 정창섭-인천항도크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
- 이미지 1 :
C103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수집
- 이미지 1 :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정창섭-인천항제2도크[134]
C104 : 김원-해안사방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242호-사방사업 촉진, 대한뉴스 제 1074호-사방사업
C105 : 박영선-현충사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690호-충무공의 얼, 대한뉴스 제 724호-현충사
C106 : 손응성-불국사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753호-불국사 복원
작가
C107 : 강대운
수집(이4)
- 이미지 4
계절, 캔버스에 유채, 450×200cm, 대검찰청소장[136]
추양, 1966, 캔버스에 유채, 174x10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37]
공작, 1984, 캔버스에 유채, 145x11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38]
C108 : 김기창
수집(이6 / 영3)
태양을 머금은 새, 1968, 두방에 수묵채색, 31.5×39㎝[140]
군마도, 1964, 비단에 수묵담채, 175.5x34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1]
청산청경, 1980, 수묵담채, 88x145.5cm[142]
가을, 1934, 비단에 수묵채색, 170.5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3]
복덕방, 1953, 종이에 수묵담채, 77.5x100cm[144]
C112 : 김종하
수집(이3 / 영1)
- 영상 1 : '여인의 뒷모습' 인터넷 최고 경매가
- 이미지 3 :
자연의 의미, 1971, 캔버스에 유채, 162x11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5]
여인의 뒷모습, 1980, 캔버스에 유채, 92x73cm[146]
자연의 표상, 1974, 캔버스에 유채, 72.7x60.6cm[147]
C115 : 김태
수집(이3)
- 이미지 3
태종대, 1975, 캔버스에 유채, 45.5x52.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8]
卓上靜物(탁상정물)D, 1982,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149]
삼월의 한계령, 1984, 캔버스에 유채, 9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50]
C119 : 박광진
수집(이4)
- 이미지 4 :
- 주요작품
국보, 1957, 캔버스에 유채, 130.3x162.2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151]
닭장, 1960, 캔버스에 유채, 112.9x145.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52]
월출산, 1978, 캔버스에 유채, 50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53]
공작, 1992, 캔버스에 유채, 50x150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154]
C120 : 박기태
수집(이3)
C121 : 박득순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89호-이런일 저런일
- 이미지 4
자화상, 1964, 캔버스에 유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58]
서울 풍경(風景), 1949, 캔버스에 유채, 162x98cm[159]
나부좌상, 1964, 캔버스에 유채, 127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0]
부인상, 1953, 캔버스에 유채, 117x9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1]
C122 : 박서보
수집(이4 / 영3)
- 영상 3 :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1,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2, 작업실(Artist & Space) - ③박서보 화백
- 이미지 4 :
- 주요작품
묘법 No.43-78-79-81, 1981, 면천에 유채‧흑연, 193.5x259.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2]
묘법 No.355-86, 1986, 종이에 먹, 194×3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3]
묘법시리즈 4, 1994, 종이에 한지,안료, 103.8×78.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4]
원형질 1-62, 1962, 캔버스에 유채, 162x13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5]
C123 : 박석호
수집(이3)
- 주요작품
입항, 1977, 캔버스에 유채, 100x73cm[166]
수난(受難), 1987, 캔버스에 유채, 80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7]
희망, 1987, 캔버스에 유채, 146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68]
C125 : 박영선
수집(이4)
- 이미지 4
농부의 가족, 1970, 캔버스에 유채, 96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0]
모녀, 1989, 캔버스에 유채, 91×117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71]
판타지, 1957, 캔버스에 유채, 53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2]
C127 : 박항섭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49호-제 20회 국전
- 이미지 3 :
가을, 1956, 162x130cm,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174]
수중지대, 1971, 캔버스에 유채, 144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5]
마술사의 여행, 1977, 캔버스에 유채, 63x7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6]
C129 : 손응성
수집(이4)
- 이미지 4
비원, 1963, 캔버스에 유채, 90x73cm[178]
