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가효공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요)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그는 집안에 이 네 가지 꽃과 식물을 심어놓고 즐겨 감상하면서 자신의 호를 ‘사가정(四佳亭)’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그의 친구였던 박팽년의 ‘강중(剛中)의 집안에 심어진 매화, 대나무, 연꽃, 해당화 네 가지를 소재로 읊다(題剛中家梅竹蓮海棠四詠)’라는 시(詩)에 잘 나타나 있다. | 그는 집안에 이 네 가지 꽃과 식물을 심어놓고 즐겨 감상하면서 자신의 호를 ‘사가정(四佳亭)’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그의 친구였던 박팽년의 ‘강중(剛中)의 집안에 심어진 매화, 대나무, 연꽃, 해당화 네 가지를 소재로 읊다(題剛中家梅竹蓮海棠四詠)’라는 시(詩)에 잘 나타나 있다. | ||
− | + | 이런 [[서거정]](徐居正, 호 四佳亭)이 용마산 자락에 정자 ‘사가정’을 짓고 살았다고 하여 그런 연유로 1984년도에 도로명을 정비하면서 당초에 면목로라 불렀던 길을 그의 호를 따서 사가정로라고 고쳐 불렀고, 그 뒤에 생긴 역 이름도 사가정이라고 했다. | |
− | + | 한명회의 호에서 따 온 압구정역과 비슷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사가정은 당시 파주 도라산에 있던 정자 이름으로, 자신의 이름과 발음이 비슷해 재치있게 빌린 것이란다. 조선조의 대표적인 관료였으니 당연히 본가는 도성 내에 있었을 것이고 당시엔 궁벽한 산촌이었을 이곳에는 아마 한양 근교에 여러 채 있었다는 그의 별장 중의 한 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서거정]](1420∼1488)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이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지식인 | + | [[서거정]](1420∼1488)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이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지식인 [[서거정]]은 45년간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의 여섯 임금을 모셨으며 신흥왕조의 기틀을 잡고 문풍을 일으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
원만한 성품의 소유자로 단종 폐위와 사육신의 희생 등의 어지러운 현실 속에서도 왕을 섬기고 자신의 직책을 지키는 것을 직분으로 삼아 조정을 떠나지 않았다. 선생은 김시습과 쌍벽을 이룬 당대의 대문호였지만, 생육신인 김시습과는 달리 계유정난 때 세조의 편에 서게 되어 출세가도를 달린 고위관료였다. | 원만한 성품의 소유자로 단종 폐위와 사육신의 희생 등의 어지러운 현실 속에서도 왕을 섬기고 자신의 직책을 지키는 것을 직분으로 삼아 조정을 떠나지 않았다. 선생은 김시습과 쌍벽을 이룬 당대의 대문호였지만, 생육신인 김시습과는 달리 계유정난 때 세조의 편에 서게 되어 출세가도를 달린 고위관료였다.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문장과 글씨에 능하여 수많은 편찬사업에 참여했으며, 그 자신도 뛰어난 문학 저술을 남겨 조선 시대 관인 문학이 절정을 이루었던 목릉성세(穆陵盛世)의 디딤돌을 이루었다. 〈경국대전〉·〈동국통감〉·〈동국여지승람〉·〈동문선〉 편찬에 참여했으며, 왕명으로 〈향약집성방〉을 언해했다. | 문장과 글씨에 능하여 수많은 편찬사업에 참여했으며, 그 자신도 뛰어난 문학 저술을 남겨 조선 시대 관인 문학이 절정을 이루었던 목릉성세(穆陵盛世)의 디딤돌을 이루었다. 〈경국대전〉·〈동국통감〉·〈동국여지승람〉·〈동문선〉 편찬에 참여했으며, 왕명으로 〈향약집성방〉을 언해했다. | ||
− | + | 그의 저술서로는 객관적 비평태도와 주체적 비평안(批評眼)을 확립하여 후대의 시화(詩話)에 큰 영향을 끼친 〈동인시화〉, 간추린 역사·제도·풍속 등을 서술한 〈필원잡기 筆苑雜記〉, 설화·수필의 집대성이라고 할 만한 〈태평한화골계전 太平閑話滑稽傳〉이 있으며, 관인의 부려호방(富麗豪放)한 시문이 다수 실린 〈사가집 四佳集〉 등이 있다. | |
명나라 사신 기순(祁順)과의 시 대결에서 우수한 재능을 보였으며, 그를 통한 〈황화집 皇華集〉의 편찬으로 이름이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그의 글씨는 충주의 화산군권근신도비(花山君權近神道碑)에 남아 있다. 시호는 문충이며, 대구 귀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 되었다.<참고 : 다음 백과사전> | 명나라 사신 기순(祁順)과의 시 대결에서 우수한 재능을 보였으며, 그를 통한 〈황화집 皇華集〉의 편찬으로 이름이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그의 글씨는 충주의 화산군권근신도비(花山君權近神道碑)에 남아 있다. 시호는 문충이며, 대구 귀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 되었다.<참고 : 다음 백과사전> | ||
− | 중랑구 면목동 사가정공원엔 조선조 문인 [[서거정] | + | 중랑구 면목동 사가정공원엔 조선조 문인 [[서거정]](1420~88)의 재능을 엿볼 수 있는 시비들이 띄엄띄엄 세워져 운치를 더해준다. 자칫 무료해지기 쉬운 산책길에서 산책과 함께 글 향기가 물씬 풍기는 우아하고 품위 있는 명시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으니 등산객이나 면목동 주민은 얼마나 행복한가? |
− | '사가정' 공원 입구에 '한중(閑中)' 이 새겨져 있다. 공원의 초입에 ‘한가로움 속에서(閑中)’란 제목의 조선 시대 대학자 '서거정'의 시를 새긴 시비가 내 눈길을 끌어당긴다. 초가을의 햇빛이 시비에 눈부시게 반사되니 바위에 새겨진 글자 한 자 한 자가 모두 살아 꿈틀대는 것 같다. | + | '사가정' 공원 입구에 '한중(閑中)' 이 새겨져 있다. 공원의 초입에 ‘한가로움 속에서(閑中)’란 제목의 조선 시대 대학자 '[[서거정]]'의 시를 새긴 시비가 내 눈길을 끌어당긴다. 초가을의 햇빛이 시비에 눈부시게 반사되니 바위에 새겨진 글자 한 자 한 자가 모두 살아 꿈틀대는 것 같다. |
白髮紅塵閱世間 백발홍진열세간 | 白髮紅塵閱世間 백발홍진열세간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이 시는 조선 전기의 문신 [[서거정]]의 ‘春日(춘일)’로서 봄에 나타나는 다양한 색채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품이다. 노란 수양버들 꽃을 보고 그 속으로 금빛이 들어간 것으로 보고, 시드는 하얀 매화를 보고 옥빛이 떠나가는 것으로 파악한 발상법으로 표현되었다. | 이 시는 조선 전기의 문신 [[서거정]]의 ‘春日(춘일)’로서 봄에 나타나는 다양한 색채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품이다. 노란 수양버들 꽃을 보고 그 속으로 금빛이 들어간 것으로 보고, 시드는 하얀 매화를 보고 옥빛이 떠나가는 것으로 파악한 발상법으로 표현되었다. | ||
− | + | 그리고 작은 못에 고인 봄물이 이끼보다 파랗다고 한 것은 봄기운이 대지를 뒤덮는 시절에 느낄 수 있는 생동감을 표현한 것이다. 이끼보다 더 파랗게 보이는 봄물이라고 하였으니 그 빛깔의 농도를 짐작할 수 있다. 봄의 색깔이라면 파란색이거나 녹색이 아닐까 싶다. 다음 ‘독좌(獨坐)’라는 제목의 시를 보자. | |
獨坐無來客 독좌무래객 | 獨坐無來客 독좌무래객 | ||
126번째 줄: | 126번째 줄: | ||
‘睡起’(잠에서 깨어나)라는 시다. 집안은 텅 비어 있고 낮잠을 즐기다가 소나기가 후두두 오동잎을 때리는 소리에 잠을 깬 순간의 포착이 산뜻하다. 잠깐 낮잠에 빠졌다가 빗소리에 깨어난 시인의 모습이 몽롱한 여름 정경과 잘 어우러져 있다. | ‘睡起’(잠에서 깨어나)라는 시다. 집안은 텅 비어 있고 낮잠을 즐기다가 소나기가 후두두 오동잎을 때리는 소리에 잠을 깬 순간의 포착이 산뜻하다. 잠깐 낮잠에 빠졌다가 빗소리에 깨어난 시인의 모습이 몽롱한 여름 정경과 잘 어우러져 있다. | ||
+ | |||
+ | 깊은 사상이나 강한 이념이 전달되는 시는 아니나, 그저 아름다운 심상을 표출하는 재주가 번뜩이는 시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시적 감흥의 포착은 깊은 관조의 여과로만 얻어지는 것이리라. | ||
+ | |||
+ | 시를 감상하며 공원을 두루 둘러보니 시비 외에 많은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정자, 피크닉장, 어린이 놀이시설, 체력단련시설, 건강지압로, 사가정(전통 정자), 다목적광장, 냇가 휴게소, 전망대 등 다양한 휴게시설과 운동시설, 조경시설이 갖춰져 있어 주민들의 수준 높고 쾌적한 휴식공간이자 중랑구의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또 중랑문화체육관, 문화체육관 등 체육 전용시설이 있어 시민들에게 많은 편의를 주고 있다. 특히 공원에서는 중랑둘레길이 이어져 있어 부담없이 산책하기에 이만한 곳이 없다. 공원 산책이 끝나고 시장기가 느껴지면 사가정역 앞 사가정시장에 들러 따끈한 찐빵, 순대로 달래면 좋다. | ||
+ | |||
+ | |||
+ | 徐居正. 1420(세종 2) ~ 1488(성종 19) | ||
+ | |||
+ | |||
+ | == 달성군 사가정 (達城君 四佳亭) 가계도 == | ||
+ | 시조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 | ||
+ | |||
+ |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 ||
+ | |||
+ |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 ||
