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일광스님(一光, 1899生, 비구니)

biguni
Ehjkkims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3월 13일 (월) 11:2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벽천(碧天) 일광(一光)스님은 일엽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평생 참선수행 정진하신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899 충남 서천 출생
1909 사서오경 수학, 숙명여고 2학년 재학 중 최초의 학원인 태화학당에서 공부
1947~1972 견성암에서 일엽(一葉)스님을 은사로 출가,
천은사, 범어사 대성암, 통도사 취운암, 진주 대원사 등에서 안거 성만
운문사 16나한전에서 4년 수행, 진주 월명암에서 2년 수행,
해인사 삼선암, 약수암, 상주 화북면 토굴에서 5년 수행
1982 1982.3.20(음2.25) 봉곡사에서 입적(세수 84세, 법랍 36세)
문중 일엽문중(一葉)
수계제자 지우(至牛)·태헌·성주(性珠)

활동 및 공헌

출가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 pp. 677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 pp. 680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 pp. 681
[봉곡사 대웅전]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 pp. 682
[봉곡사 명부전]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 pp. 683

벽천(碧天) 일광(一光)스님은 1899년 2월 13일 충남 서천군 화양면 금당리에서 양씨 집안의 딸로 태어났다. 본관은 제주이며, 이름은 양인환이다. 스님은 1909년 열한 살에 낮에는 학교에 다니고 밤에는 사서오경 등 한학을 공부했다. 숙명여고 2학년 때, 숙명여고에서는 영어를 가르치지 않는다고 하여 최초의 학원인 태화학당에 들어갔다. 스님의 학구열은 어렸을 때부터 대단했다. 어린아이가 책만 본다고 어른들이 말리면 이불을 쓰고 공부를 할 정도였다.

스님은 1947년 49세의 늦은 나이로 수덕사 견성암에서 일엽(一葉)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경봉스님과의 인연

경봉 큰스님께서는 당시 여자로서는 드물게 글(한문)을 많이 안다며 화엄경소와 화엄경 회현기 등을 갖다 주기도 하셨다. 한 번에 다 주지 못해서 세 번에 나누어주셨다.
이렇게 해서 스님은 속가에서 화엄경을 섭렵했다. 스님은 글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 하루는 스님의 상좌가 대구 옥련암에 법문하러 오신 경봉 큰스님께 인사를 드리니 “너희 스님은 글이 아주 좋으니까 네가 다 뺏어라.” 하실 정도였다. 스님은 세수 82세 때에 고등학교 역사책과 영어책을 빌려 보기도 했다. 상좌스님이 이유가 궁금하여 왜 그런 책을 보는지 여쭈었다. “혹시 미국에 태어나면 영어가 모자라니 지금 배워둬야지.” 일광스님의 배움에 대한 의지는 나이를 초월할 만큼 대단히 강했다. 스님 곁에 있으면 특별히 옥편이 필요 없었다. 모르는 한자가 있으면 대강 모양만 말씀드려도 금세 가르쳐주었다.

수덕사에서 나온 후 정화 당시에는 천은사에서 지객[1] 등의 소임을 보았으며, 범어사 대성암에서 오래 살았다. 대성암 만성스님은 맛있는 반찬이 있으면 스님에게 갖다 주기도 하셨다.

그 후 대성암을 떠나게 되자 경봉 큰스님께서 통도사 취운암에서 공부를 하라고 내주셔서 잠시 그곳에 머물며 공부했다. 스님은 취운암에서 나올 때, 도제양성에 쓰라며 화주금과 가지고 있던 현금까지 다 주고
걸망만 메고 나왔다. 통도사에서는 전무후무한 일이라며 모든 대중이 놀라워했다.

『경봉대선사 원광한화집(鏡峰大禪師 圓光閒話集)』(명정스님 저, 1979, p. 161)에는 일광스님이 경봉 큰스님의 제자로 기록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증 제자벽천일광비구니(贈 弟子碧天一光比丘尼)
      벽천운산일광원(碧天雲山一光圓) 푸른 하늘에 구름 흩어져 한 빛이 뚜렷하니
      만고장명불변진(萬古長明不變眞) 만고에 길이 밝아 변함없이 참되네.
      도차문군지차지(到此問君知此旨) 여기에서 그대에게 묻노니 이 의지(意旨)를 아는가?
      월래선탑수류천(月來禪榻水流川) 달은 선탑(禪榻)에 뜨고 물은 개울로 흐르네.

