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주의와 외국어 습득 2

phj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제2언어 습득론의 인지주의적 접근법 가운데 정보 처리 이론(information processing theory)부터 작업기억장치(working memory), 주의력(attention)에 관련하여 습득 원리와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겠다.

정보 처리 이론(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자동화와 재구조화(McLaughlin,1990): 제2언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가장 근본적인 인지 작용

  • 자동화란?
학습된 지식이나 기술이 반복이나 연습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완전히 내재화(internalization) 되는 것.
  • 재구조화란?
새로운 지식이 들어옴으로써 학습자가 갖고 있는 기존의 인지구조가 재조직되어 새로운 모습을 갖춰가는 과정.
  • 주의력
인간의 주의력은 용량이 한정되어 있음. 한가지를 집중해서 자동화 시킨 다음 또 다른 것을 받아들임.


자동화

  • 자동화의 예
 (1) S1: Hi → S2: Hi, how are you? → S1: Fine, and you? → S2: Fine. §자동화 상태
 (2) S1: Hi, Sue. → S2: Good morning, Julie. → S1: Fine, and you?    §상대방의 말에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도 않고, 자동적으로 발화
  • 정보 처리 과정(McLaughlin 외,1983)

정보처리과정.jpg 출처: 언어교수이론과 한국어교육(남성우 외,2006)

재구조화

(1) Ellis(1985): 새로운 지식의 습득은 선형적인 발달 혹은 지식이 축적이 아닌 불연속적이고 질적인 재구조화의 과정이다. 영어 부정어의 습득 자료를 통해 주장. 
(2) Lightbown(1985): 재구조화는 들어오는 입력과 기존에 이미 습득된 언어구조들 사이에서  단순화복잡화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일어나는 과정.
(3) Gass & Selinker(2001, p.215): U자형 발달 형태

U자형발달형태.jpg 출처: 제2언어 습득의 원리와 연구 동향(황종배,2019)

→제2언어 습득은 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내부 인지구조의 복잡한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것의 증거.

기억장치(memory)

인지주의 심리학에서는 학습의 과정을 기억장치(memory)에 의한 외부 정보의 처리과정으로 보고 있음. 작업기억장치라 불리는 단기기억장치장기기억장치가 있음.

장기기억장치(LTM:long term memory)

  • 장기기억장치란?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나 입력이 작업기억장치에서의 반복적인 노출 혹은 암송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시간의 제약 없이 거의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기억장치. 용량의 제한이 없으므로 많은 양의 정보를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
  • 구분
1) 명시적-선언적 (explicit-declarative) 지식 혹은 기억장치≈ 명제적 지식(knowlege 'that'), 
어떤 특정 사실에 대한 지식 혹은 의미기억(semantic memory)이나 자신이 경험했던 사건에 대한 지식(episodic memory)을 포함
2) 암시적-절차적 (implicit-procedural) 지식 혹은 기억장치≈ 방법적 지식(knowlege 'how')  
순서나 절차에 관한 암시적이면서 흔히 습관적으로 이루어 지는 행동을 통해 나타나는 지식이나 기억
  • 선언적/절차적 모형(declarative/procedural medel: DP 모형), Ullman(2001, 2004, 2005)
모국어 습득과 달리 제2언어 습득에서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선언적 기억 혹은 지식은 증가하는 반면, 절차적 기억과 지식은 감소한다고 주장. 물론 어휘와 형태, 문법에 반복 노출로 절차적 기억장치의 역할이 늘고 상급으로 올라갈수록 절차적 기억장치의 역할이 모국어 습득에서의 역할과 거의 유사해짐.
  • 기능습득이론(Skill Acquisition Theory), Dekeyser(1995, 2007): 제2언어의 발달이 3단계로 이루어짐
  1. 선언적 지식[1] 단계: 제2언어의 문법이나 형태 구조에 대한 지식을 명시적으로 습득
  2. 절차적 지식[2] 단계: 반복적으로 노출되고 의식적인 학습의 과정을 거치면서 명시적인 지식을 무의식적이고 암시적인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
  3. 자동화(automatization)[3] 단계: 아무런 의식적인 노력 없이도 목표 문법 구조를 사용

