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성주스님(性珠, 1946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50번째 줄: 50번째 줄:
 
|2004  || 봉곡사 총무
 
|2004  || 봉곡사 총무
 
|-
 
|-
| 2020  || 봉곡사 주지
+
|2020  || 봉곡사 주지
 
|-
 
|-
 
|}
 
|}
64번째 줄: 64번째 줄:
  
 
==활동 및 공헌==
 
==활동 및 공헌==
 
 
  
 
===출가===
 
===출가===
 +
[[File:289-01.jpg|섬네일|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38]]
 +
[[File:289-02.jpg|섬네일|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39]]
 +
[[File:289-03.jpg|섬네일|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40]]
 +
[[File:289-04.jpg|섬네일|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41]]
  
 
향림(香林) 성주(性珠)스님은 1946년 12월 27일 충북 제원군 청풍면 양평리에서 아버지 이태하와 어머니 달성 서씨 서임석의 1남 1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이며, 이름은 이은직이다. </br>
 
향림(香林) 성주(性珠)스님은 1946년 12월 27일 충북 제원군 청풍면 양평리에서 아버지 이태하와 어머니 달성 서씨 서임석의 1남 1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이며, 이름은 이은직이다. </br>
스님의 나이 17세 되던 무렵은 불교종단 정화시기로 비구와 대처승이 대립하는 와중이었다. 그해 여름 한 비구스님이 스님의 동네에 와서 머물고 있었다. 그 스님이 어찌나 좋아 보였던지 성주스님은 무작정 집을 나와 해인사 홍제암으로 갔다. 그러나 인연이 없었는지 그곳의 스님 소개로 통도사 취운암으로 가게 되었다. 성주스님은 통도사 취운암에서 [[일광스님(一光, 1899生, 비구니)|일광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1962년 음력 9월에 삭발염의하였다. 그로부터 6개월 뒤인 1963년 3월 15일 통도사 극락암에서 경봉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한 성주스님은 행자 시절에 이미 『치문』과 『사집』을 모두 공부하였다.
+
스님의 나이 17세 되던 무렵은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05928 불교종단 정화]시기로 비구와 대처승이 대립하는 와중이었다. 그해 여름 한 비구스님이 스님의 동네에 와서 머물고 있었다. 그 스님이 어찌나 좋아 보였던지 성주스님은 무작정 집을 나와 해인사 홍제암으로 갔다. 그러나 인연이 없었는지 그곳의 스님 소개로 통도사 취운암으로 가게 되었다. 성주스님은 통도사 취운암에서 [[일광스님(一光, 1899生, 비구니)|일광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1962년 음력 9월에 삭발염의하였다. 그로부터 6개월 뒤인 1963년 3월 15일 통도사 극락암에서 경봉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한 성주스님은 행자 시절에 이미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9048 『치문』]과 『사집』<ref> 선종에서 중시하는 것으로, 불교를 학습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네 가지 책. 곧 《서장(書狀)》, 《도서(都書)》, 《선요(禪要)》, 《절요(節要)》를 이른다. </ref>을 모두 공부하였다.
  