운문사, 해인사(삼선암, 약수암) 생활

취운암에서 나온 스님은 이후 대원사 등 여러 곳에서 상좌인 성주스님과 함께 공부를 했다.

성주스님과 같이 다니다 보니 '노인네가 참빗 장사처럼 젊은이를 끌고 다닌다.'는 뒷말이 돌았다. 그래서 하루는 묘전스님께서 일광스님에게 '성주는 경을 공부해야 하니까 동학사로 보내는 게 어떻겠느냐?' 고 하셨다. 그러나 당시 일광스님께 틈틈이 글을 배우던 성주스님은 자신이 강원에 가고 나면 시봉이 없는 은사스님이 혼자 계실 것이 걱정이 되어 운문사 강원에 스님을 모시고 갔다.

운문사에는 마땅히 거처할 방사가 없었다. 그래서 16나한전을 선방으로 개조하여 사용했다. 성주스님이 강원을 졸업한 뒤에도 두 스님은 1년을 더 머물러 운문사에서 4년여 동안 함께 수행하였다.

운문사에서 나온 일광스님은 진주 월명암에서 2년 동안 수행한 후 해인사로 갔다. 1971년 해인사 삼선암에서 철을 나고, 그 다음해 스님의 나이 74세에 약수암에서 두 철을 지냈다.

성철스님과의 인연

일광스님은 해인사 삼선암에 1년 동안 머물며 성철 큰스님께 궁금한 점이 있으면 종종 친견하러 다녔다. 성철 큰스님은 일광스님이 맨 처음 방문했을 때는 방안에서 인사를 했다. 그러다가 두 번째는 마루까지 나오셨고, 세 번째는 마당 끝까지 나오시면서 “저 노장 잘 모시고 가라.” 하며, 스님에 대해 예우를 표하셨다. 큰스님께서는 일체 면회를 사절할 때에도 삼선암 비구니 노장이 오면 무조건 통과시키라고 말씀하실 정도였다.

어느 날 큰스님께서 말씀 도중 무엇인가 쓰시고는 돋보기를 스님께 벗어주시면서 보라고 하셨다. 스님은 “저는 돋보기 필요 없습니다." 라고 말씀드렸다. 그러자 큰스님께서 “나이가 얼만데?" 하고 물으셨다.
스님이 칠십일곱이라고 대답하자 큰 스님은 깜짝 놀라시며, “그렇게 안 보이는데........., 나는 벌써 돋보기를 끼는데.” 라고 말씀하셨다.

또 한번은 '판치생모'에 대한 것을 묻고 답하는데, 큰스님께서 “아, 그거는 내가 가르쳐주겠소.” 라고 하셨다. 이어 또 다른 것을 묻고 답하다가 일광스님이 무슨 말씀인가를 하시자 큰스님께서 “노장, 그거 어디서 썼소. 그거 나 좀 보여줄 수 없소?” 라고 하셨다. 이때 스님은 웃으면서 “스님, 빌려드릴 수는 없습니다. 제 머릿속에 있습니다.” 라고 답할 만큼 박학다식했다. 큰스님은 “지금껏 수백 명의 비구니를 봤지만 노장 같은 비구니는 처음 봤소.”하며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다.

성철 큰스님은 일광스님이 의문이 있어 물어오면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문헌을 찾아서 답을 보내주셨다. 답을 받은 스님은 “나 같은 비구니를 그냥 넘기지 않고 정성껏 답해주시는 성의가 고맙다.” 며 감사의 인사를 드렸다. 그리고 큰스님의 글씨를 도인의 친필이라며 액자에 넣어 소중히 간직했다.

경북 신도회 성불회가 지은 성불사의 전신인 토굴이 상주시 화북면에 있었는데, 스님이 처음으로 절을 맡아 5년을 살기도 했다.

