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 분석과 수정

phj
이동: 둘러보기, 검색

7장 오류분석

  • 교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외국어 습득의 이해(이정희)
  • 단원: 7장 오류분석(p.152~

오류와 오류 연구

오류분석의 개념

  • 오류분석이란? 오류 자료를 수집하고 조직적으로 분류, 분석하여 오류의 원인을 규명하고, 오류가 일어나는 빈도수에 따라서 난이도를 추정하는 이론
  •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것은? 오류가 무엇인지 결정하고 실수와 오류를 구분하는 것(이정희,2003)
  • 원어민 화자의 능력 도달에 대한 성공유무를 따지지말고, 언어 습득의 증거이자 발달과정이 오류임.
  • 오류의 정의
  1. 언어 체계에서 벗어난 것이 오류이다.
  2. 통용되는 언어학적 규범에서 벗어난 것이 오류이다.
  3. 언어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이 말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어긋난 것이 오류이다.→1,2,3번 정확성의 관점에서의 오류
  4. 대화 상대자가 이해하지 못한 것이 오류이다.
  5. 모국어 화자가 이해하지 못한 것이 오류이다.→4,5번 대화를 하고 있는 관계의 이해 관계성,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는 경우
  6. 교과서와 문법 책에 있는 규칙들에 위배된 것이 오류이다.
  7. 교사가 오류라고 지칭하는 것이 오류이다.
  8. 교사의 머릿속에 있는 규범에 위배된 것이 오류이다.→6,7,8번 교육환경(교과서, 교사)에 의한 오류
  9. 어떤 상황에서 모국어 화자라면 그렇게 말하거나 행동하지 않을 텐데 학습자가 그렇게 말하거나 행동하지 않을 텐데 학습자가 그렇게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이 오류이다. →9번 적절성의 문제, 고급학습자일수록 중요
  10. 오류는 상대적이다. 어떤 수업 단계에서 어떤 학습자 집단에게는 오류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다른 수업 단계에서 다른 학습자 집단에게는 허용된다.→10번 종합
  • 초급에서는 발음오류(연음, 비음 등의 규칙)수정이 가장 많음
  • 중고급에서는 의미에 조금 더 초점을 두고 있음
  • 교사의 관점에 따라 오류를 정의하고 수정할 수 있음. 단, 일관성있는 수정.

오류 연구의 의의

  • Brown & Fraser(1964):

아동이 언어 습득 과정에서 산출하는 부정확한 발화는 체계적인 오류에 대해 어린이에게 문장을 구성하는 규칙이 내재돼 있음을 입증하는 가장 좋은 증거
→ 단순히 어른을 모방하여 발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
→ 오류 분석에서는 오류를 부정적인 것으로만 보지 않고 학습자의 언어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

  • Corder(1981): 학습자의 오류 자료의 중요성 3가지 강조
  1. 교사에게는 학습자가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진전이 있었고 학습 결과로 무엇이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
  2. 연구자들에게는 언어가 어떻게 학습되고, 습득되는지와 관련된 증거, 학습자가 언어를 발견해가는데 어떤 전략과 절차를 사용하는지 알 수 있게 하는 역할
  3. 학습자 본인의 학습을 위해 이용하는 장치와 도구가 된다는 점

오류는 전략(strategic)적 접근의 산물이다.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하고 있는 언어의 체계에 대해 끊임없이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유발된다고 봄.

오류(error) 대 실수

  • Brown(2000): 오류를 '원어민의 성인 문법으로부터 현저하게 일탈된 것으로 학습자의 중간언어 능력을 반영하는 것'이라 정의
오류(error) 실수(mistake)
능력의 부재 수행의 실패
단 한번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학습자 스스로 잘못인식을 못함 일시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학습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음
학습자의 과도기적인 언어 능력으로 언어 발달 수준 가늠 가능 발견 즉시 수정하거나 문제 해결을 위해 도움을 요청하는 행동이 뒤따름
지속적으로 일정한 체계를 갖음 일회적으로 발생한 결과물
  • 실수와 오류에 대한 기준
  1. 일회성이냐 지속적이냐
  2. 문제가 생겼을때 다시 반복했을때 즉각적으로 스스로 고칠 수 있는지 고칠 수 없는지
  3. 화석화되어 있어도 인지하고 있으면 실수
  4. '이/가, 은/는' 의 대치를 모르고 반복할 경우 오류
  5. 쓰기 오류에 대한 피드백도 면담을 통해 실수와 오류도 확인할 필요가 있음
  6. 말하기의 경우 실시간의 대화안에서는 쓰기에 비해 오류와 실수가 많이 나타남.
  7. 오류분석 실험연구에서는 우선 내가 보는 오류는 뭐다 기준을 선정하고 이런것을 오류로 판정한다.

