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특이사항=
 
|특이사항=
 
}}
 
}}
 
  
 
==정의==
 
==정의==
정심스님은 1980년대에 부산 영도구에 [https://m.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부산 영도 선암사]를 창건하고 유치원을 세워 어린이 포교를 한  
+
정심(正心)스님은 1980년대에 부산 영도구에 [https://m.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부산 영도 선암사]를 창건하고 유치원을 세워 어린이 포교를 한  
[[대한민국의 비구니스님]]이다.
+
대한민국의 비구니스님이다.
  
 
==생애==
 
==생애==
26번째 줄: 25번째 줄:
 
|1925||경남 고성 출생  
 
|1925||경남 고성 출생  
 
|-
 
|-
|1968||가지산 석남사에서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仁弘)스님]]을 은사로 출가
+
|1968||[http://www.seoknamsa.or.kr/ 가지산 석남사]에서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仁弘)스님]]을 은사로 출가
 
|-
 
|-
|1969||석남사에서 자운(慈雲)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1969||석남사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6088 자운(慈雲)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
|1971||통도사에서 월하(月下)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1971||[http://www.tongdosa.or.kr/ 통도사]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038 월하(月下)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
|1976~1981 ||내원사, 대원사, 오대산 지장암, 보현암, 대성암 하안거 성만
+
|1976~1981 ||[http://www.naewon.or.kr/ 내원사], [https://www.daewonsa.net/ 대원사], [http://woljeongsa.org/bbs/board.php?bo_table=101050&wr_id=68&sca=산내암자 오대산 지장암], [http://haeinsa.or.kr/bbs/board.php?bo_table=1050&wr_id=24&page=10 보현암],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05699 대성암] 하안거 성만
 
|-
 
|-
 
|1986||선암사 대웅전 불사
 
|1986||선암사 대웅전 불사
44번째 줄: 43번째 줄:
 
|1997~2000 ||선암유치원에서 교육사업에 종사
 
|1997~2000 ||선암유치원에서 교육사업에 종사
 
|-
 
|-
|2004||현재 선암사 회주(입적여부 필히 확인)
+
|2004|| 선암사 회주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
| 문 중 || [[법기(法起)문중]]
+
|문중 || [[법기(法起)문중|법기문중(法起)]]
 
|-
 
|-
| 생활신조 || 백 원을 받으면 백 원만큼 베풀어야 한다.
+
|생활신조 || 백 원을 받으면 백 원만큼 베풀어야 한다.
 
|-
 
|-
|수계제자 || 도수(道秀)·도각(道覺)·명선(明禪)·일선(一禪)·성혜(性慧)·석경(石鯨)
+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도수(道秀)·도각(道覺)·명선(明禪)·일선(一禪)·성혜(性慧)·석경(石鯨)
 +
|-
 +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부영(扶榮, 6)→심공(心空, 7)→정자(淨慈, 8)→[[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仁弘, 9)]]→[[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 10)]]→도수(道秀, 11), 도각(道覺, 11), 명선(明禪, 11), [[일선스님(一禪, 1952生, 비구니)|일선(一禪, 11)]], 성혜(性慧, 11), 석경(石鯨, 11)
 
|}
 
|}
  
 
==활동 및 공헌==
 
==활동 및 공헌==
===늦게 출가한 만큼 한시도 허투루 보내지 않기로 다짐하다===
+
===출가 계기===
청해당(淸海堂) 정심(正心)스님은 1925년 1월 15일 경남 고성군 마암면에서 아버지 박희제와 어머니 최수진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이며, 이름은 박점성이다. 1968년 43세의 늦은 나이에 세상에 대한 무상함과 인생의 덧없음을 느낀 스님은 마침내 모든 인연을 단호하게 끊고, 가지산 [[석남사]]에서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
[[File:428-01.jpg|섬네일|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410]]
<br/>불법 문중에 늦게 출가했다는 마음에 다른 이들보다 더욱 깊은 신심과 원력으로 하루하루를 허투루 보내지 않기 위해 정성을 다하였다. 스님은 52세 때인 1976년 석남사에서 하안거 성만을 시작으로 1977년과 1978년 [[내원사]]에서 하안거를, 1979년 [[오대산 지장암]]에서 하안거를 성만하였다. 스님의 정진은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계속되었으니, 1980년 [[해인사 보현암]]에서 하안거를 성만하였고, 그 다음해에 [[범어사 대성암]]에서 하안거 결제를 마쳤다.  
+
[[File:428-02.jpg|섬네일|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411]]
[[File:정심스님2.png|400px|섬네일|영도 선암사 정경, 사진출처 : https://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
[[File:428-03.jpg|섬네일|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412]]
 +
[[File:정심스님2.png|섬네일|[영도 선암사 전경] </br> 사진출처 : https://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
 