봉곡사에 주석

봉곡사에는 80세가 되던 1978년 1월 19일에 상좌인 성주스님과 함께 오게 되었다. 원래 성주 스님은 봉곡사가 도반스님이 사는 절인 줄 알고 빌려서 살 생각으로 왔었다. 그런데 막상 와서 보니 도반스님은 없고 어느 비구스님이 살고 있다는데, 절은 비어 있었다.

절터를 둘러본 스님이 저녁 무렵 발길을 돌리려고 하는데, 봉곡사의 주지라는 비구스님이 돌아 왔다. 성주스님은 법당에 들어가 부처님께 절을 하면서 부처님을 시봉하게 해달라고 발원을 했다. 그리고 돌아가는 길에 직지사에 들러 절이 비면 연락해 달라는 부탁을 해놓았다. 그로부터 두 달 뒤 절이 비어 있다는 연락이 왔고, 성주스님과 일광스님은 봉곡사로 거처를 옮겼다. 봉곡사에 온 지 며칠 뒤 당시 봉녕사에 상주하셨던 묘전스님과 경주 보리사 주지스님께서 다니러오셨다. 그런데 솥이 없어 공양을 제대로 지을 수가 없었다. 하는 수 없이 임시방편으로 이웃집에 공양을 부탁해야 했다. 봉녕사의 묘전스님께서는 안 본 것만 못하다며 안타까워 하셨다. 일광스님이 봉곡사에 들어올 때 가지고 온 것은 숟가락 5개와 그릇 5개, 석유풍로 1개가 전부였다. 절에 남아 있던 식기라고는 달랑 양은솥 하나였고, 그나마 물이 새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법당에 계신 부처님 몸에는 먼지가 수북하고, 마루에는 새똥만 쌓여 있었다. 명부전은 70도 정도 기울어져 쓰러지기 직전이었고, 바닥도 없는 상태였다. 대웅전은 8평이었는데, 봉곡사에 온 그해 여름에 대웅전 앞쪽의 기와가 무너져 내려 서까래를 갈고 기와를 다시 이었다. 설상가상으로 1979년 8월에 내린 비로 측면이 무너져 다시 수리를 하고 나니 이번에는 후면까지 무너졌다.

일광스님은 산철과 결제철 없이 참선으로 일관된 생활을 했고, 연세가 많아 법당에 못 갈 때에는 방안에서 예불, 대참회, 신심명, 증도가 등을 하루 일과로 정해두고 반드시 했으며, 신심명과 증도가는 평생을 두고 계속 했다.

입적

입적하기 8개월 전에는 “이제는 못 앉을 것 같다. 내가 혹시 노망이 들어 고기를 원하거든 고사리를 다져서 볶아주면서 고기라고 해라.” 하며 흩어짐 없는 모습으로 마지막 가는 길을 준비하였다. 15일 전에는 갈 때가 며칠 남지 않았으니 첫째로 놀라지 말고 마음의 준비를 하고, 둘째로 장작을 준비하고, 셋째로 아미타경을 읽어달라는 당부를 했다. 그래서 상좌스님이 한 번 읽어 드리니 고맙다는 인사를 했다. 5일 전에는 마을의 신도들에게 인사를 하고, 3일 전에는 상좌스님들을 불러놓고 고맙다고 하며 '어차피 신세진 것 끝까지 져야 되겠다.'며 사후의 후신을 부탁했다. 입적하기 전 고구마를 먹고 싶어 하여 상좌스님이 준비해서 드렸는데, 체기가 있었다. 체기가 가신 뒤에 정신이 맑아지면서 “봉곡사 터가 좋은 곳이라 제방 30년보다 봉곡사에서의 5년이 더 유익했다.” 라고 말했다. 평소에도 스님은 '봉곡사는 해태심[2]이 나지 않고 새록새록 정신이 새로워지는 곳' 이라는 말을 자주 했다.

1982년 음력 2월 25일 새벽 5시 30분, 스님은 봉곡사에서 세수 84세, 법랍 36세로 입적했다.