오류의 판정

  • 오류 분석의 기초가 되는 작업은 오류를 판정하는 일
  • 오류 판정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분석에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음
  • 하지만 오류 판정은 오류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 문법적 오류 vs 사회 문화적 구조 안에서 용인 가능한가에 대한 고려

예) " 선생님, 식당에 갑시다", " 선생님, 쓰세요" 등 문법적 오류는 없지만 교사에게 명령의 어조는 적절하지 않아 오류로 판단

오류의 원인과 유형

오류의 원인

  • Richard(1971): 오류의 발생 원인에 따라서 분류
  1. 모국어의 영향에 의해 일어나는 간섭 오류(interference error)',
  2. 목표어 규칙의 과잉 적용 또는 불완전한 적용 등 일반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내적 오류(intralingual error)',
  3. 교실이나 교과서 등 제한된 학습 경험으로 인해 학습자 나름대로 언어에 대한 가설을 세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발달 오류(development error)
  • Corder(1974): 오류의 유형을 발생 원인에 따라 분류
  1. 언어 간 전이: 초급 단계 학습자에게 많이 나타남. 중급 이상에서는 습득된 한국어 규칙을 활용하면서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형태들을 많이 만들어냄
  2. 언어 내적 전이: 목표어 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해 유발되는 것
  3. 학습 환경적 요소: Richard의 발달 오류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학습 환경에서의 경험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지는 오류
  • Brown(2000)
  1. 언어 간 전이(Interlingual Transfer): 학습 초기 단계에 많이 나타나는데 모국어의 영향으로 나타나며 주로 부정적 전이현상
  2. 언어 내 전이(Intralingual Transfer): 목표어 내에서의 일반화 현상으로 나타나며 과잉일반화 오류라고도 함
  3. 학습 맥락(Context of Learning): 제2 언어를 배우는 배경, 즉 학습의 장과 학습 교재, 교사의 교육 내용 등의 영향을 받아 일어나는 것
  4. 의사소통전략(Communication Strategies):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 오류의 원인이 된다는 것, 존재하지 않는 어휘를 만들어내는 것 등을 원인
  • 공통적으로 꼽고 있는 오류 발생의 원인 3가지
  1. 모국어 영향(전이)으로 인한 오류
  2. 목표어 학습 과정에 나타나는 발달 오류
  3. 의사소통전략 등으로 인한 오류

오류의 유형(공통적으로 꼽고 있는 오류 발생의 원인 3가지)

  • (1) 모국어 전이로 인한 오류: FSI(Foreign Service Institute)에서 영어와 다른 언어가 얼마나 유사한가, 언어적 근접성 정도에 따라 평가한뒤 5단계로 구분

<표> Language Difficulty Ranking(미국 FSI)
단계 언어
CategoryⅠ:23-24주(575-600시간) 영어와 아주 가까운 언어: 아프리칸스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포루투갈어, 독일어, 루마니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스웨덴어
Category Ⅱ:30주(750시간) 영어와 유사한 언어: 독일어
Category Ⅲ: 36주(900시간) 언어적·문화적 측면에서 영어와 차이가 있는 언어: 인도네시아어,말레이시아어, 스와힐리어
Category Ⅳ:44주(1100시간) 언어적·문화적 측면에서 영어와 크게 차이가 있는 언어: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체코어, 핀란드어, 힌디어, 헝가리어, 몽골어, 네팔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태국어, 타갈로그어, 우즈베키스탄어, 베트남어 등 다수
Category Ⅴ: 88주(2200시간) 영어모어 화자에게 아주 예외적으로 어려운 언어: 아랍어, 일본어, 중국어(광동어, 만다린어), 한국어
  • (2) 발달 과정에서의 오류

Dulay & Burt(1974): 학습자의 오류가 'L1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와 유사한 오류'라기 보다는

Richards(1971):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제한된 목표어 지식으로 인해 세우는 가설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로 보는 것이 오류 분류의 관점에서 더 합리적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
1) 과잉 적용: 학습한 규칙이 복잡하고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으로 과잉일반화시켜 사용하는 경우
2) 불완적 적용: 일반적인 규칙만 생각하다가 예외적인 현상을 적용시키지 못하는 경우
  • (3) 의사소통 전략으로 인한 오류