스키복 입은 여인, 1940, 캔버스에 유채, 129x9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9]
여래상, 1954, 캔버스에 유채, 128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0]
C130 : 신영상
수집(이4)
- 이미지 4 :
오(午), 1980, 종이에 수묵[181]
殘懷(잔회), 1970, 종이에 수묵[182]
조Ⅱ, 1982, 화선지에 수묵, 181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3]
율 9925, 2000, 옥양목에 수묵, 245.5x22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4]
C131 : 안재후
수집(이2)
- 이미지 2 :
- 민족기록화 작가 안재후 송도의 소녀.jpg
송도의 소녀, 1952, 종이에 연필, 22.5x18.5cm, 소마미술관 소장
여성동아 1980년 8월호 표지에 안재후가 그린 부인 손재경[185]
C132 : 양인옥
수집(이4)
- 이미지 4
- 주요작품
소녀상, 1992, 캔버스에 유채, 117x91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86]
성산 일출, 1995, 캔버스에 유채, 61x7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87]
소망, 1983, 캔버스에 유채, 131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8]
- 민족기록화 작가 양인옥 상.jpg
상, 1989, 캔버스에 유채, 광주광역시 소장
C133 : 오승우
수집(이4)
- 영상 1 : 오승우화백_#빛날_#광주MBC
- 이미지 4 :
법당내부, 1957, 캔버스에 유채, 191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0]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1959, 캔버스에 유채, 161x112.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1]
설악추경(1078m 강원 인제 속초 고성 양양), 1991, 캔버스에 유채, 259x194.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2]
C134 : 오승윤
수집(이4)
- 이미지 4 :
- 주요작품
대한, 1973, 캔버스에 유채, 19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3]
해녀도, 1985, 캔버스에 유채, 192.5x33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94]
회상, 1995,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5]
바람과 물의 역사, 2004, 캔버스에 유채, 210x610cm (삼면화)[196]
C137 : 이마동
수집(이4)
- 이미지 4 :
꽃다발이 있는 정물, 1933, 캔버스에 유채, 116.8x9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8]
남자, 1931, 캔버스에 유채, 115x8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9]
자화상, 1932, 캔버스에 유채.[200]
C139 : 이의주
수집(이3)
- 이미지 3 :
C142 : 임직순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36호-제 6회 국전
- 이미지 3
모자를 쓴 소녀, 1970, 캔버스에 유채, 145.5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5]
화실, 1984, 캔버스에 유채, 72.7x90.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6]
- 민족기록화 작가 임직순 좌상.jpg
임직순, 좌상, 1957, 캔버스에 유채, 148x95cm
C143 : 장두건
수집(이3)
- 이미지 3 :
한강변 풍경, 1964, 캔버스에 유채, 188x16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7]
투계, 1970, 캔버스에 유채, 10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8]
- 민족기록화 작가 장두건 장미.jpg
장미, 캔버스에 유채, 162.2x130.0, 포항시립미술관 소장
C146 : 정창섭
수집(이3 / 영1)
- 영상 1 : 정창섭 "묵고"전(2015), 조현화랑 페로탱갤러리, Chung Chang-Sup "meditation", Johyun Gallery & Galerie Perrotin
- 이미지 3 :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소장[209]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0]
묵고(默考) 9608,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1]
C147 : 천칠봉
수집(이3)
- 이미지 3 :
- 주요작품
10월, 1980, 캔버스에 유채, 100x80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12]
설경, 1981, 캔버스에 유채, 65x91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13]
토기, 1978, 캔버스에 유채, 112x145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14]
C148 : 최덕휴
수집
- 영상 2 : 네 벌의 군복, 어느 예술가의 초상, 최덕휴 교수 특별전 : 소요유
- 이미지 6
돌산, 1958, 캔버스에 유채, 97x14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6]
원지동의 가을, 1981, 캔버스에 유채, 84.4x180.5cm, 서울시립미술관 소장[217]
불암산의 만추, 1972, 캔버스에 유채, 80.3×100cm[218]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1988, 캔버스에 유채, 109x33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9]
용화산경, 1982, 캔버스에 유채, 76.3x195cm, Oil on Canvas[220]
C149 : 최대섭
수집(이1)
- 이미지 1 :
흔적, 1980, 종이에 먹, 채색, 98x68.5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21]
C150 : 최영림
수집
- 이미지 5
- 주요작품
무제(남과 여), 연도미상, 종이에 판화, 59x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2]
원태, 1969, 캔버스에 유채․토분, 116x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3]
심청전에서, 1967, 캔버스에 유채․토분, 85x8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4]