+ | |||
+ | *증조부 :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 ||
+ | **조 부 : [[서의(고려3)|서의]](徐義 호조전서) | ||
+ | ***부 : [[서미성(조선)|서미성]](徐彌性 목사) | ||
+ | ***모 : 권근(權近)의 딸 | ||
+ | ****형 : [[서거광]] 현감 | ||
+ | ****정경부인 선산김씨 (부:김여회金如晦) | ||
+ | ****정경부인 공주이씨 (부:이영근李寧根) | ||
+ | *****서자 : [[서복경]](徐福慶 안악군수) | ||
+ | ******서손자 : [[서익정]](徐益精 부호군) | ||
+ | *******서증손자 : [[서죽수]](徐竹壽 어모장군) | ||
+ | ********서고손자 : [[서흥립]](徐興立 사과) | ||
+ | ******서손자 : [[서득정]](徐得禎 생원) | ||
+ | |||
+ | == 개요 == | ||
+ | [[조선]] 전기의 [[훈구파]] 문신. 15세기 관학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시인 겸 문장가로 꼽힌다. 호는 사가정(四佳亭).[* [[서울 지하철 7호선]] [[사가정역]]은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 ||
+ | |||
+ | 고려시대 권문세족은 [[이천 서씨]],인주 이씨,해주 최씨,남양 홍씨가 4대 문벌귀족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천서씨]]에서 분파한 [[대구 서씨]](大丘徐氏) [[서성(조선)|서성]](徐渻 증 영의정) 후손이 3대 정승([[서종태]](徐宗泰 영의정),[[서명균]](徐命均 좌의정),[[서지수]](徐志修 영의정)),3대 대제학([[서유신]](徐有臣 대제학),[[서영보(조선)|서영보]](徐榮輔 대제학),[[서기순]](徐箕淳 대제학))을 최초로 6대 연속과 [[서명응]](徐命膺 대제학),[[서호수]](徐浩修 직제학), [[서유구]] (徐有榘 대제학) 3대 대학자를 연속 배출하여 조선에서는 서지약봉(徐之藥峰)이요.홍지모당(洪之慕堂) 으로 유명했고, 연리광김(延李光金)와 더불어 [[대구 서씨]],풍산 홍씨,연안 이씨,광산 김씨가 조선 최고 4대 양반 가문으로 꼽힌다. 숙종때 이런 일화가 전한다.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비롯한 [[서씨]] 성을 가진 참판급 이상 중신이 30여명 이었다. 어느날 조회를 소집한 숙종이 용상에서 가만히 내려다보니, 오가는 대신들이 대부분 [[서씨]]들이라, “마치 어미 쥐가 새끼쥐를 거느리고 다니는 듯 하다!” 라고 말해 주변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숙종의 말씀이었으나,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어미쥐로 빗대 그 아래 웅성거리는 [[서씨]]대신들의 융성함을 나타내는 기막힌 표현이였다.[[대구 서씨]]는 [[달성 서씨]]라고도 부른다. | ||
+ | |||
+ | |||
+ | [[대구 서씨]] 원조(遠祖) [[서한(고려)|서한]](徐閈) 시제는 충남 예산군 대흥면 하탄방리에서 음력 10월1일에 거행된다 | ||
+ | |||
+ | |||
+ |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고려)|서정]](徐靖),우복야 [[서균(고려)|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고려)|서린]](徐嶙), 평장사 [[서공(고려)|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고려)|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 ||
+ | |||
+ | |||
+ |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고려)|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고려)|서균]](徐鈞) [[서린(고려)|서린]](徐璘), [[서원(고려)|서원]](徐元) [[서공(고려)|서공]](徐恭) [[서성(고려)|서성]](徐成) [[서순(고려)|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고려)|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고려1)|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고려)|서원경]],[[서충(고려)|서충]],[[서신]],[[서윤(고려)|서윤]],[[서후상]],[[서윤현(고려)|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 ||
+ | |||
+ | |||
+ | |||
+ | 대구달성 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고려)|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고려1)|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고려)|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고려)|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고려3)|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 ||
+ | |||
+ |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고려)|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고려2)|서보]](徐寶 연성군(連城君) 으로 이어진다. | ||
+ | |||
+ |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고려)|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 ||
+ | |||
+ | 남양당성 서씨 ([[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통일신라)|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고려)|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 ||
+ | |||
+ | | ||
+ |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진나라)|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삼국)|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오나라)|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남송)|서희]](徐煕), [[서도(남송)|서도]](徐道), [[서도(남송1)|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중국)|서문백]](徐文伯), [[서사백(중국)|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원위)|서건]](徐謇), [[서웅(원위)|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수나라)|서민제]](徐敏齊) -원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 ||
+ | |||
+ |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
+ | [[https://open.kakao.com/o/gBQB1q6c]] | ||
+ | |||
+ | == 가족 == | ||
+ |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대부. 종1품) | ||
+ |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 ||
+ |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머니 : [[평양 황씨]](平壤黃氏) | ||
+ |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
+ |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눌]](徐訥)(종1품 문하시중) | ||
+ |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
+ |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
+ |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
+ | **** 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한(고려)|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 ||
+ | ***** 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신(고려1)|서신]](徐愼 정2품 이부판사) | ||
+ | ****** 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무질]](徐無疾 종2품 밀직사) | ||
+ | ******* 고고고조할아버지: [[서진(고려)|서진]](徐晉 정3품 판도판서) | ||
+ | ******** 고고조할아버지: [[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
+ | ********* 고조할아버지: [[서영(고려)|서영]](徐穎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
+ | ********** 큰증조아버지: [[서균형]](徐鈞衡 종2품 정당문학) | ||
+ | *********** 큰할아버지: [[서침]](徐沈 정3품 조봉대부) | ||
+ | ************ 큰아버지 : [[서문한(조선)|서문한]](徐文翰 현감) | ||