작업기억장치(working memory)

  • 작업기억장치란?
장기기억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기 이전에 거치게 되는 일종의 처리과정
  1. N. Ellis, 2005: 단기기억장치(시간에 초점)의 다른 이름으로 기억장치의 역동성 혹은 정보의 처리라는 기능에 초점을 맞춘 개념으로, 정보의 최종 저장 장소가 아니라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2. P. Robinson, 1995: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여서 그것을 장기기억장치에서 불러낸 정보와 통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다시 장기기억장치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 작업기억장치의 몇개의 하위 구조(Baddeley & Hitch, 1974)
  1. 음운루프(phonological loop): 정보나 입력의 소리와 관련한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 입으로 외우는 처리과정을 의미.
  2. 시공간-메모장(visuopatial sketch pad): 정보나 입력의 시각적 혹은 공간적 정보를 바탕으로 기억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부분.
  3. 중앙관리자(central executive): 정보나 입력의 전반적인 처리에 관여, 전체적인 처리의 순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


  • 특징
  1. 외부에서 들어오는 수많은 정보와 입력 가운데 중요한 것 들이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고 나머지는 소멸.
  2.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능동적인 장치로서 선택된 정보에 대한 접근이 무척 빠르다.
  3. 정보가 기억장치속에 유지되는 시간이 약 20초 내외로 매우 짧으며 용량이 매우 제한적이다.
  4.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정보의 개수가 7개 내외. 그러나 집중력 높이는 훈련시 확장가능.
  5. 작업기억장치의 용량이 클수록 동시에 처리 할 수 있는 입력이나 정보의 양 많음. 곧 학업성적이 뛰어남. 또, 통사구조에 대한 이해력이 높아짐.
  6. 모국어가 제2언어습득 보다 작업기억장치의 용량이 더 큼. 개인별로 상이.
  7. 작업기억장치와 학습자들의 주목 정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Mackey et al., 2002)
  8. 제2언어 능숙도가 높아질 수록 작업기억장치의 용량도 커진다. (Gass & Lee, 2011)


  • 청킹[4] 훈련 :작업기억장치의 용량 높이는 방법으로 정보의 개수가 7개라 했을 때, 1개의 단위에 여러 개를 묶는 방식.



주의력과 인식: 암시적/명시적 학습

주의력이라는 개념 및 관련 이론과 원리들은 제2언어 습득에 있어서 인지주의적 접근법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룸. 우리의 주의력은 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화 혹은 자동 처리과정이라는 것이 필요하다. 주의력과 관련된 또 다른 개념으로 암시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의 개념으로 지금까지도 가장 커다란 이슈 가운데 하나이다.

주목가설(Noticing Hypothesis)(Schmidt, 1986)

외국어의 어휘나 발음, 문법 모든 영역에 있어서 학습은 새로운 학습 목표에 대한 주목(noticing)이 필요하다는 것. 주목은 주의력의 비교적 낮은 수준. 학습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규칙에 대한 이해를 수반하지 않는 정보의 주의력이 작용하는 것.
  • Tomlin & Villa(1994)[5]
Tomlin@villa.jpg
주목가설을 비판하면서 주의력을 경계(alertness)[6], 지향(orientation)[7], 탐지(detection)[8]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고 그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요소는 탐지라고 주장. 탐지를 인식과 구별하여 인식은 언어 학습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햘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함.


암시적 학습(Leung & Williams, 2012; Williams, 2005) ↔ 명시적 학습(Leow, 1997, 2000; Hama & Leow, 2010)

학습 목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없음↔ 인식이 없는 학습은 불가능하며, 주목가설과 마찬가지로 외국어 학습에는 학습자의 인식이 필요하다는 연구.