 
===수학과 수행===
 
===수학과 수행===
 
+
스님의 효심은 참으로 각별하여 1967년 22세의 나이로 운문사 강원에 입학하면서 은사스님을 차마 홀로 둘 수가 없어 모시고 함께 들어갔다. 스님은 은사스님을 시봉하면서 곧바로 사교반(능엄반)<ref> 여러 설이 있으나 보통 능엄경, 기신론, 금강경, 원각경의 4과목을 강원에서는 4교라고 한다. </ref>으로 들어가 1969년에 대교<ref>강원에서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4775  『화엄경』]과 선에 대한 주요 문헌을 공부하는 단계</ref>를 수료하였다. 그해 겨울 양진암에 방부를 들이고, 1971년 하안거까지 1년 6개월 동안 안거를 성만하였다. 1970년 3월 15일 범어사에서 석암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계한 스님은 이듬해 내원사에서 동안거를 성만하고, 이후에는 남해 보리암에서 백일기도를 하였다. 스님은 1972년부터 해인사 약수암, 삼선암에서 안거를 성만하고, 1974년에는 석남사, 백흥암 등에서 하안거와 동안거, 다시 하안거를 계속하여 3안거를 성만하였다. 그 다음해에는 청암사에 들어가 겨울을 났다. 1974년부터 속리산 성불사에서 은사스님을 모시고 5년을 머물렀다. 그리고 1979년에 현재의 봉곡사로 왔다.
스님의 효심은 참으로 각별하여 1967년 22세의 나이로 운문사 강원에 입학하면서 은사스님을 차마 홀로 둘 수가 없어 모시고 함께 들어갔다. 스님은 은사스님을 시봉하면서 곧바로 사교반(능엄반)반으로 들어가 1969년에 대교를 수료하였다. 그해 겨울 양진암에 방부를 들이고, 1971년 하안거까지 1년 6개월 동안 안거를 성만하였다. 1970년 3월 15일 범어사에서 석암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계한 스님은 이듬해 내원사에서 동안거를 성만하고, 이후에는 남해 보리암에서 백일기도를 하였다. 스님은 1972년부터 해인사 약수암, 삼선암에서 안거를 성만하고, 1974년에는 석남사, 백흥암 등에서 하안거와 동안거, 다시 하안거를 계속하여 3안거를 성만하였다. 그 다음해에는 청암사에 들어가 겨울을 났다. 1974년부터 속리산 성불사에서 은사스님을 모시고 5년을 머물렀다. 그리고 1979년에 현재의 봉곡사로 왔다.
 
  
 
===봉곡사로 오다===
 
===봉곡사로 오다===
 
 
스님은 성불사가 사설 사암이다 보니 늘 신세를 지고 사는 것이 부담스러웠다. 방부를 들이려 해도 이것저것 걱정이 되고 신경 쓰는 일이 많은 게 싫어서 봉곡사로 오게 되었다. 성불사에서 스님은 5년 동안 살았으나 양말 한 짝도 얻어 쓰지 않을 정도로 꼿꼿하게 살아서인지 성불사에서 나올 당시 사찰의 보살님이 두루마기를 한 벌 해주었다고 한다. 스님은 옷을 안 받으려고 하였지만 간곡히 권하는 보살님의 성의를 무시할 수가 없어 하는 수 없이 입고 나왔다. 또한 스님은 그 사찰을 나올 때 다음에 누가 와서 살더라도 불편함이 없게끔 다 준비해 놓고 나왔다. 그러나 정작 봉곡사에 왔을 때에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어서 힘이 많이 들었다. 봉곡사는 1300년의 유구한 세월을 이겨온 고찰이었으나, 스님이 당도했을 당시의 마당은 돌밭이나 다름이 없었다. 도저히 사람이 살 수가 없는 상황이라 여러 가지를 손보며 살아야 했다. 스님이 팔을 걷어 부치고 중창 불사를 한 결과 마침내 오늘과 같은 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스님은 성불사가 사설 사암이다 보니 늘 신세를 지고 사는 것이 부담스러웠다. 방부를 들이려 해도 이것저것 걱정이 되고 신경 쓰는 일이 많은 게 싫어서 봉곡사로 오게 되었다. 성불사에서 스님은 5년 동안 살았으나 양말 한 짝도 얻어 쓰지 않을 정도로 꼿꼿하게 살아서인지 성불사에서 나올 당시 사찰의 보살님이 두루마기를 한 벌 해주었다고 한다. 스님은 옷을 안 받으려고 하였지만 간곡히 권하는 보살님의 성의를 무시할 수가 없어 하는 수 없이 입고 나왔다. 또한 스님은 그 사찰을 나올 때 다음에 누가 와서 살더라도 불편함이 없게끔 다 준비해 놓고 나왔다. 그러나 정작 봉곡사에 왔을 때에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어서 힘이 많이 들었다. 봉곡사는 1300년의 유구한 세월을 이겨온 고찰이었으나, 스님이 당도했을 당시의 마당은 돌밭이나 다름이 없었다. 도저히 사람이 살 수가 없는 상황이라 여러 가지를 손보며 살아야 했다. 스님이 팔을 걷어 부치고 중창 불사를 한 결과 마침내 오늘과 같은 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은사이신 [[일광스님(一光, 1899生, 비구니)|일광(一光)스님]]===
 
