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계획서

phj
이동: 둘러보기, 검색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수업/연구계획서(박현정).pdf

  • 러시아인 학습자의 보조사 '은/는' 사용의 오류 분석/ 안나
  • 한중연 베트남 학생의 칭찬 화행의 화용적 실패의 요인 분석/ 레티하잉
  • 남양주 지역 일본인 이주여성의 발음 변인 분석/ 후지이지후미
  •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격 조사 오류 연구-대만 학습자 중심으로/ 오기선
  •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간언어 분석/ 반사박
  • 정한 주제를 좀더 구체화하길
  • 공부하면서 자료 분석, 수집하길

출처: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이정희)

오류 분석의 절차와 기준

  1. 취합된 자료들을 모두 입력한다.
  2. 정문과 오류문을 구분한다.(문법오류+맥락에서 벗어난글)
  3. 오류문을 정문으로 수정한다.(정문을 재구성할 때에는 의미를 유지하는 범위에서 가정 적게 고치는 것을 원칙으로 함)
  4. 오류를 음운, 문법, 어휘, 기타 등으로 세분화하고 빈도를 확인하여 분류 표를 작성한다. 이 때 정(正), 오(誤)의 개수를 함께 기록한다.
  5. 각각의 오류를 그 원인 및 유형에 따라 분류한다.

오류 유형

크게 내용적인 접근과 형식적인 접근. 내용적인 접근은 오류의 원인에 따른 유형분류이고 형식적인 접근은 오류의 판정에 따른 분류.

한국어오류분류표.jpg

오류 결과의 판정에 따른 분류

현상별 오류 분류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의 형태와 관련지어 살펴봄. 의사소통을 위해 의미의 전달에만 초점을 두고 문장을 생성하는 경우 이런 오류 발생.

  • 대치 오류: 대치는 학습자가 그 문법 형태를 다른 것으로 바꾸어 쓰거나 의미가 유사한 어휘로 바꾸어 쓰는 경우
예)ㄱ. 제 언니는 *잘(√좋은) 의사가 이에요.
   ㄴ. 그 가게는 유명*하는(√한) 곳입니다. 
   ㄷ. 동대문 시장은 한국*에(√에서) 아주 유명한 시장입니다. 
  • 누락 오류: 누락은 학습자가 정확하게 형태를 기억하지 못해서 일어나거나 의식적으로 사용을 기피하는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이는 생략과 구분되어야 하는데, 생략은 학습자가 문장의 구성 요소를 전략적,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예) ㄱ. 그러나 그들*Ø(√은) 지금 이미 퇴직했어요. 
    ㄴ. 치*(√친)구들이 2번 출구에 있어요. 
    ㄷ. 좋*Ø(√은)음식은 먹고 싶어요. 
  • 첨가 오류: 첨가는 불필요한 문법 형태 및 어휘를 추가해서 쓴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목표어 항목을 정확하게 학습하지 못한 경우나 모국어의 영향에 인해 나타난다.
예)ㄱ. 그리고 외국*인(√Ø) 사람을 유명해요
   ㄴ. 저는 돈을 친구에게 *준(√주)고 싶어요.
   ㄷ. 제 친구*의(√Ø) 타캐시씨는 아주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