  • gi, ro, ul, ne라는 가상의 한정사[9] 학습 연구
  1. Williams(2005)
gi, ro는 거리가 가까운 곳의 물건에 대한 한정사, ul, ne는 먼 곳에 떨어져 있는 물건에 대해서 사용하는 한정사임을 명시적[10]으로 설명. 또 gi, ul은 생명체와 사용되며 ro, ne는 무생물에 사용된다. 거리 특성과 달리 유생성에 대해 인식시키지 않는다. 모든 평가 후 유생성에 대해 인식한 집단과 미인식집단으로 구분하여 평가결과를 확인해보니 미인식집단이 인식집단보다 명사의 유생성에 맞는 한정사를 더 잘 고른다는 연구 결과를 냄.
  1. Hama & Leow(2010)
학습자들의 인식을 측정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Williams의 연구를 반복. 학습과 평가를 다 끝낸후에 측정하지 않고 학습을 하는 동안에 소리 내어 생각하기(think-aloud)방법을 활용. '작업기억장치'에서 일어나는 것을 접근하게 해줌. 비인식집단의 학습자들은 한정사들의 유생성에 대하여 의미 있는 학습을 보여주지 못함.


남아있는 문제

  1. 주목가설에서 시작된 학습자들의 인식이 외국어 학습에 필수적인 것이냐?
  2. 암시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 중 어느것이 더 효과적이냐의 문제는 인식의 측정이라는 방법론적 문제에 대해서는 미해결
  3. 학습자의 주의력과 인식을 명확하게 구분 가능?
최근 이러한 방법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트래커(Eye_tracker)[11]  혹은 EEG(Electroencephalography)[12] 등의 첨단장비로 인식의 측정, 혹은 주의력의 작용에 대한 추적을 함. 아직 많은 문제와 한계. 그러나 앞으로 제2언어 습득의 효과적인 방법론 혹은 원리들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임.

참고

  • 황종배(2009), 제2언어 습득의 원리와 연구 동향, 한국문화사
  • 남성우 외(2006), 언어교수이론과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 임병빈 외(2008), 제2언어습득론, 세진무역
  • H.H.Stern(2015), 영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교수의 기본 개념, 도서출판 하우
  • 네이버블로그: 지구별 관찰일기
  • 세계인이 누리는 한국어 기초사전,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png

주석

  1.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 서로 고립되어 있는 사실과 규칙. 이러한 지식의 처리는 대개 비교적 속도가 느리고 주의를 집중하여 통제하게 된다.
  2.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 선언적 지식과 비교하여 보다 긴 연상 단위를 처리하고 자동화를 증가시키는데 요구되는 지식. 이것은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자원을 해방시켜 높은 수준의 기술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절차화는 연습을 필요로 한다.
  3. 자동화(automatization): 적절한 입력이 인지될 때마다 기억 속의 어떤 요소들이 활성화되고 복구되는 것.
  4. 청킹:단기기억의 제한된 용량을 극복하는 방법의 하나로 정보의 개별적 단위를 보다 큰 의미 있는 단위로 묶는 것이다. 정보는 크기가 아닌 단위 수가 작업기억의 한계와 관련되므로 각각의 정보를 큰 단위로 묶으면 더 많은 정보를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전화번호를 국번과 번호로 나누는 것도 기억을 돕는 청킹의 전략이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청킹 [chunking]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1. 10., 한국교육심리학회)
  5. Tomlin R S ,& Villa V . (1994). Atten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6(2), 183.
  6. 경계(alertness): readiness to address incoming stimuli, 들어오는 자극에 대처하기 위한 일반적인 준비상태
  7. 지향(orientation):direction of attentional resources to stimuli, 자극에 대한 주의력 자원의 방향
  8. 탐지(detection): cognitive registration of stimuli, 자극의 인지적 등록으로 자극의 결과적 인식인 만큼 경계나 지향과는 다르다.
  9. 한정사: 명사 앞에 쓰여 한정의 뜻을 나타내는 품사. 영어에서는 관사, 지시 형용사, 수량 형용사 따위가 있다.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10. 명시적: 내용이나 뜻을 분명하게 드러내 보이는 것. 출처: 한국어 기초사전
  11. 아이트랙커: 사람의 시선이 어느 곳을 바라보는지 추적해주는 장치, 출처: pxd Story
  12. electroencephalography:뇌파검사, 출처: 네이버 특수교육학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