===은사이신 [[일광스님(一光, 1899生, 비구니)|일광(一光)스님]]===
 
 
스님은 은사스님을 19년 동안 모시고 살았는데, 은사스님에 대해 ‘성품이 지순차순하며 자비하고 겸손한 분’이라고 말한다. 은사스님은 엄할 때는 엄했지만 당당하고 고요한 분이셨다. 은사스님은 항상 ‘은현동시隱現同時, 즉 나타날 때나 아닐 때나 똑같이 하라.’는 말씀을 해주셨다. 은사스님의 성품을 그대로 닮았는지 스님이 운문사에 있을 때에는 도반스님들이 보증수표라고 할 만큼 모든 일에 빈틈이 없었다.
 
스님은 은사스님을 19년 동안 모시고 살았는데, 은사스님에 대해 ‘성품이 지순차순하며 자비하고 겸손한 분’이라고 말한다. 은사스님은 엄할 때는 엄했지만 당당하고 고요한 분이셨다. 은사스님은 항상 ‘은현동시隱現同時, 즉 나타날 때나 아닐 때나 똑같이 하라.’는 말씀을 해주셨다. 은사스님의 성품을 그대로 닮았는지 스님이 운문사에 있을 때에는 도반스님들이 보증수표라고 할 만큼 모든 일에 빈틈이 없었다.
  
 
===봉곡사의 엄격한 생활===
 
===봉곡사의 엄격한 생활===
 
 
도반스님들이 봉곡사에 와서 보고는 ‘독살이인 줄 알고 왔더니 대중살이보다 더 엄하다.’며 혀를 내둘렀다고 한다. 봉곡사의 하루 일과는 새벽 3시에 기상하여 밤 11시에 취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스님은 ‘사찰의 기강은 풀어 놓으면 풀어 놓는 대로 한도 끝도 없다. 동여매면 매는 대로 되어진다.’고 강조한다. 봉곡사의 하루 일과를 살펴보면, 아침 9시 전까지는 1,000여 평의 도량을 청소하고, 낮에는 소임을 마치고, 저녁 5시 공양 후에는 낫과 호미를 들고 들에 나가서 일을 해야만 한다. 평소에 스님은 백장청규를 철칙으로 실천해 나가며 채소와 야채는 직접 심고 가꾸어 자급자족으로 해결하고 있다. 스님은 지병인 허리 통증이 있지만, 하루에 8시간 정도를 정진한다. 스님의 말씀인즉 ‘아프다고 신경 쓰면 아무것도 못한다.’는 것이다. 동여매면 통증을 완화할 수가 있다고 한다.
 
도반스님들이 봉곡사에 와서 보고는 ‘독살이인 줄 알고 왔더니 대중살이보다 더 엄하다.’며 혀를 내둘렀다고 한다. 봉곡사의 하루 일과는 새벽 3시에 기상하여 밤 11시에 취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스님은 ‘사찰의 기강은 풀어 놓으면 풀어 놓는 대로 한도 끝도 없다. 동여매면 매는 대로 되어진다.’고 강조한다. 봉곡사의 하루 일과를 살펴보면, 아침 9시 전까지는 1,000여 평의 도량을 청소하고, 낮에는 소임을 마치고, 저녁 5시 공양 후에는 낫과 호미를 들고 들에 나가서 일을 해야만 한다. 평소에 스님은 백장청규를 철칙으로 실천해 나가며 채소와 야채는 직접 심고 가꾸어 자급자족으로 해결하고 있다. 스님은 지병인 허리 통증이 있지만, 하루에 8시간 정도를 정진한다. 스님의 말씀인즉 ‘아프다고 신경 쓰면 아무것도 못한다.’는 것이다. 동여매면 통증을 완화할 수가 있다고 한다.
2004년 현재 김천 봉곡사에서 수행 정진 중인 성주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동현·현탁·현조스님이 있다
+
2020년 김천 봉곡사에서 수행 정진 중인 성주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동현·현탁·현조스님이 있다
 