학습자가 언어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그것이 문법적으로나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맞지 않다는 것을 지각하면서도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산출하는 경우에 발생

오류 분석의 절차

  • Corder(1974)의 오류분석의 절차 5단계
  1. 오류 분석을 위한 자료의 선정
  2. 표본으로 선택한 자료 분석(오류/실수로 구분)
  3. 오류 항목의 분류
  4. 오류 발생의 원인 분석 및 설명
  5. 오류의 평가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이지만 문장의 해석이 가능하고, 목표어로 재구성할 수 있을 때 그 문장을 연구 대상으로서의 오류문으로 선택, 또한 재구성한 문장을 학습자의 문장과 비교한 후 차이점을 기술

<♣국립국어원: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 활용>

언어 요소별 오류

발음 오류

  •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그 언어의 발음을 배우는 것
  • 학습자의 인지 능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
  • 학습자의 모국어로부터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분야(허용·김선정, 2006:15)
  • 가장 먼저 제시되고 가장 일찍 굳어짐
  • 실험음성학적 연구 방법, 음운론적 관점으로 분석

어휘 오류

어휘가 의사소통의 기본. 어휘 오류율이 중급에서 낮아졌다가 고급에 다시 올라감→고급은 연어 정보를 활용한 어휘 교육 절실 어휘를 자신의 언어로 풀어서 표현(paraphrasing), 새로운 어휘를 만들기(coinage), 모국어를 목표어 요소와 결합시킨 코드 전환(code-switching)을 통해 학습 혹은 의사소통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전략적 방법의 일환, 한자권은 중국식 표현의 직역 또는 한자를 그대로 옮겨쓰는 모국어 전이가 나타나기도 함.

  1. 음운적 유사성으로 인한 오류: 친구들과 찍은 사신(사진)을 보고 있습니다
  2. 유의관계 오류: 여름에 회사원은 휴가를 지낸다(보낸다)
  3. 반의관계 오류: 비가 방안까지 나왔기(들어왔기) 때문에 창문을 닫았습니다
  4. 연어관계 오류: 제가 한국에 오기 전에 몸이 조금 나빴어요(아팠어요)
  5. 어휘 형성 관련 오류: 옷차림은 운동옷(운동복)을 입고 있어요
  6. 피동사 표현 오류: 한국 생활은 처음 불편하지만 지금 익숙했어요(익숙해졌습니다)

문법 오류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중 쓰기에서의 문법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
  • 문법 오류 연구중 조사 오류를 가장 많이 다룸, 그 외에 연결어미, 시제, 높임 오류 등
  • 일본인: 조류의 누락 오류가 두드러짐. 이/가 대신 에/에게 사용 오류
  • 한국어 오류연구는 문법오류가 많았음.

8장. 오류 수정 및 교수 방안

오류 수정의 개념

  • 오류를 고친다는 의미의 용어로 오류 수정 혹은 오류 피드백이라는 용어를 사용
  • 오류 수정은 수정을 해 주는 이와 수정을 받는 이 사이의 정해진 약속과 원리에 따라 일관성 있게 이루어져야 교육적 효용 성이 있다.
  • 오류 수정의 원리
  1. 오류를 어떻게 수정을 해야 유의적인 결과를 가져올지를 생각해야 한다.
  2. 무엇이 최종적인 목표인지 잊지 말아야 한다. 정확성 향상을 위한 과도한 수정은 학습자의 의욕을 감소시킴
  3. 학습자들이 의사소통하는데 쉽게 좌절감을 줄 수 있는 오류에 신경을 써야 한다
  4. 오류 수정의 과정을 전적으로 지도하기보다는 안내한다는 생각으로 지도
  • Ferris(2004)
  1. 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오류를 수정해야 한다.
  2.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3.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피드백 방법을 정해야 한다

→ 초급이라면 교사의 직접 수정, 중급이라면 지적받거나 스스로 오류를 수정, 고급이라면 스스로 자신이 오류를 분석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피드백