수원 봉녕사 묘엄스님이 법주를 맡아 49재를 올리는데, 평소 일광스님이 좋아하는 음식을 잘 알고 있었기에 찰밥, 잡채, 적 등을 골고루 준비하여 차렸다. 하지만 제상이 너무 초라하게 보였는지 묘엄스님이 “성주야! 음식을 놓았으나 이렇게 초라하다. 한번 봐라.” 했다. 그리고 스님의 뜻을 어겨서 그렇다며 음식을 다 치우게 하고 그 자리에 꽃을 놓으니 제상이 확연히 드러났다.

일광스님은 입적할 때 “내가 죽거든 나는 염불은 싫다. 그건 내가 많이 했으니까 다만 ‘스님, 공부합시다.’ 이렇게 말하며 죽비 치고 너희들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앉아주어라! 제상에는 절대 음식을 놓지 마라!” 라는 말을 남겼었다.

일광스님의 수계제자로는 지우(至牛)·태헌·성주(性珠)스님 등이 있다.

김천 봉곡사

[봉곡사 전경]
사진출처:네이버블로그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9594jh&logNo=221285151162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922년(태조 5)에 승려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내용전설에 의하면, 도선이 산 너머에 있는 구성면 연곡(燕谷)에 절터를 닦고 목수를 불러 재목을 다듬는데, 까마귀들이 날아와서 재목을 다듬고 난 조각들을 자꾸 물어가기에 신기하게 생각하고 따라가 보니 지금의 봉곡사 터였다.그 자리가 더 훌륭한 곳임을 판단한 도선은 자신이 미물인 새만도 못하다고 탄식하면서 자리를 옮겨지었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래되지 않으나 전성기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40여동의 당우와 오층석탑·석교(石橋) 등이 있었으며, 승려 1,000여명이 기거하였고 경남 일원과 전북 일원까지 말사(末寺)를 거느렸던 큰 절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소규모로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명부전·동상실(東上室)을 비롯하여 부속건물 2동이 있다. 대웅전은 1707년(숙종 33)에 세 번째의 중수를 거쳐 1916년에 단청과 함께 중수되었으며, 명부전은 1690년에 승려 대완(大完)이 중건하였고, 1908년에 중수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봉곡사(鳳谷寺))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803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 뜨란출판사, 2007, pp. 677~684.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364.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일광(一光)스님 본항목 일광스님(一光, 1899~1982) 一光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일광스님(一光,_1899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일광(一光)스님 일엽문중(一葉) ~의 일원이다
일광(一光)스님 일엽(一葉)스님 ~의 수계제자이다
일광(一光)스님 예산 수덕사 견성암 ~에서 출가하다
일광(一光)스님 안거 ~을(를) 성만하다 구례 천은사, 부산 범어사 대성암(청룡동), 양산 통도사 취운암, 진주 대원사 등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로 가기

지도

  • 봉곡사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880



주석

  1. 손님을 보살피는 소임
  2. 6폐심(蔽心) 중의 하나. 악을 끊고 선을 닦는 일에 진력하지 않는 마음 작용.