 
 
  
 
==김천 봉곡사==
 
==김천 봉곡사==
96번째 줄: 92번째 줄:
 
전설에 의하면, 도선이 산 너머에 있는 구성면 연곡(燕谷)에 절터를 닦고 목수를 불러 재목을 다듬는데, 까마귀들이 날아와서 재목을 다듬고 난 조각들을 자꾸 물어가기에 신기하게 생각하고 따라가 보니 지금의 봉곡사 터였다.그 자리가 더 훌륭한 곳임을 판단한 도선은 자신이 미물인 새만도 못하다고 탄식하면서 자리를 옮겨지었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래되지 않으나 전성기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40여동의 당우와 오층석탑·석교(石橋) 등이 있었으며, 승려 1,000여명이 기거하였고 경남 일원과 전북 일원까지 말사(末寺)를 거느렸던 큰 절이었다고 한다.  </br>
 
전설에 의하면, 도선이 산 너머에 있는 구성면 연곡(燕谷)에 절터를 닦고 목수를 불러 재목을 다듬는데, 까마귀들이 날아와서 재목을 다듬고 난 조각들을 자꾸 물어가기에 신기하게 생각하고 따라가 보니 지금의 봉곡사 터였다.그 자리가 더 훌륭한 곳임을 판단한 도선은 자신이 미물인 새만도 못하다고 탄식하면서 자리를 옮겨지었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래되지 않으나 전성기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40여동의 당우와 오층석탑·석교(石橋) 등이 있었으며, 승려 1,000여명이 기거하였고 경남 일원과 전북 일원까지 말사(末寺)를 거느렸던 큰 절이었다고 한다.  </br>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소규모로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명부전·동상실(東上室)을 비롯하여 부속건물 2동이 있다. 대웅전은 1707년(숙종 33)에 세 번째의 중수를 거쳐 1916년에 단청과 함께 중수되었으며, 명부전은 1690년에 승려 대완(大完)이 중건하였고, 1908년에 중수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소규모로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명부전·동상실(東上室)을 비롯하여 부속건물 2동이 있다. 대웅전은 1707년(숙종 33)에 세 번째의 중수를 거쳐 1916년에 단청과 함께 중수되었으며, 명부전은 1690년에 승려 대완(大完)이 중건하였고, 1908년에 중수하였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803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803
  
105번째 줄: 100번째 줄:
 
* 김천인터넷뉴스, 비봉산(飛鳳山) ‘봉곡사(鳳谷寺)’남과 다르다고 이를 흉보지 말일이다. (2009년) http://gcinews.com/front/news/view.do?articleId=11523
 
* 김천인터넷뉴스, 비봉산(飛鳳山) ‘봉곡사(鳳谷寺)’남과 다르다고 이를 흉보지 말일이다. (2009년) http://gcinews.com/front/news/view.do?articleId=11523
 
* 법보신문, 9. 김천 비봉산 봉곡사 (2012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3316
 
* 법보신문, 9. 김천 비봉산 봉곡사 (2012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3316
* 직지사, 봉곡사 성주스님 임명장 수여(11.18) (2020년) http://www.jikjisa.or.kr/bbs/board.php?bo_table=4010&wr_id=1268
+
* 유튜브, 비봉산 봉곡사 김천여행 (2017년) https://www.youtube.com/watch?v=ZUK3i1ly7mc
 +
* 직지사, 봉곡사 성주스님 임명장 수여 (2020년) http://www.jikjisa.or.kr/bbs/board.php?bo_table=4010&wr_id=1268
 
* 황악신문, 봉곡사 (鳳谷寺)...봉황이 점지한 골짜기 봉황의 알도 있어 (2021년) http://www.hwanga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111
 