+ | ************* 삼촌 : [[서제]](徐濟, 현감공파(縣監公派) | ||
+ | ************* 삼촌 : [[서도]](徐渡, 학유공파(學諭公派) | ||
+ | ************** 조카: [[서지원(조선)|서지원]](徐智元 학자) | ||
+ | *************** 증조카: [[서윤(조선)|서윤]](徐尹 참봉(參奉)) | ||
+ | *************** 증조카: [[서괄]](徐适 훈도(訓導)) | ||
+ | *************** 증조카: [[서세]](徐洗찰방(察訪)) | ||
+ | *************** 증조카: [[서부(조선)|서부]](徐浮 목사(牧使)) | ||
+ | ************** 조카: [[서인원(조선)|서인원]](徐仁元 목사) | ||
+ | ************** 조카: [[서용원(조선)|서용원(徐勇元 생원) | ||
+ | ************** 조카: [[서숙원]](徐叔元 생원) | ||
+ | ************* 삼촌 : [[서섭(조선)|서섭]](徐涉. 판서공파(判書公派) | ||
+ | ************ 큰아버지 : [[서문간]](徐文幹 현감) | ||
+ | ************* 삼촌 : [[서근중]](徐近中, 감찰공파(監察公派) | ||
+ | ************ 큰아버지 :[[서문덕]](徐文德 현감) | ||
+ | *********** 큰할아버지 : [[서습]](徐漝 생원) | ||
+ | *********** 큰할아버지 : [[서환]](徐渙 생원) | ||
+ | ********** 증조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
+ | *********** 할아버지: [[서의(고려3)|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
+ | ************ 아버지: [[서미성(조선)|서미성]](徐彌性 정3품 목사(牧使)) | ||
+ | ************* 형: [[서거광]](徐居廣 언양현감) | ||
+ | ************** 조카:[[서팽소]](徐彭召 사헌부장령) | ||
+ | ************* 본인: [[서거정]](徐居正 좌찬성 종1품) | ||
+ | ************** 아들(서자(庶子): [[서복경]](徐福慶)(군수.사가공파(四佳公派) | ||
+ |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목]](徐穆)(종1품 문하시중.이천백) | ||
+ | |||
+ | == 내용 == | ||
+ | 본디 [[수양대군]]의 오른팔 중 하나[* 김시습도 서거정은 배신자이니 뭐니 비난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도 그럴 것이 서거정은 과거급제 이전 나이 20대초부터 수양대군과 친하게 지내고 수양대군과 같이 24살 젊은 나이로 명나라로 다녀오는 비서직을 맡았을 정도로 처음부터 수양대군 밑사람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명나라로 가던 길에 서거정은 갑자기 깨어나 울었는데 꿈에 어머니가 돌아가셨사옵니다라고 간청하여 조선으로 돌아와 진짜로 죽은 어머니 장례에 참가했다는 야사도 있다.]로,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한 후 당시 사명(辭命: 왕명을 전달하는 외교문서)의 대부분을 전담한 인물이다. 세조 때에는 공조참의ㆍ예조참의ㆍ이조참의ㆍ형조참판ㆍ예조참판ㆍ형조판서ㆍ성균관지사ㆍ예문관대제학 등 주요 관직을 연이어 제수하기도 하였다. | ||
+ | |||
+ | 주요 저서로는 [[경국대전]](經國大典),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동문선]](東文選), [[동국통감]](東國通鑑), [[오행총괄]](五行摠括), [[동인시화]](東人詩話),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필원잡기]](筆苑雜記), [[사가집]](四佳集), [[역대연표]](歷代年表), [[연주시격언해]](聯珠詩格言解), [[동인시문]](東人詩文), [[향약집성방]]언해(鄕藥集成方言解), [[마의서]](馬醫書), [[유합(서적)|유합]](類合) 등이 있다. 법전ㆍ역사ㆍ지리ㆍ문학 등의 분야에 걸쳐서 활약했다고 할 수 있다. | ||
+ | |||
+ | 1488년(성종 19) 향년 69세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이때 ‘문충(文忠)’이란 시호를 받았다. | ||
+ | |||
+ | 서거정의 역사 의식은 당대 정치권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는데 먼저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동국통감(東國通鑑)』에 실린 서거정의 서문과 『필원잡기(筆苑雜記)』에서는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세력이 서로 대등하다는 이른바 삼국균적(三國均敵)을 내세우고 있다. | ||
+ | |||
+ |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의 서문에서는 우리나라가 단군(檀君)이 조국(肇國: 처음 나라를 세움)하고, 기자(箕子)가 수봉(受封: 봉토를 받음)한 이래로 삼국·고려시대에 넓은 강역을 차지했음을 자랑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토에 대한 자부심과 역사 전통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중국의 『방여승람(方輿勝覽)』이나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와 맞먹는 우리나라 독자적 지리지로서 편찬하였음을 내세웠다. | ||
+ | |||
+ | 『동문선(東文選)』에서는 중국과 다른 우리나라 한문학의 독자성을 내세우면서 우리나라 역대 한문학의 정수를 담았음을 표방했다. | ||
+ | |||
+ | 이와 같이 서거정이 주동해 편찬된 사서·지리지·문학서 등은 전반적으로 [[한국]]의 독자성과 위대함을 알리는 쪽에 치중하였으나 훗날 성종의 왕명에 따라 [[사림파]] 인사의 참여 하에 내용들이 개찬되었다. 많은 문화적 업적을 남겼지만, 말년에는 대거 등용된 사림들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투합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성종대에 등용된 사림들이 작성한 실록에는 대단히 부정적인 소인배로 묘사되었다. | ||
+ | |||
+ | >조정에서는 가장 선진(先進)인데, 명망이 자기보다 뒤에 있는 자가 종종 정승의 자리에 뛰어오르면, 서거정이 치우친 마음이 없지 아니하였다. 서거정에게 명하여 후생(後生)들과 더불어 같이 시문을 지어 올리게 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닌데, 서거정이 불평해 말하기를 “내가 비록 자격이 없을지라도 사문(斯文)의 맹주로 있은 지 30여 년인데, 입에 젖내 나는 소생(小生)과 더불어 재주 겨루기를 마음으로 달게 여기겠는가? 조정이 여기에 체통을 잃었다.”하였다. 서거정은 그릇이 좁아서 사람을 용납하는 양(量)이 없고, 또 일찍이 후생을 장려해 기른 것이 없으니, 세상에서 그를 작게 여겼다. | ||
+ | >성종실록 1488년(성종 19) 12월 24일 | ||
+ | |||
+ | 15세기 훈구파가 점차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고 16세기 사림파의 시대가 열리는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구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서거정]]이 인재배출 물꼬 튼 지 100년 후…대구 유학 르네상스 시대 열려 == | ||
+ | |||
+ | |||
+ | 대구를 대표하는 인재 [[서거정]]을 배향하고 있는 대구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 [[서거정]]은 달성을 세거지로 한 [[대구 서씨]]로, 외가인 경기도 임진현에서 태어났지만 항상 자신의 뿌리가 있는 대구를 ‘내 고향’이라 부르며 특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 ||
+ | |||
+ | 대구시 수성구 파동에 있는 옥산전씨 집안 재실 무동재(왼쪽). 대구 최초의 서원인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을 모시고 있다. 오른쪽 비석은 전경창의 뜻을 기리는 유허비다. | ||
+ | |||
+ | 대구는 ‘인재의 요람’이다. 특히 조선시대 들어 역사의 중심에 선 걸출한 인물들이 대구에서 배출됐다. 조선 전기 최고의 문장가로 명성을 떨친 [[서거정]](徐居正)을 비롯해 1458년 문과 알성시에서 장원급제한 도하(都夏), ‘문무를 겸비한 호걸’ 양희지(楊熙止)가 대표적인 조선 전기의 인재들이다. 16세기 조선 중기에는 연경서원이 건립되면서 수많은 인재가 배출됐다. 당시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대구 성리학의 스승’으로 불릴 만큼 명성이 높았다. 특히 전경창은 채응린, 정사철과 함께 ‘대구 유학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기도 했다. 연경서원 건립과 비슷한 시기에 한강 정구가 대구에 정착하면서 학문 연구의 열기는 더욱 활기를 띠었고, 대구는 인재의 고장으로 발돋움했다. | ||
+ | |||
+ | 인재 배출의 물꼬를 튼 조선 최고 문장가 [[서거정]] | ||
+ | |||
+ | 대구를 상징하는 인재를 꼽으라면 [[서거정]](徐居正, 1420~88)을 빼놓을 수 없다. [[서거정]]은 달성을 세거지로 한 [[대구 서씨]]로, 조선 전기 최고의 문장가로 명성을 떨쳤다. 어릴 때부터 신동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고, 여섯 살에는 이미 시를 짓기 시작해 장안에 회자되기도 했다. | ||
+ | |||
+ | |||
+ | 조선전기 최고 문장가 서거정 | ||