 +
청해당(淸海堂) 정심(正心)스님은 1925년 1월 15일 경남 고성군 마암면에서 아버지 박희제와 어머니 최수진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이며, 이름은 박점성이다.  
 +
1968년 43세의 늦은 나이에 세상에 대한 무상함과 인생의 덧없음을 느낀 스님은 마침내 모든 인연을 단호하게 끊고, 가지산 석남사에서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
스님은 1969년 3월 12일 석남사에서 자운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계하였고, 이어서 4월 8일 양산 통도사에서 월하 큰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수계하였다.
 +
 
 +
불법 문중에 늦게 출가했다는 마음에 다른 이들보다 더욱 깊은 신심과 원력으로 하루하루를 보내야만 했던 스님은 47세이던 1971년 4월 8일 통도사에서 월하 큰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계하였다.
 +
 
 +
===수행===
 +
스님은 52세 때인 1976년 석남사에서 하안거 성만을 시작으로 1977년과 1978년 내원사에서 하안거를, 1979년 오대산 지장암에서 하안거를 성만하였다.  
 +
스님의 정진은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계속되었다. 1980년 해인사 보현암에서 하안거를 성만하였고, 그 다음해에 범어사 대성암에서 하안거 결제를 성만하였다.  
  
 
===부산 영도에 선암사를 창건하고 유치원을 세우다===
 
===부산 영도에 선암사를 창건하고 유치원을 세우다===
석남사에서 대중 생활을 할 때는 자신의 늦은 출가를 도리어 수행의 근본으로 삼고 나이 어린 선배스님에게도 깍듯이 대하며 하심(下心)하였다. 이러한 성품은 1982년 부산 영도구 선암사로 옮기면서 그 꽃을 활짝 피웠다. 스님은 62세가 되던 1986년 선암사 대웅전 불사에 이어서 1992년 4월 요사채를 불사하였다. 그리고 1994년 4월 종각을 지었고, 1996년 스님의 나이 72세에 이르러 선암사에 유치원을 설립하였다.  
+
석남사에서 대중 생활을 할 때는 자신의 늦은 출가를 도리어 수행의 근본으로 삼고 나이 어린 선배스님에게도 깍듯이 대하며 하심(下心)하였다. 이러한 성품은 1982년 부산 영도구 선암사로 옮기면서 그 꽃을 활짝 피웠다.  
 +
 
 +
스님은 62세가 되던 1986년 선암사 대웅전 불사에 이어서 1992년 4월 요사채를 불사하였다. 그리고 1994년 4월 종각을 지었고, 1996년 스님의 나이 72세에 이르러 선암사에 유치원을 설립하였다.  
 +
 
 +
===후학에게 주는 당부===
 
<br/>스님은 포교에 대하여 ‘수행자라면 깊은 산중에서 정진해야 당연하다. 하지만 포교할 원력을 세우고 시내에 살면 현재 이 시대에 맞는 삶을 살아야 한다. 특히 불모지에서 불교를 개척하고 일구어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br/>
 
<br/>스님은 포교에 대하여 ‘수행자라면 깊은 산중에서 정진해야 당연하다. 하지만 포교할 원력을 세우고 시내에 살면 현재 이 시대에 맞는 삶을 살아야 한다. 특히 불모지에서 불교를 개척하고 일구어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br/>
정심스님은 도심 한복판에서 포교를 하고 살면서도 바깥출입은 거의 하지 않음은 물론 시자들이 주는 용돈이나 단월들이 주고 가는 적은 보시금을 한 푼도 소유하지 않고 사중에 다 내놓는 분으로 유명하다. ‘백 원을 받으면 백 원만큼을 베풀어야 한다.’는 생활 철학을 철저히 지켜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스님은 노구의 몸으로도 예불과 공양을 대중과 늘 함께 하며 시간을 철저히 지키셨다.
+
정심스님은 도심 한복판에서 포교를 하고 살면서도 바깥 출입은 거의 하지 않음은 물론 시자들이 주는 용돈이나 단월들이 주고 가는 적은 보시금을 한 푼도 소유하지 않고 사중에 다 내놓는 분으로 유명하다. ‘백 원을 받으면 백 원만큼을 베풀어야 한다.’는 생활 철학을 철저히 지켜오고 있는 것이다. 스님은 말이나 문자보다는 먼저 행동으로 가르침을 주고 있다. 노구의 몸으로도 예불과 공양을 대중과 늘 함께 하며 시간을 철저히 지키는 등 부처님의 가르침을 묵묵히 실천하는 모습은 후학들에게 크나큰 경책이 되고 있다.  
 