* 황악신문, 봉곡사 (鳳谷寺)...봉황이 점지한 골짜기 봉황의 알도 있어 (2021년) http://www.hwanga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111
 
* 불교닷컴, 자장이 선택한 절터 (2022년)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51463
 
* 불교닷컴, 자장이 선택한 절터 (2022년)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51463
* 유튜브, 비봉산 봉곡사 김천여행 https://www.youtube.com/watch?v=ZUK3i1ly7mc
+
 
  
 
==시맨틱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2022년 12월 9일 (금) 13:44 판



정의

향림(香林) 성주(性珠)스님은 통도사 취운암에서 일광(一光)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김천 봉곡사를 중창불사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946 충북 제원 출생
1962 통도사 취운암에서 일광(一光)스님을 은사로 출가
1963 통도사 극락암에서 경봉(鏡峰)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65 대원사 안거 성만
1967~1969 운문사 강원 졸업
1969~1971 동화사 양진암에서 동·하안거 성만
1970 범어사에서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71 내원사에서 동안거 성만
1972~1973 해인사에서 약수암, 삼선암 하·동안거(3년) 성만
1973 청암사 주석
1974 속리산 성불사 5년간 주석
석남사 안거 성만
은해사 백흥암 안거 성만
1979 김천 봉곡사 주석, 봉곡사 중창 불사
2004 봉곡사 총무
2020 봉곡사 주지
문중 일엽문중(一葉)
수행지침 해태하지 말고 정진하자.
수계제자 동현·현탁·현조

활동 및 공헌

출가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38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39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40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141

향림(香林) 성주(性珠)스님은 1946년 12월 27일 충북 제원군 청풍면 양평리에서 아버지 이태하와 어머니 달성 서씨 서임석의 1남 1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이며, 이름은 이은직이다.
스님의 나이 17세 되던 무렵은 불교종단 정화시기로 비구와 대처승이 대립하는 와중이었다. 그해 여름 한 비구스님이 스님의 동네에 와서 머물고 있었다. 그 스님이 어찌나 좋아 보였던지 성주스님은 무작정 집을 나와 해인사 홍제암으로 갔다. 그러나 인연이 없었는지 그곳의 스님 소개로 통도사 취운암으로 가게 되었다. 성주스님은 통도사 취운암에서 일광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1962년 음력 9월에 삭발염의하였다. 그로부터 6개월 뒤인 1963년 3월 15일 통도사 극락암에서 경봉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한 성주스님은 행자 시절에 이미 『치문』과 『사집』[1]을 모두 공부하였다.

수학과 수행

스님의 효심은 참으로 각별하여 1967년 22세의 나이로 운문사 강원에 입학하면서 은사스님을 차마 홀로 둘 수가 없어 모시고 함께 들어갔다. 스님은 은사스님을 시봉하면서 곧바로 사교반(능엄반)[2]으로 들어가 1969년에 대교[3]를 수료하였다. 그해 겨울 양진암에 방부를 들이고, 1971년 하안거까지 1년 6개월 동안 안거를 성만하였다. 1970년 3월 15일 범어사에서 석암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계한 스님은 이듬해 내원사에서 동안거를 성만하고, 이후에는 남해 보리암에서 백일기도를 하였다. 스님은 1972년부터 해인사 약수암, 삼선암에서 안거를 성만하고, 1974년에는 석남사, 백흥암 등에서 하안거와 동안거, 다시 하안거를 계속하여 3안거를 성만하였다. 그 다음해에는 청암사에 들어가 겨울을 났다. 1974년부터 속리산 성불사에서 은사스님을 모시고 5년을 머물렀다. 그리고 1979년에 현재의 봉곡사로 왔다.