+ | 4번의 대과 등재된 ‘천재 중의 천재’ | ||
+ | 세종∼성종 45년간 조정서 중책 맡아 | ||
+ | 도하 등 과거급제 지역인재 적극 후원 | ||
+ | 대구에 대한 각별한 정, 詩로도 남겨 | ||
+ | |||
+ | 지방 교육의 시대 연 전경창 | ||
+ | 이황의 제자이자 대구 성리학 스승 | ||
+ | 인재양성 산실 연경서원 건립 주도 | ||
+ | |||
+ | 후학 양성에 힘쓴 한강 정구 | ||
+ | 전경창과 뜻 함께해 연경서원서 강학 | ||
+ | 손처눌 등 제자들과 ‘한강학파’ 이뤄 | ||
+ | 대구가 인재 요람으로 발돋움하게 돼 | ||
+ | |||
+ | |||
+ | 과거시험 이력도 화려하다. [[서거정]]은 약관 19세 되던 1438년(세종 20)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25세 되던 1444년(세종 26) 문과 식년시(式年試)에서 을과(乙科) 3위를 차지해 벼슬길에 올랐다. 이후 1457년(세조 3) 문과 중시(重試, 일종의 승진시험), 1466년(세조 12) 문과 발영시(拔英試, 중신·문무백관에게 임시로 실시한 과거), 1466년 문과 등준시(登俊試, 현직 관리들의 문풍 진작을 위해 실시한 과거)에도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네 번의 대과에 등재된 ‘천재 중의 천재’였다. 특히 그는 세종부터 성종까지 여섯 임금을 섬기며 45년 동안 조정에 머물며 중책을 맡았다. 오랜 기간 대제학으로 있으면서 당대 문단을 주도했고, 국가 편찬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경국대전’ ‘삼국사절요’ ‘동문선’ 등 주요 서적의 서문을 작성한 ‘서문 전문가’로 명성이 자자했다. | ||
+ | |||
+ | 무엇보다 서거정은 외가인 경기도 임진현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항상 자신의 뿌리가 있는 대구를 ‘내 고향’이라 부르며 특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지역 출신 관료들의 서울 집회소인 대구 경재소(京在所)의 책임자인 당상(堂上)을 맡아 상경하는 지역 인사들과 자주 교류하기도 했다. 이때 대구 소식을 접하며 지역 현안을 논의했다. 하지만 그런 [[서거정]]에게도 큰 걱정이 하나 있었다. 그는 ‘고향 대구’ 출신의 과거 합격자가 나오지 않는 것이 늘 안타깝고 아쉬웠다. 실제 1444년(세종 26) [[서거정]]이 문과에 합격한 후 10여년 동안 급제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고향 출신 인재를 중용하고 싶었던 [[서거정]]에게 이 문제는 늘 고민이었다. | ||
+ | |||
+ | 그러던 중 1458년(세조 4) 대구 출신 도하(都夏)가 문과 알성시(謁聖試)에서 장원급제하면서 맺혔던 한을 다소 풀 수 있었다. [[서거정]]은 그해 금의환향하는 도하에게 ‘장원 도하가 환향하는 것을 보내는 시의 서’를 지어 고향 후배를 아끼는 애틋한 정을 드러냈다. | ||
+ | |||
+ | “‘내 고향’ 대구는 경상도의 큰 고을이다. 산천의 서린 기운으로 보아 마땅히 영재가 많이 배출될 만한데도 어찌 된 일로 수십년 동안 문헌이 조락하고 풍속이 투박해 문인재사(文人才士)가 단 한 명도 배출되지 않았단 말인가? … 금년(1458년) 7월 도군은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고 또 장원급제하여 명성이 자자했다. 지금 행차에 도군은 찬란히 빛나는 비단옷을 입고 옥으로 된 관을 쓰고 먼저 조상의 묘소를 배알하여, 조정의 문교(文敎)를 숭상하고 효리(孝理)를 중히 여기는 아름다운 뜻을 선양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축하 자리를 마련해 친척 부로(父老)들과 함께 기뻐하며 즐거워할 것이다. 그러면 고을 사람들이 모두 와서 보고 감동해 문교를 좇아 ‘기필코 도군처럼 되고야 말겠다’라고 다짐할 것이니, 아! 이 사람은 ‘내 고향’의 구양첨(歐陽詹)이 아닌가?” | ||
+ | |||
+ | 이후 [[서거정]]은 도하를 적극 후원했다. 그가 사간원 우사간으로 재직할 당시 도하를 우정언으로 추천해 같은 부서에 근무하도록 주선하기도 했다. 도하의 장원급제 후 대구 출신 인재들은 나름대로 두각을 나타냈다. 10여년 동안 대구 출신 소과 합격자들이 수없이 배출된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또 있었다. 출사의 길인 대과(문과) 합격자는 여전히 나오지 않은 것이다. 문과의 시험관을 도맡았던 [[서거정]]은 다시 한번 고민에 빠졌다. 그러던 중 1474년(성종 5) 대구 사람 양희지(楊熙止)가 문과 식년시에 급제하면서 16년 만에 도하의 뒤를 이었다. 양희지는 ‘문무를 겸비한 호걸’로 이름을 떨치며 승문원 정자, 주부를 거쳐 홍문관 수찬에 오른 대구의 인재였다. [[서거정]]은 그런 양희지를 ‘도하의 뒤를 이은 인재’로 꼽으며 ‘내 고향(대구)이 노나라와 같은 학문의 고장으로 바뀔 일대 기회’라며 칭송했다. | ||
+ | |||
+ | [[서거정]]은 또 명문장으로 대구에 대한 각별한 정을 표하기도 했다. 지금도 명문으로 남아있는 ‘대구십영(大丘十詠)’이 그것이다. 대구십영은 대구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10곳을 소개한 칠언절구 시를 일컫는다. [[서거정]]은 1488년(성종 19) 69세 나이에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문충(文忠)’의 시호를 받았다. 대구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에 배향되어 있다. | ||
+ | |||
+ | 2. 인재의 산실 연경서원과 한강 정구의 제자들 | ||
+ | |||
+ | 15세기 ][서거정]]이 대구의 문풍 진작과 인재 배출의 물꼬를 튼 후, 16세기 들어서 대구는 ‘학문의 고장’으로 거듭났다. 이는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1565년(명종 20) 대구 최초의 서원인 연경서원(硏經書院)이 건립되면서 본격적인 ‘지방 교육의 시대’를 열었다. 연경서원은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의 아들 매암 이숙량(梅巖 李叔樑)과 대구 선비 계동 전경창(溪東 全慶昌)이 주도해 세워졌고, 이후 지역 인재 양성의 산파 역할을 했다. | ||
+ | |||
+ | 연경서원 설립 후 이곳에서 학문을 닦고 연마한 대표적 유학자는 서원 건립을 주도했던 전경창을 비롯해 송담 채응린(松潭 蔡應麟), 임하 정사철(林下 鄭師哲) 등이었다. 이들은 대구가 배출한 대표적 인재들로, 이 지역 성리학의 선구자로 이름이 높았다. 대구 유학의 르네상스를 연 ‘1세대 인재’들이기도 했다. | ||
+ | |||
+ | 특히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대구 성리학의 스승’으로 불릴 만큼 명성이 높았다. 1532년(중종 27) 대구 수성 파잠(巴岑, 지금의 수성구 파동)에서 태어난 그는 24세 되던 1555년(명종 10) 진사시에 합격했다. 30세 이전에 퇴계 문하에서 공부했고, 한때 가야산에 들어가 학문에 힘을 쏟기도 했다. 34세 되던 1565년에 연경서원 건립에 힘을 보탰고, 서원 설립 이후인 35세 때부터는 대구의 유림들과 교유하며 본격적인 강학에 나서며 후학을 양성했다. 42세 되던 1573년(선조 6)에는 문과 식년시에서 병과(丙科) 3위를 차지해 벼슬길에 올랐다. 관직은 검열·정언에 이르렀다. 대구시 수성구 파동에 있는 옥산전씨 집안 재실인 무동재에 모셔져 있다. | ||
+ | |||
+ | 채응린 역시 학문이 뛰어나 27세 되던 1555년(명종 10)에 생원시에 합격했지만 을사사화 이후 더 이상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오로지 학문 연구에 몰두했다. 정사철은 선조 때 선사재(대구시 달성군 다사읍)에 서당을 열고 지역의 유림을 모아 강학을 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팔공산에서 창의해 대구지역 의병인 공산의진군의 의병대장에 추대되기도 했다. | ||
+ | |||
+ | 연경서원 건립과 비슷한 시기에 한강 정구(寒岡 鄭逑)가 금호강 하류 사수(泗水, 지금의 대구 북구 사수동)에 터를 잡고 살며 강학을 하면서 대구의 문풍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대구에 정착한 한강은 여헌 장현광(旅軒 張顯光)과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 등과 교유하며 대구지역 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연경서원에서 강학하며 수많은 후학을 양성해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거듭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 ||
+ | |||
+ | 당시 한강의 대표적인 제자가 낙재 [[서사원(조선)|서사원]](樂齋 徐思遠), 모당 손처눌(慕堂 孫處訥) 투암 채몽연(投巖 蔡夢硯), 괴헌 곽재겸(槐軒 廓再謙), 양직당 도성유(養直堂 都聖兪), 서재 도여유(鋤齋 都汝兪), 동고 [[서사선]](東皐 徐思選), 사월당 류시번(沙月堂 柳時蕃) , 도곡 박종우(陶谷 朴宗祐), 낙애 정광천(洛涯 鄭光天) 등이었다. 이들은 ‘한강학파’로 불리며 대구의 대표적 인재로 성장했다. 이 중 서사원, 곽재겸, 손처눌 등은 한강의 초기 제자들로, 스승을 만나기 전에는 한강의 벗인 전경창 아래에서 학문을 닦고 연구한 이들이기도 하다. | ||
+ | |||