경사날, 1975, 캔버스에 유채, 75x170cm, 개인소장[225]
모자, 1976, 캔버스에 유채․토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6]
C151 : 하인두
수집(이5)
- 이미지 5
자화상, 1957, 캔버스에 유채, 87.5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8]
환중 1, 1984,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9]
만다라, 1984, 캔버스에 유채, 117x80cm, 부산시립미술관 소장[230]
혼불-빛의 회오리, 1989, 캔버스에 유채, 194x26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31]
소장처
C153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집(이1 / 영2)
- 영상 1 :한국학중앙연구원 홍보동영상, 대한뉴스 제 1191호-한국 정신 문화연구원 개원식
- 이미지 1 :
C156 : 인천문화예술회관
수집
- 영상 1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20주년 시립예술단 합동공연
- 이미지 1 :
- 민족기록화 소장처 인천문화예술회관 01.jpg
인물
이괄
수집(이1)
- 이미지 1 :
이괄의 필적[234]
의순
수집(이1 / 영1)
- 영상 1 : 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
- 이미지 1 :
의순의 영정[235]
이시헌
수집(이1)
- 이미지 1 :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236]
백제 의자왕
수집
- 영상 1 : 의자왕 항복의 충격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 이미지 1 :
곽재우
수집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 한국의 정신, 곽재우
- 이미지 1 :
곽재우 동상[237]
영규
수집(이1)
- 이미지 1 :
영규대사 영정[238]
심덕부
수집(영1)
혜장
수집(영1)
- 영상 1 : U-남도여행길잡이 강진군-백련사
이병철
수집(이1)
이병철 대표사진[239]
김종필
수집(이1)
김종필 국무총리.[240]
권율
수집(이5)
- 이미지 5 :
김개남
수집(이1,영1)
- 영상 1 : 동학농민군의 마지막 격전지, 우금치
- 이미지 1 :
김개남[246]
손화중
수집(영1)
- 영상 1 : 동학농민혁명
원균
수집(이4)
이억기
수집(이 3)
전봉준
수집(이 1)
전봉준[254]
안중근
수집(이 1)
안중근 [255]
홍범도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카자흐스탄 홍범도 장군묘역
- 이미지 1 :
홍범도 [256]
김시민
수집(영상2)
안창호
수집(이미지 1)
- 이미지 1 :
안창호 [257]
정기룡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정신문화기획시리즈 오래된 약속 16편 60전 무패신화 정기룡 장군
- 이미지 1 :
정기룡 [258]
김좌진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청산리 대첩을 승리로 이끈 항일운동의 영웅 백야 김좌진
- 이미지 1 :
김좌진 [259]
임경업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
- 이미지 1 :
임경업 [260]
이토 히로부미
수집(이 1)
이토 히로부미 [261]
신돌석
수집(영1, 이 1)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그날을말하다 10회 신돌석
- 이미지 1 :
신돌석 생가[262]
이승훈
수집(이 1)
이승훈 [263]
배중손
수집(이 1)
- 영상 1 : 배중손 사당
배중손
수집(영상 1, 이미지 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
- 이미지 1 :
김종서 유허지 [264]
박승환
수집(이미지 1)
- 이미지 1 :
박승환 [265]
민영환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사이불사, 2천만 동포에게 죽음으로 남긴 애국정신 계정 민영환
- 이미지 1 :
민영환 [266]
이완용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친일파 이완용 재산, '여의도 7.7배 규모'…후손 대물림 여전
- 이미지 1 :
이완용 [267]
손병희
수집(영상1)
- 영상 1 : '손병희 선생의 애국정신 다시 새기자' 탄신제 열려
변이중
수집(영상1)
단체
금성사
수집 (이미지 6)
금성사 로고[268]
금성라디오 A-501(1959년)[269]
금성사 상품전시장(1965년)[270]
금성사 근로자 작업광경(1970년)[271]
금성사 금오기술학교(1976년)[272]
김영삼대통령 금성사방문 근로자격려(1994년)[273]
선경직물
수집 (이미지 4)
단광회
수집(이미지 2)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수집(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162호-역대 국전 수상작품전
르 살롱
수집(영1)
목우회
수집(이미지 1)
- 목우회
오승우, 십장생도, 목우회 회원전 출품[281]
종군화가단
수집(이미지 4)
- 종군화가단
김환기, 피난열차, 1951, 캔버스에 유채, 37x52, 개인소장[282]
이수억, 전선야곡, 1952, 캔버스에 유채, 72.7x60, 개인 소장[283]
이중섭, MP, 1952, 종이에 먹과 색연필, 19x11, 개인소장[284]
1952년 군복 차림의 화가들이 문교부·보건부가 청사로 쓰던 옛 부산시청에 걸릴 '자유의여신'을 그리고 있다.[285]
후소회
수집(이1)
후소회 창립전, 12×16, 1936.11.3
[286]
태화복지재단
수집(이 1/영 1)
태화복지재단 로고[287]
- 영상 1 : 태화복지재단 홍보영상
한국수력원자력
수집(이 1)
한국수력원자력 로고[288]
고리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영 1)
한울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
월성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
한빛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
한국비료공업
수집(영 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05호-전진의 맥박
충주비료공장
수집(이 3/영 4)
국제연합한국재건단
수집(이 3/영 1)
인천판유리
수집(이 3/영 1)
- 영상 1: 대한뉴스 제 146호-인천 판유리 공장
쌍용양회 문경공장
수집(이 3/영 1)
- 영상 1: 대한뉴스 제 133호-문경시멘트 공장 준공
쌍용양회 동해공장
수집(이 3)
쌍용양회공업
수집(이 4/영 2)
롯데정밀화학
수집(이 1)
롯데정밀화학 로고[320]
산림청
수집(이 1/영 1)
산림청 로고[321]