<br/>
 
<br/>
정심스님은 [[혜해스님]]과도 깊은 인연이 있다. </br>
+
정심스님은 [[혜해스님(慧海, 1921生, 비구니)|혜해스님]]과도 깊은 인연이 있다. </br>
2022년 현재 부산에는 영도구 외에 부산진구와 연제구 등 두 곳의 선암사가 있다.
+
2022년 부산에는 영도구 외에 부산진구와 연제구 등 두 곳의 선암사가 있다.
 +
수계제자로는 도수(道秀)·도각(道覺)·명선(明禪)·일선(一禪)·성혜(性慧)·석경(石鯨)스님이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409~412.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409~412.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28.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28.
* 네이버 블로그 ‘눈꽃피는 풍경’ https://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p. 365, 374.
 +
* 네이버 블로그, 영도 선암사 (2019년)  https://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시맨틱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90번째 줄: 108번째 줄:
  
 
===릴레이션 데이터===
 
===릴레이션 데이터===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20px" | 항목1 || style="width:240px" | 항목2 || style="width:240px" | 관계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仁弘)스님]] || ~의 제자이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법기(法起)문중|법기문중(法起)]] || ~의 일원이다 ||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가지산 석남사]] || ~에서 출가하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인홍스님(仁弘)]] || ~의 수계제자이다 ||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영도 선암사]] || ~의 주지를 역임하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울산울주 석남사]] || ~에서 출가하다 ||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영도 선암사]] || ~을 정비하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자운성우(慈雲盛祐)|자운스님(慈雲)]]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자운(慈雲)스님]] || ~으로부터 사미니계를 받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월하명근(月下明根)|월하스님(月下)]]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월하(月下)스님]] || ~으로부터 비구니계를 받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부산 선암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영도 선암사]] || ~의 선암유치원을 개원하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부산 선암사]] || ~을(를) 정비하다 ||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正心)스님]] || [[영도 선암사]] || ~의 회주를 역임하다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선암사유치원]] || ~을(를) 건립하다 || 선암유치원
 +
|-
 +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정심스님(正心)]]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양산 내원사, 산청 대원사, 평창 월정사 지장암(오대산), 합천 해인사 보현암, 부산 범어사 대성암(청룡동)
 
|}
 
|}
  
==사찰==
+
==지도==
* 부산 선암사(☎ 051-405-0493):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797-9 {{ 구글지도 | 위도= 35.06652 | 경도=129.07753 | 줌=17 }}
+
* '''부산 선암사'''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797-9
 +
{{구글지도 | 위도= 35.06652 | 경도=129.07753 | 줌=17}}
 +
 
 +
==다른 비구니 스님==
 +
<poem>
 +
  '''☞ [[한국비구니 | 대한민국(한국) 주요 비구니 스님]]'''
 +
  '''☞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대한민국(한국)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
 +
</poem>
 +
 
 +
==지식관계망==
 +
{{SemanticGraph | key=정심스님(正心,_1925生,_비구니)}}
 +
{{AINarrative | key=정심스님(正心,_1925生,_비구니)}}
  
 
==주석==
 
==주석==
 +
<references/>
  
<references/>
+
[[분류 : 비구니스님]]

2024년 9월 18일 (수) 07:32 기준 최신판



정의

정심(正心)스님은 1980년대에 부산 영도구에 부산 영도 선암사를 창건하고 유치원을 세워 어린이 포교를 한 대한민국의 비구니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925 경남 고성 출생
1968 가지산 석남사에서 인홍(仁弘)스님을 은사로 출가
1969 석남사에서 자운(慈雲)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71 통도사에서 월하(月下)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76~1981 내원사, 대원사, 오대산 지장암, 보현암, 대성암 하안거 성만
1986 선암사 대웅전 불사
1992 요사채 불사
1994 종각 불사 및 선암사 주지
1996 중창 불사와 선암유치원 개원
1997~2000 선암유치원에서 교육사업에 종사
2004 선암사 회주
문중 법기문중(法起)
생활신조 백 원을 받으면 백 원만큼 베풀어야 한다.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도수(道秀)·도각(道覺)·명선(明禪)·일선(一禪)·성혜(性慧)·석경(石鯨)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부영(扶榮, 6)→심공(心空, 7)→정자(淨慈, 8)→인홍(仁弘, 9)정심(正心, 10)→도수(道秀, 11), 도각(道覺, 11), 명선(明禪, 11), 일선(一禪, 11), 성혜(性慧, 11), 석경(石鯨, 11)