+ | 한강의 제자 중 모당 손처눌은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발돋움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1553년(명종 8) 대구부 수성리(지금의 대구시 수성구)에서 태어나 한평생 한강 정구를 스승으로 모신 그는 임진왜란 때는 의병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전란 중에 부모상을 당해 상례를 다하지 못한 것을 한탄하다 전쟁이 끝난 후인 1600년, 48세 되던 해에 황청동(지금의 수성구 황금동) 부모 묘소 아래 거처를 마련했다. 이때 마련한 거처를 ‘영모당(永慕堂)’이라 했다. 이곳에서 시묘살이를 하며 부모에게 못한 효를 실천했다. 동시에 영모당을 중심으로 강학하며 후학을 양성하는 데 힘을 쏟았다. 영모당에서는 무려 202명의 제자를 배출해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자리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 모당이라는 호도 영모당에서 비롯됐다. | ||
+ | |||
+ | 지금의 황금동은 임진왜란 이후 손처눌이 정착하며 개척한 마을로 알려져 있다. 당시 ‘들녘(수성들)의 곡식이 황금물결을 이루고, 푸른 산이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곳’이라고 해서 황청동(黃靑洞)으로 이름 붙였다고 한다. 하지만 저승을 뜻하는 황천(黃泉)으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 1977년 동명을 황금동으로 개칭했다. 손처눌은 1634년(인조 12) 세상을 떠났고, 1694년(숙종 20)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청호서원에 배향됐다. | ||
+ | |||
+ | == [[사가정역]](四佳亭驛)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722번.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 지하 393 (면목동 495번지) 소재.조선 초기 문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호에서 유래되었다. | ||
+ | |||
+ | == [[사가정길]](四佳亭) == | ||
+ | 사가정길은 아차산 한강 건너에 고원강촌(몽촌토성)에 거주하던 조선 초기 문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호에서 유래되었다. 사가정길은 동대문구 답십리동 498-1번지(신답사거리)에서 장안교를 거쳐 중랑구 면목동 1083-1번지(용마산길)에 이르는 폭 20m, 길이 4,200m의 2~4차선 도로이다. | ||
+ | |||
+ | == [[사가정공원]](四佳亭公園) == | ||
+ | 2005년 4월 13일 개장한 사가정공원은 면목동 면목약수터지구 입구에 약 3만 3천 2백여 평 규모로 조성되었다. 공원의 명칭은 용마산 부근에서 거주했던 조선 전기의 문인인 [[서거정]] 선생의 정취를 느낄수 있도록 그의 호를 따서 지어졌다. 또한, 그의 대표적인 시 4편을 골라 시비를 만들어 설치함으로써 공원이용객들이 산책과 함께 명시를 감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 피크닉장, 어린이 놀이시설, 체력단련시설, 건강지압로, 사가정(전통 정자), 다목적광장 등 다양한 휴게시설과 운동시설, 조경시설이 갖춰져 있다. | ||
+ | |||
+ | ==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 | ||
+ |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 ||
+ |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 ||
+ | |||
+ | == [[이섭대천]](利涉大川) == | ||
+ |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 ||
+ | |||
+ |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 ||
+ | |||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
+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 * [[이천 서씨]] | ||
+ | * [[대구 서씨]] | ||
+ | * [[달성 서씨]] | ||
+ | * [[부여 서씨]] | ||
+ | * [[연산 서씨]] | ||
+ | * [[남양 서씨]] | ||
+ | * [[당성 서씨]] | ||
+ | * [[봉성 서씨]] | ||
+ | * [[절강 서씨]] | ||
+ | * [[중국 서씨]] | ||
+ | * [[일본 서씨]] |
2024년 1월 26일 (금) 06:58 기준 최신판
사가효공원(四佳亭公園)
2005년 4월 13일 개장한 사가정공원은 면목동 면목약수터지구 입구에 약 3만 3천 2백여 평 규모로 조성되었다. 공원의 명칭은 용마산 부근에서 거주했던 조선 전기의 문인인 서거정 선생의 정취를 느낄수 있도록 그의 호를 따서 지어졌다. 또한, 그의 대표적인 시 4편을 골라 시비를 만들어 설치함으로써 공원이용객들이 산책과 함께 명시를 감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 피크닉장, 어린이 놀이시설, 체력단련시설, 건강지압로, 사가정(전통 정자), 다목적광장 등 다양한 휴게시설과 운동시설, 조경시설이 갖춰져 있다.
사가정공원은 2003년 12월 공원조성 공사에 착공하여 2005년 4월 13일 개장하였다. 전체 면적 10만 9,635㎡(3만 3천 2백여 평)에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대학자였던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정(四佳亭)’이란 호를 따서 지은 공원이다.
그의 호 ‘사가정(四佳亭)’에서 ‘사가(四佳)’는 ‘네 가지의 아름다움’ 혹은 ‘네 가지를 좋아함’ 등으로 풀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 가지는 서거정이 좋아했던 ‘매화, 대나무, 연꽃, 해당화’를 가리킨다.
그는 집안에 이 네 가지 꽃과 식물을 심어놓고 즐겨 감상하면서 자신의 호를 ‘사가정(四佳亭)’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그의 친구였던 박팽년의 ‘강중(剛中)의 집안에 심어진 매화, 대나무, 연꽃, 해당화 네 가지를 소재로 읊다(題剛中家梅竹蓮海棠四詠)’라는 시(詩)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런 서거정(徐居正, 호 四佳亭)이 용마산 자락에 정자 ‘사가정’을 짓고 살았다고 하여 그런 연유로 1984년도에 도로명을 정비하면서 당초에 면목로라 불렀던 길을 그의 호를 따서 사가정로라고 고쳐 불렀고, 그 뒤에 생긴 역 이름도 사가정이라고 했다.
한명회의 호에서 따 온 압구정역과 비슷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사가정은 당시 파주 도라산에 있던 정자 이름으로, 자신의 이름과 발음이 비슷해 재치있게 빌린 것이란다. 조선조의 대표적인 관료였으니 당연히 본가는 도성 내에 있었을 것이고 당시엔 궁벽한 산촌이었을 이곳에는 아마 한양 근교에 여러 채 있었다는 그의 별장 중의 한 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거정(1420∼1488)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이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지식인 서거정은 45년간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의 여섯 임금을 모셨으며 신흥왕조의 기틀을 잡고 문풍을 일으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원만한 성품의 소유자로 단종 폐위와 사육신의 희생 등의 어지러운 현실 속에서도 왕을 섬기고 자신의 직책을 지키는 것을 직분으로 삼아 조정을 떠나지 않았다. 선생은 김시습과 쌍벽을 이룬 당대의 대문호였지만, 생육신인 김시습과는 달리 계유정난 때 세조의 편에 서게 되어 출세가도를 달린 고위관료였다.
6살 때부터 글을 지었다는 천재 사가정 선생은 시를 대단히 좋아했다고 한다. 그 스스로 일만 수가 넘는 한시를 지었다는 독백을 ‘졸고 후에 쓰는 글'(書拙稿後)에서 토로했다고 하니 선생의 생활은 그 자체가 시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문장과 글씨에 능하여 수많은 편찬사업에 참여했으며, 그 자신도 뛰어난 문학 저술을 남겨 조선 시대 관인 문학이 절정을 이루었던 목릉성세(穆陵盛世)의 디딤돌을 이루었다. 〈경국대전〉·〈동국통감〉·〈동국여지승람〉·〈동문선〉 편찬에 참여했으며, 왕명으로 〈향약집성방〉을 언해했다.
그의 저술서로는 객관적 비평태도와 주체적 비평안(批評眼)을 확립하여 후대의 시화(詩話)에 큰 영향을 끼친 〈동인시화〉, 간추린 역사·제도·풍속 등을 서술한 〈필원잡기 筆苑雜記〉, 설화·수필의 집대성이라고 할 만한 〈태평한화골계전 太平閑話滑稽傳〉이 있으며, 관인의 부려호방(富麗豪放)한 시문이 다수 실린 〈사가집 四佳集〉 등이 있다.
명나라 사신 기순(祁順)과의 시 대결에서 우수한 재능을 보였으며, 그를 통한 〈황화집 皇華集〉의 편찬으로 이름이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그의 글씨는 충주의 화산군권근신도비(花山君權近神道碑)에 남아 있다. 시호는 문충이며, 대구 귀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 되었다.<참고 : 다음 백과사전>
중랑구 면목동 사가정공원엔 조선조 문인 서거정(1420~88)의 재능을 엿볼 수 있는 시비들이 띄엄띄엄 세워져 운치를 더해준다. 자칫 무료해지기 쉬운 산책길에서 산책과 함께 글 향기가 물씬 풍기는 우아하고 품위 있는 명시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으니 등산객이나 면목동 주민은 얼마나 행복한가?
'사가정' 공원 입구에 '한중(閑中)' 이 새겨져 있다. 공원의 초입에 ‘한가로움 속에서(閑中)’란 제목의 조선 시대 대학자 '서거정'의 시를 새긴 시비가 내 눈길을 끌어당긴다. 초가을의 햇빛이 시비에 눈부시게 반사되니 바위에 새겨진 글자 한 자 한 자가 모두 살아 꿈틀대는 것 같다.