- 영상 1: 대한뉴스 제 605호-산림청 발족
국립종축원
수집(이 4)
국립축산과학원
수집(이 1)
국립축산과학원 로고[326]
팔당수력발전소
수집(이 1/영 3)
팔당수력발전소 전경[327]
극동건설
수집(이 1/영 1)
극동건설 로고[328]
- 영상 1: 대한뉴스 제 394호-건설의 새소식
구상전
수집(이 1)
- 구상전
2015년 제 44회 구상전 공모대전 대상 수상작품, 김은영 <작은소망>[329]
흥사단
수집(이 1/영 1)
흥사단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330]
- 영상 1 : pcs4134 - 흥사단홍보영상
대성학교
수집(이 1)
대성학교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331]
북로군정서
수집(이 1)
김좌진과 북로군정서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332]
화순광업소
수집(이 2/영 1)
- 영상 1 : 여수MBC - 화순탄광 폐쇄 위기 넘겨
장성광업소
수집(이 4/영 1)
</gallery>
- 영상 1 : 대한석탄공사 - 석탄의 생산에서 출하까지
도계광업소
수집(이 4/영 1)
갱내(坑內)로 들어가는 광부들 모습 [339]
갱내(坑內)에서 캔 석탄을 밖으로 운반하는 광부 모습 [340]
갱내(坑內)에서 채탄(採炭)작업하는 광부들 모습 [341]
광업소 소속 광부의 모습 [342]
- 영상 1 : YTN 실시간뉴스 - 석탄공사 폐지 수순
대한석탄공사
수집(이 1/영 1)
대한석탄공사 로고.[343]
한국광해관리공단
수집(이 1/영 1)
한국광해관리공단 로고.[344]
- 영상 1 : 한국광해관리공단 홍보영상
보성사
수집(이 1)
독립기념관 소장 독립선언서.[345]
포항종합제철
수집(이 1/영 2)
포스코 로고.[346]
기아자동차
수집(이 6/영 1)
기아자동차 로고.[347]
1956년 기아산업 자전거 생산 광경[348]
1972년 기아산업 오토바이 생산 광경[349]
1972년 기아산업 공장내부[350]
1976년도 기아산업 공장전경 항공촬영[351]
1977년 기아산업 포.장갑차 조립장면[352]
현대중공업
수집(이 6/영 1)
현대중공업 로고.[353]
울산 미포항 현대조선소 공사 현장 시찰[354]
울산 현대조선소 전경[355]
울산 현대조선소 선박 제작 현장[356]
울산 현대조선소 내부 전경[357]
현대조선소 유조선 전경(1976년)[358]
삼도물산
수집(이 3)
대동공업
수집(이 6/영 1)
대동공업 로고.[362]
진주 대동공업 내부 모습[363]
박정희의장 대동공업사 시찰[364]
대동공업 농기구 작업 과정[365]
공장 내부의 경운기[366]
공장내에서 제작중인 경운기[367]
- 영상 1 : 대동공업, 70주년 기업 홍보 영상
한국도로공사
수집(이 6/영 1)
한국도로공사 로고.[368]
한국도로공사 창립 현판식 모습[369]
한국도로공사 서울영업소 전경[370]
김재규 건설부장관, 영동·동해고속도로 공사장 시찰[371]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교통정보센터 전경[372]
한국도로공사본사전경[373]
호남정유
수집(이 3)
한일합섬
수집(이 7)
한일합섬공업주식회사 준공식(1967년)[377]
한일합섬 공장 내부 작업자 기계 관리 모습(1970년)[378]
한일합섬 방직공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1972년)[379]
마산 한일합섬 공장 전경(1973년)[380]
한일합섬 수원공장 시찰(1976년)[381]
마산 한일합섬 편직쉐타 작업 광경(1976년)[382]
노태우대통령), 한일합섬 내 한일여고학생 방문 격려(1992년)[383]
신진자동차공업
수집(이 5)
신진자동차의 조업 광경(1966년)[384]
신진자동차 공장 작업 모습(1970년)[385]
수밀시험장(Water test)에서 생산된 자동차를 시험하는 광경(1970년)[386]
신진자동차 공장 전경(1976년)[387]
신진자동차 공장 작업 모습(1976년)[388]
한국기계공업
수집(이 5/영 1)
한국기계공장 작업광경(1965년)[389]
한국기계공장 작업광경(1965년)[390]
박정희대통령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 시찰(1968년)[391]
김종필국무총리 인천 한국기계 디젤엔진공장 준공식 참석(1975년)[392]
한국기계 공장내부(1976년)[393]
- 영상 1 : 대한뉴스 제 418호- 확충된 기계제작 공장
장소
백운동 별서정원
수집(영1)
- 영상 1 : 월출산 백운동의 재발견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수집(영1)
진도 정충사
수집(영2)
마산자유무역지역
수집(이2)
소양강댐
수집 (이미지 3)
청천강
수집 (이미지 1)
청천강 전경[399]
구월산
수집 (이미지 1)
청천강 전경[400]
태화관
수집 (이미지 1)
옛 태화관 모습.[401]
호남고속도로
수집 (이미지 1)
호남고속도로 전경.[402]
경부고속도로
수집 (이미지 1)
경부고속도로 전경.[403]
명량
수집 (영상 1)
신규 (이 3)
- 이미지 3 :
- 명량
서울 탑골공원
수집 (영상 1)
신규 (이 25)
- 이미지 25 :
소양강댐
수집 (이미지 3)
- 이미지 3 :
영월 탄광문화촌
수집 (영상1)
- 영상 1 : 강원탄광문화촌
정미의병 발원 터
수집 (영상1, 이미지1)
- 영상 1 : EBS 경술국치 100년 기억, 그리고 미래 1부 의병
- 이미지 1 :
표지석[407]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수집 (영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107호-울산 공업단지 동정
문화유산
금산 종용사
수집(영2)
민영환 유서
수집(이2)
- 이미지 2 :
금성 라디오 A-501
수집(이3)
경기도 이천시 지산로 167-72 (주)LG에 소장된 금성 라디오 A-501[410]
1960년 2월 23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금성 라디오 A-501 광고[411]
1959년 금성 라디오 A-501을 조립하는 장면[412]
금산 칠백의총
수집(영1)
고성 유점사
수집(이8)
능인보전과 구층석탑[413]
1912년 무렵 유점사 승탑들[414]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오른쪽 상단부에 빨강색 네모)[415]
유점사 전경[416]
유점사 구층석탑[417]
능인보전 전경[418]
능인보전 천장[419]
고성 유점사 종[420]
진도 굴포당
수집(이1)
굴포당 정면 사진[421]
강진고려청자요지
수집(영2)
안시성
수집(이1)
안시성 모습.[422]
이천 설봉산성
수집(이1)
이천 설봉산성 모습.[423]
거북선
수집(이1)
거북선 모습.[424]
청구도
수집(이1)
청구도 모습.[425]
문헌
백운첩
수집(이5)
백운첩[426]
대동여지도
수집(이2 / 영1)
- 영상 1 : 역사를 새로 쓰게 한 발견 -대동여지도 목판
- 이미지 2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수집(이3)
- 이미지 2 :
오승우-황산싸움 관련 기사
수집(이1)
- 이미지 1 :
김기창-명량대첩 관련 기사