다른 비구니 스님

각림스님(覺棽, 1927년생) 각심스님(覺心, 1936년생) 경도스님(敬道, 1941년생) 경륜스님(暻輪, 1953년생) 경문스님(京門, 1963년생)
경법스님(敬法, 1922년생) 경순스님(景順, 1925년생) 경신스님(敬信, 1947년생) 경원스님(庚圓, 1960년생) 경주스님(敬柱, 1935년생)
경준스님(敬俊, 1933년생) 경훤스님(敬昍, 1946년생) 경희스님(慶喜, 1931년생) 계수스님(桂修, 1946년생) 계전스님(戒田, 1889년생)
계주스님(季珠, 1914년생) 계환스님(戒環, 1953년생) 관월스님(觀月, 1904년생) 관정스님(觀晶, 1937년생) 관주스님(觀柱, 1922년생)
광옥스님(光玉, 1943년생) 광우스님(光雨, 1926년생) 광호스님(光毫, 1915년생) 금룡스님(金龍, 1892년생) 긍탄스님(亘坦, 1885년생)
뇌묵스님(雷默, 1919년생) 능인스님(能忍, 1944년생) 능인스님(能仁, 1946년생) 대각스님(大覺, 1914년생) 대영스님(大英, 1903년생)
대우스님(大愚, 1949년생) 대은스님(大恩, 1852년생) 대행스님(大行, 1927년생) 대현스님(大玄, 1916년생) 대현스님(大玄, 1957년생)
덕념스님(德念, 19세기중엽년생) 덕수스님(德修, 1922년생) 덕운스님(德雲, 1942년생) 도광스님(度光, 1952년생) 도문스님(道門, 1942년생)
도상스님(道常, 1937년생) 도성스님(道成, 1922년생) 도연스님(道鍊, 1911년생) 도원스님(道圓, 1904년생) 도준스님(道準, 1900년생)
도헌스님(度憲, 1939년생) 도훈스님(道勳, 1933년생) 동근스님(東根, 1951년생) 동성스님(東城, 1913년생) 동현스님(東玄, 1945년생)
동희스님(東熙, 1945년생) 만선스님(萬善, 1883년생) 만선스님(萬善, 1906년생) 만선스님(萬善, 996년생) 만성스님(萬性, 1897년생)
명길스님(明吉, 1931년생) 명륜스님(明倫, 1937년생) 명성스님(眀星, 1931년생) 명수스님(明洙, 1925년생) 명심스님(明心, 1947년생)
명안스님(明岸, 1941년생) 명오스님(明悟, 1916년생) 명완스님(明完, 1937년생) 명주스님(明珠, 1904년생) 명철스님(明哲, 1939년생)
묘각스님(妙覺, 1928년생) 묘각스님(妙覺, 1942년생) 묘관스님(妙觀, 1936년생) 묘관스님(妙觀, 1948년생) 묘광스님(妙硄, 1946년생)
묘길스님(妙吉, 1900년생) 묘담스님(妙湛, 1776년생) 묘순스님(妙洵, 1946년생) 묘엄스님(妙嚴, 1931년생) 묘운스님(妙雲, 1921년생)
묘전스님(妙全, 1938년생) 묘정스님(妙精, 1943년생) 묘정스님(妙靜, 1949년생) 묘찬스님(妙璨, 1926년생) 묘희스님(妙喜, 1937년생)
무구스님(無垢, 1959년생) 무진스님(無盡, 외국인) 무진스님(無盡, 1954년생) 문수스님(紋秀, 1939년생) 백졸스님(百拙, 1936년생)
범조스님(梵早, 1941년생) 법공스님(法空, 1471년생) 법공스님(法空, 1937년생) 법농스님(法農, 1962년생) 법능스님(法能, 1932년생)
법륜스님(法倫, 1948년생) 법선스님(法船, 1899년생) 법성스님(法性, 1914년생) 법성스님(法惺, 1938년생) 법성스님(法性, 1940년생)
법용스님(法涌, 1936년생) 법운스님(法雲, 1927년생) 법운스님(法雲, 1937년생) 법인스님(法印, 1930년생) 법일스님(法一, 1904년생)
법전스님(法田, 1927년생) 법전스님(法典, 1945년생) 법종스님(法宗, 1945년생) 법진스님(法眞, 1942년생) 법천스님(法泉, 1944년생)
법형스님(法衡, 1921년생) 법홍스님(法弘, 1943년생) 법희스님(法喜, 1887년생) 법희스님(法稀, 1923년생) 법희스님(法希, 1930년생)
법희스님(法熺, 1952년생) 보각스님(普覺, 1904년생) 보각스님(寶覺, 1938년생) 보명스님(寶明, 1946년생) 보명스님(寶明, 1954년생)