봉곡사로 오다

스님은 성불사가 사설 사암이다 보니 늘 신세를 지고 사는 것이 부담스러웠다. 방부를 들이려 해도 이것저것 걱정이 되고 신경 쓰는 일이 많은 게 싫어서 봉곡사로 오게 되었다. 성불사에서 스님은 5년 동안 살았으나 양말 한 짝도 얻어 쓰지 않을 정도로 꼿꼿하게 살아서인지 성불사에서 나올 당시 사찰의 보살님이 두루마기를 한 벌 해주었다고 한다. 스님은 옷을 안 받으려고 하였지만 간곡히 권하는 보살님의 성의를 무시할 수가 없어 하는 수 없이 입고 나왔다. 또한 스님은 그 사찰을 나올 때 다음에 누가 와서 살더라도 불편함이 없게끔 다 준비해 놓고 나왔다. 그러나 정작 봉곡사에 왔을 때에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어서 힘이 많이 들었다. 봉곡사는 1300년의 유구한 세월을 이겨온 고찰이었으나, 스님이 당도했을 당시의 마당은 돌밭이나 다름이 없었다. 도저히 사람이 살 수가 없는 상황이라 여러 가지를 손보며 살아야 했다. 스님이 팔을 걷어 부치고 중창 불사를 한 결과 마침내 오늘과 같은 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은사이신 일광(一光)스님

스님은 은사스님을 19년 동안 모시고 살았는데, 은사스님에 대해 ‘성품이 지순차순하며 자비하고 겸손한 분’이라고 말한다. 은사스님은 엄할 때는 엄했지만 당당하고 고요한 분이셨다. 은사스님은 항상 ‘은현동시隱現同時, 즉 나타날 때나 아닐 때나 똑같이 하라.’는 말씀을 해주셨다. 은사스님의 성품을 그대로 닮았는지 스님이 운문사에 있을 때에는 도반스님들이 보증수표라고 할 만큼 모든 일에 빈틈이 없었다.

봉곡사의 엄격한 생활

도반스님들이 봉곡사에 와서 보고는 ‘독살이인 줄 알고 왔더니 대중살이보다 더 엄하다.’며 혀를 내둘렀다고 한다. 봉곡사의 하루 일과는 새벽 3시에 기상하여 밤 11시에 취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스님은 ‘사찰의 기강은 풀어 놓으면 풀어 놓는 대로 한도 끝도 없다. 동여매면 매는 대로 되어진다.’고 강조한다. 봉곡사의 하루 일과를 살펴보면, 아침 9시 전까지는 1,000여 평의 도량을 청소하고, 낮에는 소임을 마치고, 저녁 5시 공양 후에는 낫과 호미를 들고 들에 나가서 일을 해야만 한다. 평소에 스님은 백장청규를 철칙으로 실천해 나가며 채소와 야채는 직접 심고 가꾸어 자급자족으로 해결하고 있다. 스님은 지병인 허리 통증이 있지만, 하루에 8시간 정도를 정진한다. 스님의 말씀인즉 ‘아프다고 신경 쓰면 아무것도 못한다.’는 것이다. 동여매면 통증을 완화할 수가 있다고 한다. 2020년 김천 봉곡사에서 수행 정진 중인 성주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동현·현탁·현조스님이 있다

김천 봉곡사

김천 봉곡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출처: 만다라불교문화원(다음카페) https://cafe.daum.net/mdala/PzmK/839?q=김천+봉곡사&re=1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922년(태조 5)에 승려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도선이 산 너머에 있는 구성면 연곡(燕谷)에 절터를 닦고 목수를 불러 재목을 다듬는데, 까마귀들이 날아와서 재목을 다듬고 난 조각들을 자꾸 물어가기에 신기하게 생각하고 따라가 보니 지금의 봉곡사 터였다.그 자리가 더 훌륭한 곳임을 판단한 도선은 자신이 미물인 새만도 못하다고 탄식하면서 자리를 옮겨지었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래되지 않으나 전성기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40여동의 당우와 오층석탑·석교(石橋) 등이 있었으며, 승려 1,000여명이 기거하였고 경남 일원과 전북 일원까지 말사(末寺)를 거느렸던 큰 절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소규모로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명부전·동상실(東上室)을 비롯하여 부속건물 2동이 있다. 대웅전은 1707년(숙종 33)에 세 번째의 중수를 거쳐 1916년에 단청과 함께 중수되었으며, 명부전은 1690년에 승려 대완(大完)이 중건하였고, 1908년에 중수하였다.