수집(이1)
- 이미지 1 :
독립신문
수집(이3 / 영1)
- 영 1 SBS 뉴스 - 역사적 가치' 한성순보·독립신문 문화재 된다
- 이미지 3 :
광개토대왕릉비
수집(이1 / 영1)
- 영상 1 : (고대사 숨은 이야기) 광개토대왕비의 비밀①
- 이미지 1 :
광개토대왕비 [440]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수집(이3 / 영1)
- 영상 1 : 역사&추적 광개토대왕 호우 왜경주에 묻혔나
- 이미지 3 :
적산 법화원
수집(이 1)
- 이미지 1 :
적산 법화원[444]
행주산성
수집(이 8)
- 이미지 8 :
경주 석굴암
수집(이 9)
- 이미지 9 :
석굴암 내부 전경[453]
석굴암 본존불 정면[454]
석굴암 천정[455]
석굴암 사천왕상[456]
석굴암 금강역사상(향좌)[457]
석굴암 십일면관음상[458]
석굴암 십대제자상[459]
석굴암 감실보살상[460]
석굴암 인왕상[461]
경주 석굴암 본존불
수집(이 5)
- 이미지 5 :
경주 불국사
수집(영상1, 이 4)
- 영상 1 : 지식채널e 문화유산 시리즈 비례, 균형, 조화의 불국사
- 이미지 4 :
비격진천뢰
수집(영상1, 이 4)
- 영상 1 : 조선의 비밀병기, 비격진천뢰
- 이미지 1 :
비격진천뢰[471]
사건
사카린 밀수사건
수집(이1)
- 이미지 1 :
전주화약
수집(영1)
- 영상 1 : 동학농민혁명 제122주년, 전주화약기념제
황산벌싸움
수집(영1)
- 영상 1 : 황산벌전투와 5천결사대
진주전투
수집(이1)
- 이미지 1 :
진주대첩 기록화[473]
1차 진주전투
수집(영1)
- 영상 1 :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
거란침입
수집(이1)
- 이미지 1 :
거란침입[474]
홍산전투
수집(이1, 영1)
- 영상 1 : 최영장군의홍산대첩
- 이미지 1 :
홍산대첩비[475]
고려말 왜구의 침입
수집(이1, 영1)
- 영상 1 : 제29회 황산대첩 재현
- 이미지 1 :
고려말 왜구 침입[476]
연안성싸움
수집(이2)
- 이미지 2 :
만민공동회
수집(영1)
- 영상 1 : 5분사탐 한국근현대사, 독립협회
정미의병
수집(영1)
- 영상 1 : EBS 경술국치 100년 기억, 그리고 미래 1부 의병
- 이미지 1 :
정미의병[479]
새마을운동
수집(이1, 영2)
- 영상 2 : 대한뉴스 제 870호-거국적인 새마을 운동을, 세계가 인정한 빈곤퇴치 롤모델,'지구촌 새마을운동'이란?
- 이미지 1 :
새마을운동 로고[480]
진포대첩
수집(이1, 영1)
- 영상 1 : 진포대첩
- 이미지 1 :
진포대첩 기념탑[481]
개념
서울 지하철 1호선
수집(이2)
- 이미지 2 :
영동선 전철 X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수집(이1 / 영1)
- 영상 1 : 그때그시절 - 번영하는 우리조합 5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이미지 1 :
제1회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경진대회장 광경[484]
지부복궐상소
수집(영1)
추상미술
수집(영1)
근대미술
수집(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518호-문화계 소식
다다이즘
수집(영1)
- 영상 1 : 마르셀 뒤샹의 작품 샘_A&C아트스쿨 11회
한국화
수집(영1)
서양화
수집(이2)
- 이미지 2 :
비엔날레
수집(영1)
- 영상 1 : 현대 한국화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화차
수집(영상 1, 이미지 1)
- 영상 1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
- 이미지 1 :
화차[487]
대일청구권자금
수집(영상 1)
일관제철소
수집(영상 1, 이미지 1)
- 영상 1 : 포스코 제철 공정, 포항제철소
- 이미지 1 :
일관제철소 [488]
물품
변이중화차
수집(이3 / 영1)
- 영상 1 : 남도의보물100선 77회 - 호국의 비밀병기 '변이중의 화차'의 사본(게시일: 2016년 07월 26일)
- 이미지 3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수집(이10)
- 이미지 10 :
주석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0",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13(황산벌전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콘텐츠산업정보포털』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콘텐츠산업정보포털』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민족기록화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영혼샘, "강감찬의 귀주대첩",
『네이버 블로그 - 영혼샘의 작은 사랑방』online , 작성일: 2008년 09월 06일. - ↑ "민족기록화1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청자",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청자상감운학문매병(고려)",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6 ",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관련사진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 ↑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민족기록화1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민족기록화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국가보훈처, "이승훈", 네이버 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발행일: 2011년 2월 22일. - ↑ 김호일,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고병우, "새마을과 박정희 대통령 : 가난추방 눈물의 결정",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 2015년 10월 29일.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아이엠피터, "제주도민이 추앙하던 박정희, 제주를 ‘미군기지’로",
『The 아이엠피터』online , 작성일: 2013년 3월 19일.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 국무총리 충남 서산 삼화목장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김종필 국무총리 충남 서산 삼화목장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잡는 漁業에서 기르는 漁場으로", 『경향신문』, 1973년 1월 19일.