白髮紅塵閱世間 백발홍진열세간
世間何樂得如閑 세간하락득여한
閑吟閑酌仍閑步 한음한작잉한보
閑坐閑眠閑愛山 한좌한면한애산
홍진에 백발이 되도록 세상을 살아보니
세상살이에 그 어떤 즐거움이 한가로움 같으랴.
한가히 시 읊고 한가히 술잔 들며 한가히 산보하고
한가히 앉아 쉬고 한가히 잠들고 한가히 산을 즐김에야.
대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옛 선비들의 삶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정년 은퇴한 후에 한가로움 속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살아가는 나의 요즘 생활과 너무 흡사한 것을 발견하고 웃음 짓게 된다. 권모술수로 얼룩진 조정의 생활 속에서도 학문과 문학을 즐기는 자들만이 누릴 수 있는 행복이리라. 서거정은 그렇게 살았다.
공원을 걷다 보니 또 하나의 시비가 눈에 띤다. 이 시비는 선비들이 사용하는 붓통에 몇 개의 붓이 꽃혀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졌다. 계단 아래 쪽에 오후 햇볕을 등지고 서 있어서 글자가 선명하지 못했다.
金入垂楊玉謝梅 금입수양옥사매
小池春水碧於苔 소지춘수벽어태
春愁春興誰深淺 춘수춘흥수심천
燕子不來花未開 연자불래화미개
금은 수양에 들고 옥은 매화에서 떠나는데
작은 못의 봄물이 이끼보다 파랗구나.
봄의 수심과 흥취는 어느 것이 더 깊고 얕은가?
제비는 아직 오지 않고 꽃도 피지 않았네.
이 시는 조선 전기의 문신 서거정의 ‘春日(춘일)’로서 봄에 나타나는 다양한 색채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품이다. 노란 수양버들 꽃을 보고 그 속으로 금빛이 들어간 것으로 보고, 시드는 하얀 매화를 보고 옥빛이 떠나가는 것으로 파악한 발상법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작은 못에 고인 봄물이 이끼보다 파랗다고 한 것은 봄기운이 대지를 뒤덮는 시절에 느낄 수 있는 생동감을 표현한 것이다. 이끼보다 더 파랗게 보이는 봄물이라고 하였으니 그 빛깔의 농도를 짐작할 수 있다. 봄의 색깔이라면 파란색이거나 녹색이 아닐까 싶다. 다음 ‘독좌(獨坐)’라는 제목의 시를 보자.
獨坐無來客 독좌무래객
空庭雨氣昏 공정우기혼
魚搖荷葉動 어요하엽동
鵲踏樹梢飜 작답수초번
琴潤絃猶響 금윤현유향
爐寒火尙存 로한화상존
泥途妨出入 니도방출입
終日可關門 종일가관문
찾는 손 없이 홀로 앉아 있으니
빈 뜰엔 빗 기운이 어둑어둑
물고기가 흔들어 연잎이 움직이고
까치가 앉아 나무 끝이 너풀거리네
거문고에 습기가 끼었으니 오히려 잘 울리고
화로는 차가우나 불씨는 아직 남았네
진흙 길이 출입을 방해하니
온종일 문을 닫아두어도 괜찮으리
이 시는 제목이 ‘홀로 앉아’(獨坐)로 되어 있는 시이다. 사람이 때로는 혼자 있어 보아야 한다. 혼자 있을 때 자기의 내면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으며, 만물을 정관(靜觀) 하며 깊은 사색을 할 수 있다. 출입을 가로막는 진흙 길이 상징하듯 불우한 정치적 현실 속에서 문을 닫아걸고 칩거하는 작가의 고독한 모습을 그린 한시이다.
은거하는 고독과 시절을 견디는 오롯한(남고 처짐이 없음) 몸가짐이 잘 드러나 있다. 전체적으로 적막하고 쓸쓸한 분위기가 느껴지지만, 여전히 소리가 나는 거문고와 불씨가 남아 있는 화로라는 상징물을 통해 자신의 존재와 가치를 다시금 강조하는 작가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 한 편의 ‘睡記(수기}’를 감상해 보자.
簾影深深轉 염영심심전
荷香續續來 하향속속래
夢回孤枕上 몽회고침상
桐葉雨聲催 동엽우성최
주렴의 그림자 방안 깊숙이 드리우고
연꽃 향기 연이어 방안으로 들어오네
홀로 낮잠을 자다 꿈에서 깨니
오동잎에 우두둑 떨어지는 빗소리
‘睡起’(잠에서 깨어나)라는 시다. 집안은 텅 비어 있고 낮잠을 즐기다가 소나기가 후두두 오동잎을 때리는 소리에 잠을 깬 순간의 포착이 산뜻하다. 잠깐 낮잠에 빠졌다가 빗소리에 깨어난 시인의 모습이 몽롱한 여름 정경과 잘 어우러져 있다.
깊은 사상이나 강한 이념이 전달되는 시는 아니나, 그저 아름다운 심상을 표출하는 재주가 번뜩이는 시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시적 감흥의 포착은 깊은 관조의 여과로만 얻어지는 것이리라.
시를 감상하며 공원을 두루 둘러보니 시비 외에 많은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정자, 피크닉장, 어린이 놀이시설, 체력단련시설, 건강지압로, 사가정(전통 정자), 다목적광장, 냇가 휴게소, 전망대 등 다양한 휴게시설과 운동시설, 조경시설이 갖춰져 있어 주민들의 수준 높고 쾌적한 휴식공간이자 중랑구의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또 중랑문화체육관, 문화체육관 등 체육 전용시설이 있어 시민들에게 많은 편의를 주고 있다. 특히 공원에서는 중랑둘레길이 이어져 있어 부담없이 산책하기에 이만한 곳이 없다. 공원 산책이 끝나고 시장기가 느껴지면 사가정역 앞 사가정시장에 들러 따끈한 찐빵, 순대로 달래면 좋다.
徐居正. 1420(세종 2) ~ 1488(성종 19)
목차
달성군 사가정 (達城君 四佳亭) 가계도
시조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 증조부 :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개요
조선 전기의 훈구파 문신. 15세기 관학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시인 겸 문장가로 꼽힌다. 호는 사가정(四佳亭).[* 서울 지하철 7호선 사가정역은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고려시대 권문세족은 이천 서씨,인주 이씨,해주 최씨,남양 홍씨가 4대 문벌귀족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천서씨에서 분파한 대구 서씨(大丘徐氏) 서성(徐渻 증 영의정) 후손이 3대 정승(서종태(徐宗泰 영의정),서명균(徐命均 좌의정),서지수(徐志修 영의정)),3대 대제학(서유신(徐有臣 대제학),서영보(徐榮輔 대제학),서기순(徐箕淳 대제학))을 최초로 6대 연속과 서명응(徐命膺 대제학),서호수(徐浩修 직제학), 서유구 (徐有榘 대제학) 3대 대학자를 연속 배출하여 조선에서는 서지약봉(徐之藥峰)이요.홍지모당(洪之慕堂) 으로 유명했고, 연리광김(延李光金)와 더불어 대구 서씨,풍산 홍씨,연안 이씨,광산 김씨가 조선 최고 4대 양반 가문으로 꼽힌다. 숙종때 이런 일화가 전한다.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비롯한 서씨 성을 가진 참판급 이상 중신이 30여명 이었다. 어느날 조회를 소집한 숙종이 용상에서 가만히 내려다보니, 오가는 대신들이 대부분 서씨들이라, “마치 어미 쥐가 새끼쥐를 거느리고 다니는 듯 하다!” 라고 말해 주변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숙종의 말씀이었으나,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어미쥐로 빗대 그 아래 웅성거리는 서씨대신들의 융성함을 나타내는 기막힌 표현이였다.대구 서씨는 달성 서씨라고도 부른다.