참고자료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성주(性珠)스님 본항목 성주스님(性珠, 1946~) 性住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성주스님(性珠,_1946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성주(性住)스님 일엽문중(一葉) ~의 일원이다
성주(性住)스님 일광(一光)스님 ~의 수계제자이다
성주(性住)스님 양산 통도사 취운암 ~에서 출가하다
성주(性住)스님 경봉(鏡峰)스님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성주(性住)스님 석암(昔岩)스님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성주(性住)스님 김천 봉곡사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
성주(性住)스님 김천 봉곡사 ~을(를) 중창하다
성주(性珠)스님 안거 ~을(를) 성만하다 산청 대원사, 대구 동화사 양진암(도학동), 양산 내원사, 울주 석남사, 영천 은해사 백흥암

지도

  • 봉곡사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880



주석

  1. 선종에서 중시하는 것으로, 불교를 학습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네 가지 책. 곧 《서장(書狀)》, 《도서(都書)》, 《선요(禪要)》, 《절요(節要)》를 이른다.
  2. 여러 설이 있으나 보통 능엄경, 기신론, 금강경, 원각경의 4과목을 강원에서는 4교라고 한다.
  3. 강원에서 『화엄경』과 선에 대한 주요 문헌을 공부하는 단계


다른 비구니 스님

각림스님(覺棽, 1927년생) 묘관스님(妙觀, 1936년생) 선경스님(禪敬, 1904년생) 일광스님(一光, 1899년생) 지형스님(志炯, 1947년생)
각심스님(覺心, 1936년생) 묘관스님(妙觀, 1948년생) 선광스님(善光, 1949년생) 일선스님(一禪, 1952년생) 지호스님(智毫, 1956년생)
경도스님(敬道, 1941년생) 묘광스님(妙硄, 1946년생) 선재스님(善財, 1956년생) 일연스님(一衍, 1947년생) 지환스님(知幻, 1261년생)
경륜스님(暻輪, 1953년생) 묘길스님(妙吉, 1900년생) 선주스님(禪周, 1938년생) 일엽스님(一葉, 1896년생) 지환스님(智環, 1936년생)
경문스님(京門, 1963년생) 묘담스님(妙湛, 1776년생) 선진스님(善眞, 1961년생) 일조스님(日照, 1910년생) 지훈스님(志訓, 1947년생)
경법스님(敬法, 1922년생) 묘순스님(妙洵, 1946년생) 선행스님(善行, 1934년생) 일지스님(逸智, 1944년생) 진관스님(眞觀, 1928년생)
경순스님(景順, 1925년생) 묘엄스님(妙嚴, 1931년생) 선혜스님(善慧, 1911년생) 일초스님(一超, 1943년생) 진오스님(眞悟, 1904년생)
경신스님(敬信, 1947년생) 묘운스님(妙雲, 1921년생) 설오스님(說吾, 1958년생) 일현스님(一玄, 1952년생) 진우스님(眞愚, 1934년생)
경원스님(庚圓, 1960년생) 묘전스님(妙全, 1938년생) 설호스님(雪皓, 1933년생) 일홍스님(一弘, 1939년생) 진우스님(眞愚, 1949년생)
경주스님(敬柱, 1935년생) 묘정스님(妙精, 1943년생) 성경스님(晟鏡, 1941년생) 일효스님(一曉, 1934년생) 창법스님(昌法, 1918년생)
경준스님(敬俊, 1933년생) 묘정스님(妙靜, 1949년생) 성관스님(性觀, 1940년생) 자광스님(慈光, 1936년생) 창수스님(昌守, 1842년생)