- ↑ 김삼곤, "원양어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종필 국무총리 부산 감천항 원양어업 전용부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김종필국무총리 민족기록화관람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강인범, "창원시 '마산자유무역지역' 재도약", 『조선일보』, 작성일: 2011년 03월 02일.
- ↑ 김종경, "울산공단 50년 ⑧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울산신문』, 작성일: 2011년 06월 29일.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1975 준공 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
『산업단지 출범 50주년 역사관』online , 산업단지 50주년 기념행사. - ↑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광복 70년, 국민과 함께 역사를 만들다 – 광복 70년 특별기획전을 빛낸 LG 제품들",
『LG 공식 블로그』online , LG. - ↑ 추연화, "1960년 수출 선풍기", 『news1』, 작성일: 2016년 8월 30일.
- ↑ "금성 흑백TV VD-191, 1966", 한국의 생활 디자인,
『네이버캐스트』online , 네이버. - ↑ "구미전자공업단지(항공촬영)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구미전자공단근로자작업광경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2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6월 30일. - ↑ "'특등급' 소양강댐 내진설계기준 청평댐보다 낮아", 『연합뉴스』, 작성일: 2011년 03월 15일.
- ↑ "팔당수력발전소", 관광지정보,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 ↑ "팔당댐 방류",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팔당댐 방류",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호남정유야경", 정부기록사진첩,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여수국가산업단지",
『나무위키』online .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을 잇는 한국 최초의 현수교 남해대교 전경",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남해대교' 가설 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지하철 1호선 시청역 부근 공사현장",『연합뉴스』, 작성일: 2015년 2월 10일.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2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9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7쪽.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 인천항만공사.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강대운", 미술세계명감,
『미술세계』online . - ↑ 좌영길, "예술작품산책 : 대검 청사 '계절'", 『법률신문』, 2012년 3월 5일.
- ↑ "추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공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김희만, "김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은주,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2016년 6월 3일.
- ↑ "군마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한국화 판타지-한국화의 감각적 재해석",
『네오룩』online . - ↑ "가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거부기, "마지막 회 - 근대에서 현대로"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김선주학교』online , 작성일: 2011년 01월 31일. - ↑ "자연의 의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데일리안, "김종하 화백 ´여인의 뒷모습´ 경매 기록 깰까?", 『데일리안』, 작성일: 2008년 01월 16일.
- ↑ "자연의 표상", 미술품 경매,
『포털아트』online , (주)포털아트. - ↑ "태종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탁상정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국보", 소장품검색,
『제주현대미술관』online . - ↑ "닭장",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월출산",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공작", 소장품검색,
『제주현대미술관』online . - ↑ 자유로, "2010 이철명 수채화전 주요작 & 초대 출품직",
『다음 블로그 - 자유로의 작은여유』online , 작성일: 2010년 10월 25일. - ↑ "2004 울산광역시 수채화 협회전,
『울산아트닷컴』online , 울산갤러리." - ↑ "박기태, 출향작가 갤러리,
『한국미술협회경상북도지회』online . - ↑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부인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 No.43-78-79-81",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 No.355-86",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시리즈 4",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형질 1-62",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후아, "박석호",
『네이버 블로그 - 후아 전중관의 그림과 글 세상』online , 작성일: 2015년 10월 13일. - ↑ "수난(受難)",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희망",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심재욱, "박영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농부의 가족",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모녀",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판타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박항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미정, "깊어가는 겨울, 좋은 것을 보는 안복(眼福)",
『SMARTK』online , 한국미술정보개발원. - ↑ "수중지대",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마술사의 여행",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조성운, "손응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2014년 6월 24일. - ↑ 참나무, "3.무무 원피스의 추억",
『조선닷컴 블로그』online , 작성일: 2012년 10월 08일. - ↑ "스키복 입은 여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여래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조Ⅱ",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율 9925",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소와달, "화가들의 여인극장",
『다음 블로그 - 소와 달』online , 작성일: 2011년 02월 19일. - ↑ "소녀상",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성산일출",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소망",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오승우", 회원소개,
『대한민국예술원』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대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해녀도",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회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다다, "오승윤展",
『jojako님의 블로그』online , 작성일: 2014년 02월 24일. - ↑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 ↑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 ↑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 ↑ 회남자, "412. 이마동 <자화상(1932)>",
『네이버 블로그 - 회허백 겸선재』online , 작성일: 2008년 02월 06일. - ↑ "부산항",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종근당, "이의주",
『다음 블로그 -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online , 작성일: 2015년 06월 21일. - ↑ 종근당, "이의주",
『다음 블로그 -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online , 작성일: 2015년 06월 21일. - ↑ 이구열, "임직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모자를 쓴 소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화실",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한강변 풍경,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투계,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묵고 No.9606",