보문스님(普門, 1938년생) 보선스님(普善, 1946년생) 보영스님(普暎, 1937년생) 보원스님(普願, 1944년생) 보인스님(寶仁, 1924년생)
보인스님(普仁, 1933년생) 보현스님(普賢, 1934년생) 보화스님(普和, 1933년생) 본각스님(本覺, 1952년생) 본공스님(本空, 1907년생)
봉려관스님(蓬廬觀, 1865년생) 불필스님(不必, 1937년생) 상근스님(祥根, 1872년생) 상덕스님(常德, 1951년생) 상덕스님(常德, 1952년생)
상덕스님(尙悳, 1925년생) 상락스님(常樂, 1928년생) 상륜스님(相侖, 1929년생) 상명스님(尙明, 1909년생) 상원스님(相源, 1939년생)
상조스님(常照, 1951년생) 상훈스님(常熏, 1944년생) 서용스님(瑞庸, 1948년생) 선경스님(禪敬, 1904년생) 선광스님(善光, 1949년생)
선재스님(善財, 1956년생) 선주스님(禪周, 1938년생) 선진스님(善眞, 1961년생) 선행스님(善行, 1934년생) 선혜스님(善慧, 1911년생)
설오스님(說吾, 1958년생) 설호스님(雪皓, 1933년생) 성경스님(晟鏡, 1941년생) 성관스님(性觀, 1940년생) 성관스님(成觀, 1951년생)
성덕스님(盛德, 1942년생) 성륜스님(性輪, 1918년생) 성림스님(成林, 1916년생) 성문스님(性文, 1893년생) 성법스님(性法, 1929년생)
성수스님(性樹, 1948년생) 성연스님(性蓮, 1920년생) 성연스님(聖蓮, 1928년생) 성우스님(惺牛, 1918년생) 성원스님(性源, 1918년생)
성월스님(性月, 1947년생) 성일스님(性一, 1944년생) 성주스님(性主, 1825년생) 성주스님(性住, 1938년생) 성주스님(性珠, 1946년생)
성지스님(聖智, 1926년생) 성진스님(性眞, 1896년생) 성총스님(聖叢, 1944년생) 성타스님(性陀, 1934년생) 성탄스님(性坦, 1911년생)
성해스님(性海, 1889년생) 성현스님(聖賢, 1927년생) 세등스님(世燈, 1926년생) 소림스님(昭林, 1937년생) 수옥스님(守玉, 1902년생)
수인스님(守仁, 1779년생) 수인스님(守仁, 1899년생) 수진스님(守珍, 1916년생) 수진스님(修眞, 1950년생) 수현스님(修賢, 1940년생)
수현스님(修賢, 1941년생) 수환스님(修還, 1950년생) 순희스님(順姬, 1917년생) 신전스님(信典, 1934년생) 연호스님(蓮湖, 1930년생)
영수스님(暎修, 1941년생) 영운스님(靈雲, 1946년생) 영원스님(盈圓, 1949년생) 영춘스님(永春, 1894년생) 예순스님(禮順, 1587년생)
운달스님(雲達, 1942년생) 원오스님(圓悟, 1933년생) 원표스님(圓表, 1951년생) 월혜스님(月慧, 1895년생) 육년스님(六年, 1906년생)
육문스님(六文, 1946년생) 윤호스님(輪浩, 1907년생) 은영스님(恩榮, 1910년생) 응민스님(應旼, 1923년생) 인성스님(仁成, 1901년생)
인완스님(仁完, 1930년생) 인정스님(仁貞, 1899년생) 인허스님(印虛, 1911년생) 인홍스님(仁弘, 1908년생) 인화스님(忍和, 1912년생)
일광스님(一光, 1899년생) 일선스님(一禪, 1952년생) 일연스님(一衍, 1947년생) 일엽스님(一葉, 1896년생) 일조스님(日照, 1910년생)
일지스님(逸智, 1944년생) 일초스님(一超, 1943년생) 일현스님(一玄, 1952년생) 일홍스님(一弘, 1939년생) 일효스님(一曉, 1934년생)
자광스님(慈光, 1936년생) 자득스님(慈得, 1945년생) 자민스님(慈珉, 1939년생) 자산스님(慈山, 1933년생) 자원스님(慈元, 1937년생)
자윤스님(慈允, 1928년생) 자은스님(慈恩, 1943년생) 자현스님(慈賢, 1896년생) 장일스님(長一, 1916년생) 재근스님(在根, 1940년생)