대구 서씨 원조(遠祖) 서한(徐閈) 시제는 충남 예산군 대흥면 하탄방리에서 음력 10월1일에 거행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 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연성군(連城君)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徐煕), 서도(徐道), 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徐文伯), 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徐謇), 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徐敏齊) -원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가족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대부. 종1품)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머니 : 평양 황씨(平壤黃氏)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눌(徐訥)(종1품 문하시중)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목(徐穆)(종1품 문하시중.이천백)
내용
본디 수양대군의 오른팔 중 하나[* 김시습도 서거정은 배신자이니 뭐니 비난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도 그럴 것이 서거정은 과거급제 이전 나이 20대초부터 수양대군과 친하게 지내고 수양대군과 같이 24살 젊은 나이로 명나라로 다녀오는 비서직을 맡았을 정도로 처음부터 수양대군 밑사람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명나라로 가던 길에 서거정은 갑자기 깨어나 울었는데 꿈에 어머니가 돌아가셨사옵니다라고 간청하여 조선으로 돌아와 진짜로 죽은 어머니 장례에 참가했다는 야사도 있다.]로,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한 후 당시 사명(辭命: 왕명을 전달하는 외교문서)의 대부분을 전담한 인물이다. 세조 때에는 공조참의ㆍ예조참의ㆍ이조참의ㆍ형조참판ㆍ예조참판ㆍ형조판서ㆍ성균관지사ㆍ예문관대제학 등 주요 관직을 연이어 제수하기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경국대전(經國大典),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동문선(東文選), 동국통감(東國通鑑), 오행총괄(五行摠括), 동인시화(東人詩話),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필원잡기(筆苑雜記), 사가집(四佳集), 역대연표(歷代年表), 연주시격언해(聯珠詩格言解), 동인시문(東人詩文), 향약집성방언해(鄕藥集成方言解), 마의서(馬醫書), 유합(類合) 등이 있다. 법전ㆍ역사ㆍ지리ㆍ문학 등의 분야에 걸쳐서 활약했다고 할 수 있다.
1488년(성종 19) 향년 69세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이때 ‘문충(文忠)’이란 시호를 받았다.
서거정의 역사 의식은 당대 정치권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는데 먼저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동국통감(東國通鑑)』에 실린 서거정의 서문과 『필원잡기(筆苑雜記)』에서는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세력이 서로 대등하다는 이른바 삼국균적(三國均敵)을 내세우고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의 서문에서는 우리나라가 단군(檀君)이 조국(肇國: 처음 나라를 세움)하고, 기자(箕子)가 수봉(受封: 봉토를 받음)한 이래로 삼국·고려시대에 넓은 강역을 차지했음을 자랑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토에 대한 자부심과 역사 전통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중국의 『방여승람(方輿勝覽)』이나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와 맞먹는 우리나라 독자적 지리지로서 편찬하였음을 내세웠다.
『동문선(東文選)』에서는 중국과 다른 우리나라 한문학의 독자성을 내세우면서 우리나라 역대 한문학의 정수를 담았음을 표방했다.
이와 같이 서거정이 주동해 편찬된 사서·지리지·문학서 등은 전반적으로 한국의 독자성과 위대함을 알리는 쪽에 치중하였으나 훗날 성종의 왕명에 따라 사림파 인사의 참여 하에 내용들이 개찬되었다. 많은 문화적 업적을 남겼지만, 말년에는 대거 등용된 사림들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투합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성종대에 등용된 사림들이 작성한 실록에는 대단히 부정적인 소인배로 묘사되었다.
>조정에서는 가장 선진(先進)인데, 명망이 자기보다 뒤에 있는 자가 종종 정승의 자리에 뛰어오르면, 서거정이 치우친 마음이 없지 아니하였다. 서거정에게 명하여 후생(後生)들과 더불어 같이 시문을 지어 올리게 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닌데, 서거정이 불평해 말하기를 “내가 비록 자격이 없을지라도 사문(斯文)의 맹주로 있은 지 30여 년인데, 입에 젖내 나는 소생(小生)과 더불어 재주 겨루기를 마음으로 달게 여기겠는가? 조정이 여기에 체통을 잃었다.”하였다. 서거정은 그릇이 좁아서 사람을 용납하는 양(量)이 없고, 또 일찍이 후생을 장려해 기른 것이 없으니, 세상에서 그를 작게 여겼다. >성종실록 1488년(성종 19) 12월 24일
15세기 훈구파가 점차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고 16세기 사림파의 시대가 열리는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구라고 할 수 있다.
서거정이 인재배출 물꼬 튼 지 100년 후…대구 유학 르네상스 시대 열려
대구를 대표하는 인재 서거정을 배향하고 있는 대구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 서거정은 달성을 세거지로 한 대구 서씨로, 외가인 경기도 임진현에서 태어났지만 항상 자신의 뿌리가 있는 대구를 ‘내 고향’이라 부르며 특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대구시 수성구 파동에 있는 옥산전씨 집안 재실 무동재(왼쪽). 대구 최초의 서원인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을 모시고 있다. 오른쪽 비석은 전경창의 뜻을 기리는 유허비다.
대구는 ‘인재의 요람’이다. 특히 조선시대 들어 역사의 중심에 선 걸출한 인물들이 대구에서 배출됐다. 조선 전기 최고의 문장가로 명성을 떨친 서거정(徐居正)을 비롯해 1458년 문과 알성시에서 장원급제한 도하(都夏), ‘문무를 겸비한 호걸’ 양희지(楊熙止)가 대표적인 조선 전기의 인재들이다. 16세기 조선 중기에는 연경서원이 건립되면서 수많은 인재가 배출됐다. 당시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대구 성리학의 스승’으로 불릴 만큼 명성이 높았다. 특히 전경창은 채응린, 정사철과 함께 ‘대구 유학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기도 했다. 연경서원 건립과 비슷한 시기에 한강 정구가 대구에 정착하면서 학문 연구의 열기는 더욱 활기를 띠었고, 대구는 인재의 고장으로 발돋움했다.
인재 배출의 물꼬를 튼 조선 최고 문장가 서거정
대구를 상징하는 인재를 꼽으라면 서거정(徐居正, 1420~88)을 빼놓을 수 없다. 서거정은 달성을 세거지로 한 대구 서씨로, 조선 전기 최고의 문장가로 명성을 떨쳤다. 어릴 때부터 신동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고, 여섯 살에는 이미 시를 짓기 시작해 장안에 회자되기도 했다.
조선전기 최고 문장가 서거정
4번의 대과 등재된 ‘천재 중의 천재’
세종∼성종 45년간 조정서 중책 맡아
도하 등 과거급제 지역인재 적극 후원
대구에 대한 각별한 정, 詩로도 남겨
지방 교육의 시대 연 전경창 이황의 제자이자 대구 성리학 스승 인재양성 산실 연경서원 건립 주도
후학 양성에 힘쓴 한강 정구 전경창과 뜻 함께해 연경서원서 강학 손처눌 등 제자들과 ‘한강학파’ 이뤄 대구가 인재 요람으로 발돋움하게 돼
과거시험 이력도 화려하다. 서거정은 약관 19세 되던 1438년(세종 20)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25세 되던 1444년(세종 26) 문과 식년시(式年試)에서 을과(乙科) 3위를 차지해 벼슬길에 올랐다. 이후 1457년(세조 3) 문과 중시(重試, 일종의 승진시험), 1466년(세조 12) 문과 발영시(拔英試, 중신·문무백관에게 임시로 실시한 과거), 1466년 문과 등준시(登俊試, 현직 관리들의 문풍 진작을 위해 실시한 과거)에도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네 번의 대과에 등재된 ‘천재 중의 천재’였다. 특히 그는 세종부터 성종까지 여섯 임금을 섬기며 45년 동안 조정에 머물며 중책을 맡았다. 오랜 기간 대제학으로 있으면서 당대 문단을 주도했고, 국가 편찬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경국대전’ ‘삼국사절요’ ‘동문선’ 등 주요 서적의 서문을 작성한 ‘서문 전문가’로 명성이 자자했다.
무엇보다 서거정은 외가인 경기도 임진현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항상 자신의 뿌리가 있는 대구를 ‘내 고향’이라 부르며 특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지역 출신 관료들의 서울 집회소인 대구 경재소(京在所)의 책임자인 당상(堂上)을 맡아 상경하는 지역 인사들과 자주 교류하기도 했다. 이때 대구 소식을 접하며 지역 현안을 논의했다. 하지만 그런 서거정에게도 큰 걱정이 하나 있었다. 그는 ‘고향 대구’ 출신의 과거 합격자가 나오지 않는 것이 늘 안타깝고 아쉬웠다. 실제 1444년(세종 26) 서거정이 문과에 합격한 후 10여년 동안 급제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고향 출신 인재를 중용하고 싶었던 서거정에게 이 문제는 늘 고민이었다.
그러던 중 1458년(세조 4) 대구 출신 도하(都夏)가 문과 알성시(謁聖試)에서 장원급제하면서 맺혔던 한을 다소 풀 수 있었다. 서거정은 그해 금의환향하는 도하에게 ‘장원 도하가 환향하는 것을 보내는 시의 서’를 지어 고향 후배를 아끼는 애틋한 정을 드러냈다.