『미술작품』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닥 No. 85099",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묵고 No.9608",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10월",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설경",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토기",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서유리, "최덕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돌산",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지동의 가을", 소장품,
『서울시립미술관』online . - ↑ "불암산의 만추",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 최덕휴 기념관. - ↑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용화산경",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 최덕휴 기념관. - ↑ "흔적", 소장품소개,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무제(남과 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심청전에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경사날", 소장품 검색,
『감성DB』online , 호남학연구원. - ↑ "모자",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환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만다라", 소장품보기,
『부산시립미술관』online . - ↑ "혼불-빛의 회오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 - ↑ 김정희, "인천문화회관" ,
『디지털인천남구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하현강, "이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태식,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
- ↑ 좋은 습관 블로그,"대구 망우공원 홍의장군 곽재우 동상",
『티스토리』online - ↑ 김영길, "영규",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희종, 조은효, "이병철 탄생 100년.. 삼성의 ‘일류 DNA’ 원천을 찾는다", 『파이낸셜뉴스』, 2010년 1월 13일
- ↑ 위키백과 기여자, "김종필",
『위키백과』online , 작성일: 2017년 10월 21일.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용덕, "김개남",
『디지털남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원균 선무공신교서",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창수, "전봉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오세창, "안중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홍범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창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정기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강훈, "김좌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차문섭, "임경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Ito Hirobumi",
『위키미디어』online . - ↑ "신돌석",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호일,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종서유허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박승환",
『이달의 독립운동가』online , 국가보훈처. - ↑ 김성균, "민영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차문섭, "이완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창훈, "금성사 전자레인지 '34년 만의 귀향'",
『한국일보』online , 2017년 8월 24일. - ↑ "금성라디오 A-501", 문화재검색,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금성사상품전시장광경",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금성사작업광경9",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금성사금오기술학교2",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영삼대통령금성사방문근로자격려",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1950년대 선경직물",
『수원시 권선구 디지털갤러리』online , 수원시 권선구청. - ↑ ""선경직물공장내부2",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선경직물공장항공촬영3",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1977년 4월 선경합섬 전경",
『수원시 권선구 디지털갤러리』online , 수원시 권선구청. - ↑ 앞줄 오른쪽 두 번째 자리에 앉은 사람이 단광회 창립을 주도했던 야마다 신이치이다.
- ↑ 김용철, 「총력전시기 재조선일본인 미술가의 역할과 위상」, 『일본학보』, 100권, 100호, 한국일본학회, 2014, 409쪽.
- ↑ 김용철, 「총력전시기 재조선일본인 미술가의 역할과 위상」, 『일본학보』, 100권, 100호, 한국일본학회, 2014, 409쪽.
- ↑ "십장생도", 회원전,
『목우회』online .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윤범모, "길을 찾아서(31), 국방부 종군화가단의 활동", 『한겨레신문』, 2017년 08월 24일.
- ↑ 김달진, "한국화 단체와 전시회의 역사 : 1936-2016 (1)", 외부칼럼,
『김달진미술연구소』online . - ↑ "『태화복지재단』
online , 사회복지법인 감리회 태화복지재단." - ↑ "『한국수력원자력』
online ." - ↑ "『고리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고리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고리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울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울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울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월성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월성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월성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빛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빛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빛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전후경제복구기",
『사진!대한민국』online , 국가기록원. - ↑ "전후경제복구기",
『사진!대한민국』online , 국가기록원. - ↑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KKKK8155,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 ↑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천판유리 공장 준공기념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쌍용양회 문경공장 ‘산업유산’ 등재 시동", 『대구일보』, 2017년 6월 19일.
- ↑ "문경 시멘트공장 기공식(1)",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문경시멘트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쌍용양회 동해공장 가보니 녹색성장 '활짝'", 『아시아경제』, 2012년 9월 17일.
- ↑ "『쌍용양회』
online ." - ↑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태완선 경제기획원장관 쌍용양회 영월공장 100만 톤 증설 준공식 참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롯데정밀화학』
online ." - ↑ 『산림청』
online , 산림청. - ↑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국립종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국립축산과학원』
online , 국립축산과학원. - ↑ "팔당수력발전소", 관광지정보,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 ↑ "CI.BI",
『극동건설 홈페이지』online , 극동건설. - ↑ "2015년 제44회 구상전 공모대전 수상작품", 구상전 공모대전,
『사단법인 구상전』online . - ↑ "흥사단",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대성학교",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좌진과 북로 군정서군",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화순탄광 '폐업설' 술렁…노조 파업 추진", 『연합뉴스』, 2016년 5월 31일.
