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약집성방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향약집성방
한자표기 鄕藥集成方
유형 문헌
편자 유효통(兪孝通) 노중례(盧重禮) 박윤덕(朴允德)
저술시기 1433년
시대 조선
수량 85권 30책
표기문자 한문
소장처 한독의약박물관 규장각



정의

1433년(세종 15)에 간행된 향약에 관한 의약서(醫藥書).

내용

향약집성방 편찬 목적

  • 1431년 가을에 집현전 직제학 유효통(兪孝通), 전의 감부정 노중례(盧重禮), 동 부정 박윤덕(朴允德)에게 명하여 1년여에 걸친 작업 끝에 1433년 6월에 완성하였다. 이 책은 1399년(정종 1) 제생원에서 간행한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30권의 구증(舊症)구방을 기본으로 하여 다시 향약의 모든 방문들을 수집하고 널리 방서들을 빠짐없이 모아서 분류,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1]
  • 향약이라는 말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재를 의미한 것인데, 중국산의 약을 당재(唐材)라고 부르는 데 대한 우리나라산의 총칭이다. 그런데 세종은 우리나라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는 우리나라 풍토에 적합하고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재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병과 약의 의토성(宜土性)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차원에서 의약 제민(濟民)에 대한 자주적 방책을 세우고자 향약방을 종합수집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게 한 것이다.[2]

향약집성방이 중요한 이유

이 책은 그 서명을 특히 향약이라 하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고려 후반기부터 민간 노인들이 사용해 오던 향약방을 많이 채집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고유 의학의 전통을 중국에서 수입한 한의방과 융합시켜 독자적 전통을 찾아보려고 노력해 온 자취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을 편집하기 위한 전 작업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향약당재와 비교·연구하고, 또는 각 도와 읍에 분포된 향약의 실태를 조사하여 채취를 시기에 정하는 『향약채취월령』을 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의 우리 의약 지식은 어느 정도의 학술적 체계를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향약 아래에 지역마다 저마다 다른 이름을 같이 적어서 서로 다른 지역 사람도 능히 알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은 우리 고전언어의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하고 있다. 한독의약박물관규장각 도서에 소장되어 있다.[3]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 B 관계 비고
향약집성방 유효통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향약집성방 노중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향약집성방 박윤덕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향약제생집성방 제생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향약집성방 향약제생집성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집성방 향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침구법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포제법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당재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조선 성종 A는 B에 의해 중간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향약집성방 조선 인조 A는 B에 의해 중간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향약집성방 향약방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 향약집성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채취월령 향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 당재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 황자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채취월령 당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삼화자향약방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본조경험방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향약구급방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구급간이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집성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향약집성방 한독의약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조선 세종 향약집성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99년 향약제생집성방제생원에서 간행되었다
1428년 향약채취월령 이 반포되었다
1433년 향약집성방이 간행되었다
1478년 향약집성방이 중간되었다
1633년 향약집성방이 중간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62058 126.950273 향약집성방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었다
36.970538 127.46532 향약집성방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金重權,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서지학연구』35, 한국서지학회, 2006, 183-229쪽.
    • 이경록,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중국 의료의 조선화」, 『醫史學』20, 대한의사학회, 2011, 225-262쪽.
  • 웹자원
    •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