“‘내 고향’ 대구는 경상도의 큰 고을이다. 산천의 서린 기운으로 보아 마땅히 영재가 많이 배출될 만한데도 어찌 된 일로 수십년 동안 문헌이 조락하고 풍속이 투박해 문인재사(文人才士)가 단 한 명도 배출되지 않았단 말인가? … 금년(1458년) 7월 도군은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고 또 장원급제하여 명성이 자자했다. 지금 행차에 도군은 찬란히 빛나는 비단옷을 입고 옥으로 된 관을 쓰고 먼저 조상의 묘소를 배알하여, 조정의 문교(文敎)를 숭상하고 효리(孝理)를 중히 여기는 아름다운 뜻을 선양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축하 자리를 마련해 친척 부로(父老)들과 함께 기뻐하며 즐거워할 것이다. 그러면 고을 사람들이 모두 와서 보고 감동해 문교를 좇아 ‘기필코 도군처럼 되고야 말겠다’라고 다짐할 것이니, 아! 이 사람은 ‘내 고향’의 구양첨(歐陽詹)이 아닌가?”
이후 서거정은 도하를 적극 후원했다. 그가 사간원 우사간으로 재직할 당시 도하를 우정언으로 추천해 같은 부서에 근무하도록 주선하기도 했다. 도하의 장원급제 후 대구 출신 인재들은 나름대로 두각을 나타냈다. 10여년 동안 대구 출신 소과 합격자들이 수없이 배출된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또 있었다. 출사의 길인 대과(문과) 합격자는 여전히 나오지 않은 것이다. 문과의 시험관을 도맡았던 서거정은 다시 한번 고민에 빠졌다. 그러던 중 1474년(성종 5) 대구 사람 양희지(楊熙止)가 문과 식년시에 급제하면서 16년 만에 도하의 뒤를 이었다. 양희지는 ‘문무를 겸비한 호걸’로 이름을 떨치며 승문원 정자, 주부를 거쳐 홍문관 수찬에 오른 대구의 인재였다. 서거정은 그런 양희지를 ‘도하의 뒤를 이은 인재’로 꼽으며 ‘내 고향(대구)이 노나라와 같은 학문의 고장으로 바뀔 일대 기회’라며 칭송했다.
서거정은 또 명문장으로 대구에 대한 각별한 정을 표하기도 했다. 지금도 명문으로 남아있는 ‘대구십영(大丘十詠)’이 그것이다. 대구십영은 대구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10곳을 소개한 칠언절구 시를 일컫는다. 서거정은 1488년(성종 19) 69세 나이에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문충(文忠)’의 시호를 받았다. 대구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에 배향되어 있다.
2. 인재의 산실 연경서원과 한강 정구의 제자들
15세기 ][서거정]]이 대구의 문풍 진작과 인재 배출의 물꼬를 튼 후, 16세기 들어서 대구는 ‘학문의 고장’으로 거듭났다. 이는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1565년(명종 20) 대구 최초의 서원인 연경서원(硏經書院)이 건립되면서 본격적인 ‘지방 교육의 시대’를 열었다. 연경서원은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의 아들 매암 이숙량(梅巖 李叔樑)과 대구 선비 계동 전경창(溪東 全慶昌)이 주도해 세워졌고, 이후 지역 인재 양성의 산파 역할을 했다.
연경서원 설립 후 이곳에서 학문을 닦고 연마한 대표적 유학자는 서원 건립을 주도했던 전경창을 비롯해 송담 채응린(松潭 蔡應麟), 임하 정사철(林下 鄭師哲) 등이었다. 이들은 대구가 배출한 대표적 인재들로, 이 지역 성리학의 선구자로 이름이 높았다. 대구 유학의 르네상스를 연 ‘1세대 인재’들이기도 했다.
특히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대구 성리학의 스승’으로 불릴 만큼 명성이 높았다. 1532년(중종 27) 대구 수성 파잠(巴岑, 지금의 수성구 파동)에서 태어난 그는 24세 되던 1555년(명종 10) 진사시에 합격했다. 30세 이전에 퇴계 문하에서 공부했고, 한때 가야산에 들어가 학문에 힘을 쏟기도 했다. 34세 되던 1565년에 연경서원 건립에 힘을 보탰고, 서원 설립 이후인 35세 때부터는 대구의 유림들과 교유하며 본격적인 강학에 나서며 후학을 양성했다. 42세 되던 1573년(선조 6)에는 문과 식년시에서 병과(丙科) 3위를 차지해 벼슬길에 올랐다. 관직은 검열·정언에 이르렀다. 대구시 수성구 파동에 있는 옥산전씨 집안 재실인 무동재에 모셔져 있다.
채응린 역시 학문이 뛰어나 27세 되던 1555년(명종 10)에 생원시에 합격했지만 을사사화 이후 더 이상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오로지 학문 연구에 몰두했다. 정사철은 선조 때 선사재(대구시 달성군 다사읍)에 서당을 열고 지역의 유림을 모아 강학을 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팔공산에서 창의해 대구지역 의병인 공산의진군의 의병대장에 추대되기도 했다.
연경서원 건립과 비슷한 시기에 한강 정구(寒岡 鄭逑)가 금호강 하류 사수(泗水, 지금의 대구 북구 사수동)에 터를 잡고 살며 강학을 하면서 대구의 문풍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대구에 정착한 한강은 여헌 장현광(旅軒 張顯光)과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한 전경창 등과 교유하며 대구지역 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연경서원에서 강학하며 수많은 후학을 양성해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거듭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당시 한강의 대표적인 제자가 낙재 서사원(樂齋 徐思遠), 모당 손처눌(慕堂 孫處訥) 투암 채몽연(投巖 蔡夢硯), 괴헌 곽재겸(槐軒 廓再謙), 양직당 도성유(養直堂 都聖兪), 서재 도여유(鋤齋 都汝兪), 동고 서사선(東皐 徐思選), 사월당 류시번(沙月堂 柳時蕃) , 도곡 박종우(陶谷 朴宗祐), 낙애 정광천(洛涯 鄭光天) 등이었다. 이들은 ‘한강학파’로 불리며 대구의 대표적 인재로 성장했다. 이 중 서사원, 곽재겸, 손처눌 등은 한강의 초기 제자들로, 스승을 만나기 전에는 한강의 벗인 전경창 아래에서 학문을 닦고 연구한 이들이기도 하다.
한강의 제자 중 모당 손처눌은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발돋움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1553년(명종 8) 대구부 수성리(지금의 대구시 수성구)에서 태어나 한평생 한강 정구를 스승으로 모신 그는 임진왜란 때는 의병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전란 중에 부모상을 당해 상례를 다하지 못한 것을 한탄하다 전쟁이 끝난 후인 1600년, 48세 되던 해에 황청동(지금의 수성구 황금동) 부모 묘소 아래 거처를 마련했다. 이때 마련한 거처를 ‘영모당(永慕堂)’이라 했다. 이곳에서 시묘살이를 하며 부모에게 못한 효를 실천했다. 동시에 영모당을 중심으로 강학하며 후학을 양성하는 데 힘을 쏟았다. 영모당에서는 무려 202명의 제자를 배출해 대구가 인재의 요람으로 자리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 모당이라는 호도 영모당에서 비롯됐다.
지금의 황금동은 임진왜란 이후 손처눌이 정착하며 개척한 마을로 알려져 있다. 당시 ‘들녘(수성들)의 곡식이 황금물결을 이루고, 푸른 산이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곳’이라고 해서 황청동(黃靑洞)으로 이름 붙였다고 한다. 하지만 저승을 뜻하는 황천(黃泉)으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 1977년 동명을 황금동으로 개칭했다. 손처눌은 1634년(인조 12) 세상을 떠났고, 1694년(숙종 20)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청호서원에 배향됐다.
사가정역(四佳亭驛)
서울 지하철 7호선 722번.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 지하 393 (면목동 495번지) 소재.조선 초기 문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호에서 유래되었다.
사가정길(四佳亭)
사가정길은 아차산 한강 건너에 고원강촌(몽촌토성)에 거주하던 조선 초기 문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호에서 유래되었다. 사가정길은 동대문구 답십리동 498-1번지(신답사거리)에서 장안교를 거쳐 중랑구 면목동 1083-1번지(용마산길)에 이르는 폭 20m, 길이 4,200m의 2~4차선 도로이다.
사가정공원(四佳亭公園)
2005년 4월 13일 개장한 사가정공원은 면목동 면목약수터지구 입구에 약 3만 3천 2백여 평 규모로 조성되었다. 공원의 명칭은 용마산 부근에서 거주했던 조선 전기의 문인인 서거정 선생의 정취를 느낄수 있도록 그의 호를 따서 지어졌다. 또한, 그의 대표적인 시 4편을 골라 시비를 만들어 설치함으로써 공원이용객들이 산책과 함께 명시를 감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 피크닉장, 어린이 놀이시설, 체력단련시설, 건강지압로, 사가정(전통 정자), 다목적광장 등 다양한 휴게시설과 운동시설, 조경시설이 갖춰져 있다.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