- ↑ "화순광업소 비정규직 편법 운영 여전", 『화순투데이』, 2016년 1월 14일.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대한석탄공사』
online , 대한석탄공사. - ↑ 『한국광해관리공단』
online , 한국광해관리공단. - ↑ "독립선언서",
『소장자료 사진집』online , 독립기념관. - ↑ "다운로드", 홍보채널,
『posco』online . - ↑ "CI", company,
『KIA』online . - ↑ "기아산업주식회사자전거생산광경6",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오토바이생산광경2",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공장내부",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항공촬영1,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포.장갑차조립4",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중공업 CI",
『현대중공업』online . - ↑ "울산미포항현대조선소공사현장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내부광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유조선전경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삼도물산 봉제품공장 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삼도물산직원들체조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삼도물산직원들체조",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 CI",
『대동공업』online . - ↑ "진주대동공업주식회사공장1",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의장대동공업사시찰5",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농기구작업과정",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농기구1",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근로자농기구제작광경2",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 CI",
『한국도로공사』online . - ↑ "한국도로공사현판식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의서울영업소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재규건설부장관영동고속도로공사장시찰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의고속도로교통정보센터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본사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호남정유공장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호남정유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새마을산업시찰단호남정유시찰",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공업주식회사준공식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작업과정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방직공장작업광경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공장전경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큰영애한일합섬수원공장시찰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근로자작업광경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노태우대통령한일합섬내한일여고학생방문격려",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제작광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수밀시험장",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공장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공장작업근로자",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사진복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사진복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시찰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 국무총리 인천 한국기계 디젤엔진공장 준공식 참석",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손승호, "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30일. - ↑ 이원호,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 ↑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 다목적 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김주환,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2008, (사)평화문제연구소. 온라인 참조: "구월산",조선향토대백과 자연지리정보관 : 지형지물(원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상협,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호남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경부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 다목적 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정미의병발원 터",
『중구 문화관광』online , 서울특별시 중구청. - ↑ 김정형, "김정형의 알아서 남주자②'혈죽(血竹)'으로 다시 피어난 민영환의 자결", 『프리미엄조선』, 작성일: 2013년 12월 4일.
- ↑ 플러스, "고려대학교 박물관③역사·민속전시실",
『네이버 블로그 - 발길 닿는대로...홀로 다니는 길』online , 작성일: 2014년 12월 11일. - ↑ "금성 라디오 A-501",
『문화재청』online . - ↑ "라디오로 수신하는 근대 (2)",
『파워라이터 ON』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라디오로 수신하는 근대 (2)",
『파워라이터 ON』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유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점사",
『위키백과』online . - ↑ 한승동,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되살아나다", 『한겨레』, 작성일: 2017년 6월 22일.
- ↑ "유점사 전경",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구층석탑",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능인보전 전경",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능인보전 천장과 내부 가구",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이동명, "30. 유점사 청동범종",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4년 9월 10일.
- ↑ 나경수,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임기환, "영성자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길식, "이천설봉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혜일, "거북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홍시환, "청구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리마빈, "강진-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바람 속 갈팡질팡』, 작성일: 2015년 06월 26일.
-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골목길 조선사 : 강진산책 - 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작성일: 2016년 04월 11일.
- ↑ 여름개굴,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summerfrog...beyond』, 작성일: 2015년 08월 19일.
- ↑ 茶泉,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취월당 유람록』, 작성일: 2016년 03월 07일.
- ↑ 茶泉, "다산을 찾아서 (1) - 다산 초당", 『한국사상 현장순례』, 작성일: 2001년 5월 5일.
-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 "일본 갑옷",
『나무위키』online - ↑ "하치노헤 역사", 하치노헤 10가지 이야기,
『하치노헤 관광정보 사이트』online - ↑ "시대별 특징",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재근, "판옥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초신문원조독립신문편집실",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독립신문1896년4월7일자",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독립신문", 주요 소장품 검색,
『국립중앙박물관』online . - ↑ 서영수, "광개토왕릉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법화원",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영자,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하호숙, "경주 불국사 다보탑",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장남진,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강명운,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비격진천뢰", 문화재검색,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재현, "한국비료(韓肥) 사카린 밀수사건",
『네이버 블로그 - 따뜻한 고향』online , 작성일: 2016년 08월 21일. - ↑ 전쟁기념관
- ↑ 이용범, "거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구경욱, "태봉산성", 『다음블로그 - 소설가구경욱』, 작성일: 2009년 09월 01일.
- ↑ 왜구의 주체는 조선인과 중국인", 『한국교육신문』, 작성일: 2004년 11월 03일.
- ↑ "연성대첩비",
『네이버지식백과』online 조선향토대백과. - ↑ "연성대첩비",
『원각사성보박물관』online 원각사. - ↑ "의병부대",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새마을운동CI",
『새마을운동중앙회』online . - ↑ "진포대첩 기념탑", 영상이미지 속 우리 역사,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46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43쪽.
- ↑ "제1회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경진대회장광경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이구열, "서양화",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서양화",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용희, "변이중 화차, 지축을 흔들다",『장성군민신문』, 2011년 11월 29일.
- ↑ "'王회장의 꿈' 이루어지다…현대제철, 일관제철소 화입식", 한국경제, 『네이버 뉴스』, 2010년 01월 05일.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 ↑ "포스코의 45년 히스토리, 들어보실래요?", 포스코 소식/기업소식,
『hellp,posco』online , 포스코 기업 블로그. - ↑ "포스코의 45년 히스토리, 들어보실래요?", 포스코 소식/기업소식,
『hellp,posco』online , 포스코 기업 블로그. - ↑ "광양제철 제1기 준공식",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현석, "금성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SK네트웍스의 발자취",
『사이버역사관』online , SK네트웍스. - ↑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SK에너지』online ,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 - ↑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SK에너지』online ,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 - ↑ "SK네트웍스의 발자취",
『사이버역사관』online , SK네트웍스. - ↑ "SK네트웍스의 발자취",
『사이버역사관』online , SK네트웍스. - ↑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SK에너지』online ,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