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습득론
목차
[숨기기]강의목표
- 본 교과목에서는 외국어 습득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탐구,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습득 과정을 이해하며 그 특징들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 과정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교재 및 참고문헌
황종배. 2019. 제2언어 습득의 원리와 연구 동향. 서울: 한국문화사.
이정희. 2019. 한국어교육을 위한 외국어 습득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하우.
한상미. 2006.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Atkinson, D. (2011). Altern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Y:Routledge.
Brown, H. D. (2012).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제5판). (이흥수 외 역.). 서울:Pearson Longman. (원전 출판년도 2007).
Gass, S. M. (2013).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 introduction course. NY:Routledge.
Kleppin, K. (2007). 외국어 학습자의 오류 다루기. 서울:한국문화사. (원전 출판년도 1997).
Marysia, J. (2004). A philosoph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Y:Yale University Press.
Saville-Troike, M. (2008). 제2언어 습득론. (임병빈 외 역.). 서울:세진무역. (원전 출판년도 2006).
Stern, H. H. (1995). 언어교수의 기본개념. (심영택 외 역.). 서울:도서출판 하우. (원전 출판년도 1983).
VanPatten, B. and Willisams, J. (2015). Theor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Y:Routledge.
참고사항
- 수강생들은 각 주의 주제에 맞게 교재를 미리 읽고 질문지를 작성하여 수업 이틀 전에 LMS에 탑재한다.
- 발표 시 참고사항은 상자 안에 넣어 관련 내용 하단에 제시한다. 용어는 반드시 관련 서적이나 한국어교육학 사전, 응용언어학 사전 등을 찾아 개념 설명을 각주로 처리한다. 아울러 용어 번역이나 조정 시 출처를 밝힌다.
- 수업은 강의, 발제, 토론으로 진행한다.
- 학습 상황에 따라 비대면 수업(ZOOM 활용)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강의내용
}주 | 날짜 | 강의주제 | 교재 | 수업 내용 | 참고 |
---|---|---|---|---|---|
1 | 9. 1 | 강의 소개 | <외국어 습득론> 강의에서 배우는 내용 및 수업 진행 방법 소개한다. | ||
2 | 9. 8 | 외국어 습득록 개관 | 황종배(2019) 1장 | 외국어(한국어)교육학의 성격, 기본 용어 및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 |
3 | 9.15 | 언어학과 외국어 습득 | 황종배(2019) 3장 | 외국어 습득과 관련한 언어학의 흐름에 대해 살펴본다. | |
4 | 9.22 | 심리학과 외국어 습득 | 이정희(2019) 2장 | 외국어 습득에 영향을 미친 심리학의 관점에 대해 살펴본다. | |
5 | 9.29 | 인지주의와 외국어 습득 1 | 황종배(2019) 4장 |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습득에 대한 연구, 감사지모형과 경쟁모형에 대해 살펴본다. | |
6 | 10.6 | 인지주의와 외국어 습득 2 | 황종배(2019) 5장 | 정보처리이론에 대해 살펴본다. | |
7 | 10.13 | 외국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정희(2019) 4장 | 학습자의 나이, 지능, 적성, 동기, 문화 등이 외국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 황종배9장 |
8 | 10.20 | 학습자언어 분석 | 황종배(2019) 2장 | 학습자언어 분석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고찰한다 | |
9 | 10.27 | 연구계획서 | |||
10 | 11. 3 | 오류 분석과 수정 | 이정희(2019) 7,8장 | 오류의 개념과 원인, 오류 수정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
11 | 11.10 | 중간언어와 변이 | 황종배(2019) 7장 | 중간언어의 개념과 특징, 학습자언어 변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 이정희9장 |
12 | 11.17 | 화용 습득 | 이정희(2019) 10장, 한상미(2006)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문제와 발달에 대해 알아본다. | |
13 | 11.24 |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 황종배(2019) 6장 | 입력, 상호작용과 외국어 습득에 대해 알아본다. | |
14 | 12. 1 | 수업을 통한 언어 습득 | 황종배(2019) 8장 |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외국어 습득에 대한 이론 및 가설을 고찰한다. | |
15 | 12. 8 | 연구 발표 | 문형관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