재문스님(載文, 1943년생) 재현스님(在玄, 1946년생) 재호스님(宰毫, 1938년생) 재홍스님(在洪, 1931년생) 적조스님(寂照, 1942년생)
정관스님(靜觀, 1945년생) 정덕스님(正德, 1933년생) 정률스님(廷律, 1963년생) 정명스님(淨明, 1940년생) 정명스님(正明, 1954년생)
정목스님(正牧, 1960년생) 정묘스님(靜妙, 1941년생) 정성스님(定星, 1940년생) 정수스님(貞守, 1939년생) 정수스님(淨洙, 1941년생)
정심스님(定心, 1918년생) 정심스님(正心, 1925년생) 정안스님(正眼, 1950년생) 정안스님(淨岸, 1951년생) 정운스님(淨雲, 1954년생)
정원스님(正圓, 1939년생) 정인스님(正忍, 1946년생) 정일스님(淨日, 1934년생) 정행스님(淨行, 1902년생) 정화스님(淨華, 1922년생)
정화스님(貞和, 1923년생) 종수스님(宗秀, 1922년생) 종수스님(鍾修, 1922년생) 종식스님(宗植, 1944년생) 종실스님(宗實, 1951년생)
지광스님(志光, 1934년생) 지광스님(智光, 외국인) 지명스님(智明, 1921년생) 지문스님(志門, 1958년생) 지성스님(志性, 1939년생)
지순스님(芝順, 1913년생) 지연스님(知衍, 1947년생) 지오스님(智悟, 1955년생) 지우스님(至牛, 1935년생) 지원스님(知元, 1931년생)
지원스님(智圓, 1938년생) 지원스님(智願, 1942년생) 지인스님(智因, 1937년생) 지행스님(智行, 1941년생) 지향스님(智向, 1941년생)
지현스님(智玄, 1916년생) 지현스님(智賢, 1933년생) 지형스님(志炯, 1947년생) 지호스님(智毫, 1956년생) 지환스님(知幻, 1261년생)
지환스님(智環, 1936년생) 지훈스님(志訓, 1947년생) 진관스님(眞觀, 1928년생) 진오스님(眞悟, 1904년생) 진우스님(眞愚, 1934년생)
진우스님(眞愚, 1949년생) 창법스님(昌法, 1918년생) 창수스님(昌守, 1842년생) 창호스님(彰浩, 1889년생) 천일스님(天日, 1912년생)
청룡스님(靑龍, 1925년생) 쾌민스님(快敏, 1916년생) 쾌유스님(快愈, 1907년생) 탁연스님(卓然, 1949년생) 탄형스님(呑炯, 1948년생)
태경스님(泰鏡, 1930년생) 태구스님(泰具, 1920년생) 하경스님(荷景, 1937년생) 해성스님(海成, 1958년생) 해운스님(海雲, 1920년생)
해주스님(海住, 1951년생) 행원스님(行願, 1927년생) 허경스님(虛鏡, 1440년생) 현각스님(玄覺, 1935년생) 현묵스님(炫默, 1932년생)
현성스님(賢星, 1945년생) 현수스님(賢秀, 1943년생) 현정스님(玄定, 1948년생) 현진스님(玄眞, 1934년생) 현진스님(玄眞, 1937년생)
현찬스님(賢讚, 1934년생) 현행스님(賢行, 1928년생) 혜경스님(慧鏡, 1924년생) 혜광스님(慧光, 1940년생) 혜근스님(慧根, 1935년생)
혜돈스님(慧頓, 1949년생) 혜등스님(慧燈, 1946년생) 혜명스님(慧明, 1917년생) 혜문스님(慧門, 1930년생) 혜소스님(慧沼, 1931년생)
혜안스님(慧眼, 1912년생) 혜안스님(慧眼, 1923년생) 혜옥스님(慧玉, 1901년생) 혜운스님(慧雲, 1911년생) 혜원스님(慧圓, 851년생)
혜은스님(慧隱, 1937년생) 혜일스님(慧日, 1919년생) 혜일스님(慧日, 1947년생) 혜전스님(慧田, 1929년생) 혜종스님(慧宗, 1930년생)
혜주스님(慧珠, 1925년생) 혜준스님(慧俊, 1935년생) 혜춘스님(慧春, 1919년생) 혜해스님(慧海, 1921년생) 회선스님(會善, 1926년생)
효성스님(曉星, 1898년생) 효성스님(曉惺, 1927년생) 효성스님(曉星, 1948년생) 효천스님(曉天, 1941년생) 효탄스님(曉呑, 1955년생)
희선스님(喜善, 1929년생) 희원스님(喜圓, 1951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