오류 수정(Corrective Feedback:CF)의 유형

  • Ellis(2009): 제2언어 습득에 오류 수정이 기여하는지, 어떤 오류가 수정되어야 하는지, 누가 오류 수정을 해야 하는지, 어떤 오류 수정의 유형이 가장 효과적인지, 오류 수정은 언제 해야 하는지와 같은 다섯 가지의 논쟁이 오류수정의 논쟁이라면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1. 교사는 CF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확인. 가치와 목표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2. 말하기, 쓰기 CF는 효과가 있으므로 교사들은 학생들의 실수를 바로잡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정확성과 유창성의 균형필요
  3. 수정을 위한 구체화된 언어 목표를 각 학습 내용에 기반하여 명확히 해야 한다.
  4. 교사는 학습자가 교정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5. 다양한 전략을 구현하고 학습자에게 맞는 전략들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위치만 알려주고 스스로 교정 하는 등
  6. 즉각적인 CF와 시간차 CF의 선택
  7. 교정의 과정을 통해 극대화된 효과를 얻고, 교정과 쓰기 교정에 능동적으로 참여
  8. 교사는 다양한 환경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9. 교사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세부적인 오류들을 인지하고 수정해 줄 수 있어야 한다.
  10. 학습자의 불안을 알고 파악



  • 오류 수정의 유형(Ellis, 2009:8-9)
암시적(implicit) 명시적(explicit)
입력제공(input-providing) 고쳐 되말하기(recast) 명시적 수정(Explicit correction)
출력유도(output-prompting) 반복(Repetition), 명료화 요구(Clarification request) 메타언어적 설명(Metalinguistic explanation) , 반응끌어내기(Elicitation) ,준언어적 신호(Paralinguistic signal)
  1. 고쳐 되말하기: 발음, 어휘, 문법적으로 나타난 학습자의 오류를 기반으로 교사가 학습자의 잘못된 발화를 정확한 형태로 바꾸어 학습자에게 말해 주는 수정 유형
  2. 명시적 수정: 교사가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내고 오류를 식별하여 정정하는 방법. 오류가 있는 부분에 대해 정확한 형태로 교정한 후 제시하는 것
  3. 반복: 학습자의 오류 발화를 그대로 교사가 반복해서 발화함으로써 오류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
  4. 명료화 요구: 청자인 교사가 학습자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것 (의미의 문제에서 많이 씀, 다시 한번 말해주세요)
  5. 메타언어적 설명: 메타언어적 정보와 메타언어적 질문. 오류가 어디 있는지에 대한 정보와 그것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제공 (문법표현으로 명확히 설명)
  6. 반응끌어내기: 교사가 학습자 발화를 반복하지만 오류가 있는 곳에 반복하지 않고 앞 부분의 억양을 올려 나머지 부분을 학습자가 완성
  7. 준언어적 신호: 교사가 언어가 아닌 표정, 몸짓 등으로 오류가 있음을 알리고 수정을 유도하는 방식

♣수정적피드백 논문 찾아보기 ♣구어오류수정 논문 찾아보기(중고급의 경우 발화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오류가 일어나는 시점 보다는 발화가 끝났을때 수정하는것이 좋음)

쓰기 오류 수정의 실제

  • 쓰기 오류 수정의 종류
  1. 직접적인 수정: 교사가 학습자의 오류를 보고 판단하여 수정하여 돌려주는 방법
  2. 간접적 수정: 틀린 부분을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오류를 수정하도록 하는 방법
  • 오류 수정의 형태를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 작문의 내용 및 목적, 학습자 작문 실력,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 유형, 오류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 오류 수정의 대상에 따라서
  1. 형태중심: 문법적인 오류나 철자 및 맞춤법 등의 기술적인 측면의 문제에 집중, 단기간 쓰기 능력 향상이 됨.
  2. 내용중심: 내용의 구조, 흐름, 일관성, 논리성 및 문체에 집중, 장기적으로 쓰기 능력을 향상.
  • 학습자의 쓰기 숙달도에 따라서
  1. 직접적인 수정: 실력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2. 간접적인 수정: 쓰기에 자신 있는 학습자에게
  • 오류 수정의 대상(Hendrickson,1980)
  1. 이해 정도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오류를 수정
  2. 이해하는데 큰 영향을 주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표현이 아니어서 화석화될 우려가 있을 때 수정
  3. 학습자 개인이 범하는 오류 빈도수가 높으면 수정
  4. 문법 중에서 예외적인 사항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자주 이야기되고 있는 것은 수정

♣내용 피드백 →문법 피드백→직접 피드백
♣면담을 통한 피드백이 가장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