활동 및 공헌

출가 계기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410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411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412
[영도 선암사 전경]
사진출처 : https://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청해당(淸海堂) 정심(正心)스님은 1925년 1월 15일 경남 고성군 마암면에서 아버지 박희제와 어머니 최수진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이며, 이름은 박점성이다. 1968년 43세의 늦은 나이에 세상에 대한 무상함과 인생의 덧없음을 느낀 스님은 마침내 모든 인연을 단호하게 끊고, 가지산 석남사에서 인홍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스님은 1969년 3월 12일 석남사에서 자운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계하였고, 이어서 4월 8일 양산 통도사에서 월하 큰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수계하였다.

불법 문중에 늦게 출가했다는 마음에 다른 이들보다 더욱 깊은 신심과 원력으로 하루하루를 보내야만 했던 스님은 47세이던 1971년 4월 8일 통도사에서 월하 큰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계하였다.

수행

스님은 52세 때인 1976년 석남사에서 하안거 성만을 시작으로 1977년과 1978년 내원사에서 하안거를, 1979년 오대산 지장암에서 하안거를 성만하였다. 스님의 정진은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계속되었다. 1980년 해인사 보현암에서 하안거를 성만하였고, 그 다음해에 범어사 대성암에서 하안거 결제를 성만하였다.

부산 영도에 선암사를 창건하고 유치원을 세우다

석남사에서 대중 생활을 할 때는 자신의 늦은 출가를 도리어 수행의 근본으로 삼고 나이 어린 선배스님에게도 깍듯이 대하며 하심(下心)하였다. 이러한 성품은 1982년 부산 영도구 선암사로 옮기면서 그 꽃을 활짝 피웠다.

스님은 62세가 되던 1986년 선암사 대웅전 불사에 이어서 1992년 4월 요사채를 불사하였다. 그리고 1994년 4월 종각을 지었고, 1996년 스님의 나이 72세에 이르러 선암사에 유치원을 설립하였다.

후학에게 주는 당부


스님은 포교에 대하여 ‘수행자라면 깊은 산중에서 정진해야 당연하다. 하지만 포교할 원력을 세우고 시내에 살면 현재 이 시대에 맞는 삶을 살아야 한다. 특히 불모지에서 불교를 개척하고 일구어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심스님은 도심 한복판에서 포교를 하고 살면서도 바깥 출입은 거의 하지 않음은 물론 시자들이 주는 용돈이나 단월들이 주고 가는 적은 보시금을 한 푼도 소유하지 않고 사중에 다 내놓는 분으로 유명하다. ‘백 원을 받으면 백 원만큼을 베풀어야 한다.’는 생활 철학을 철저히 지켜오고 있는 것이다. 스님은 말이나 문자보다는 먼저 행동으로 가르침을 주고 있다. 노구의 몸으로도 예불과 공양을 대중과 늘 함께 하며 시간을 철저히 지키는 등 부처님의 가르침을 묵묵히 실천하는 모습은 후학들에게 크나큰 경책이 되고 있다.
정심스님은 혜해스님과도 깊은 인연이 있다.
2022년 부산에는 영도구 외에 부산진구와 연제구 등 두 곳의 선암사가 있다. 수계제자로는 도수(道秀)·도각(道覺)·명선(明禪)·일선(一禪)·성혜(性慧)·석경(石鯨)스님이 있다.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409~412.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28.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p. 365, 374.
  • 네이버 블로그, 영도 선암사 (2019년) https://blog.naver.com/kym23031/221553930156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정심(正心)스님 본항목 정심스님(正心, 1951~2014) 正心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정심스님(正心,_1925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정심스님(正心) 법기문중(法起) ~의 일원이다
정심스님(正心) 인홍스님(仁弘) ~의 수계제자이다
정심스님(正心) 울산울주 석남사 ~에서 출가하다
정심스님(正心) 자운스님(慈雲)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정심스님(正心) 월하스님(月下)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정심스님(正心) 부산 선암사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감원)
정심스님(正心) 부산 선암사 ~을(를) 정비하다
정심스님(正心) 선암사유치원 ~을(를) 건립하다 선암유치원
정심스님(正心) 안거 ~을(를) 성만하다 양산 내원사, 산청 대원사, 평창 월정사 지장암(오대산), 합천 해인사 보현암, 부산 범어사 대성암(청룡동)

지도

  • 부산 선암사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797-9



다른 비구니 스님

지식관계망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