경훤스님(敬昍, 1946년생) 묘찬스님(妙璨, 1926년생) 성관스님(成觀, 1951년생) 자득스님(慈得, 1945년생) 창호스님(彰浩, 1889년생)
경희스님(慶喜, 1931년생) 묘희스님(妙喜, 1937년생) 성덕스님(盛德, 1942년생) 자민스님(慈珉, 1939년생) 천일스님(天日, 1912년생)
계수스님(桂修, 1946년생) 무구스님(無垢, 1959년생) 성륜스님(性輪, 1918년생) 자산스님(慈山, 1933년생) 청룡스님(靑龍, 1925년생)
계전스님(戒田, 1889년생) 무진스님(無盡, 1954년생) 성림스님(成林, 1916년생) 자원스님(慈元, 1937년생) 쾌민스님(快敏, 1916년생)
계주스님(季珠, 1914년생) 문수스님(紋秀, 1939년생) 성문스님(性文, 1893년생) 자윤스님(慈允, 1928년생) 쾌유스님(快愈, 1907년생)
계환스님(戒環, 1953년생) 백졸스님(百拙, 1936년생) 성법스님(性法, 1929년생) 자은스님(慈恩, 1943년생) 탁연스님(卓然, 1949년생)
관월스님(觀月, 1904년생) 범조스님(梵早, 1941년생) 성수스님(性樹, 1948년생) 자현스님(慈賢, 1896년생) 탄형스님(呑炯, 1948년생)
관정스님(觀晶, 1937년생) 법공스님(法空, 1471년생) 성연스님(性蓮, 1920년생) 장일스님(長一, 1916년생) 태경스님(泰鏡, 1930년생)
관주스님(觀柱, 1922년생) 법공스님(法空, 1937년생) 성연스님(聖蓮, 1928년생) 재근스님(在根, 1940년생) 태구스님(泰具, 1920년생)
광옥스님(光玉, 1943년생) 법농스님(法農, 1962년생) 성우스님(惺牛, 1918년생) 재문스님(載文, 1943년생) 하경스님(荷景, 1937년생)
광우스님(光雨, 1926년생) 법능스님(法能, 1932년생) 성원스님(性源, 1918년생) 재현스님(在玄, 1946년생) 해성스님(海成, 1958년생)
광호스님(光毫, 1915년생) 법륜스님(法倫, 1948년생) 성월스님(性月, 1947년생) 재호스님(宰毫, 1938년생) 해운스님(海雲, 1920년생)
금룡스님(金龍, 1892년생) 법성스님(法性, 1914년생) 성일스님(性一, 1944년생) 재홍스님(在洪, 1931년생) 해주스님(海住, 1951년생)
긍탄스님(亘坦, 1885년생) 법성스님(法惺, 1938년생) 성주스님(性主, 1825년생) 적조스님(寂照, 1942년생) 행원스님(行願, 1927년생)
뇌묵스님(雷默, 1919년생) 법성스님(法性, 1940년생) 성주스님(性住, 1938년생) 정관스님(靜觀, 1945년생) 허경스님(虛鏡, 1440년생)
능인스님(能忍, 1944년생) 법용스님(法涌, 1936년생) 성주스님(性珠, 1946년생) 정덕스님(正德, 1933년생) 현각스님(玄覺, 1935년생)
능인스님(能仁, 1946년생) 법운스님(法雲, 1927년생) 성지스님(聖智, 1926년생) 정률스님(廷律, 1963년생) 현묵스님(炫默, 1932년생)
대각스님(大覺, 1914년생) 법운스님(法雲, 1937년생) 성진스님(性眞, 1896년생) 정명스님(淨明, 1940년생) 현성스님(賢星, 1945년생)
대영스님(大英, 1903년생) 법인스님(法印, 1930년생) 성총스님(聖叢, 1944년생) 정명스님(正明, 1954년생) 현수스님(賢秀, 1943년생)
대우스님(大愚, 1949년생) 법일스님(法一, 1904년생) 성타스님(性陀, 1934년생) 정목스님(正牧, 1960년생) 현정스님(玄定, 1948년생)
대은스님(大恩, 1852년생) 법전스님(法田, 1927년생) 성탄스님(性坦, 1911년생) 정묘스님(靜妙, 1941년생) 현진스님(玄眞, 1934년생)
대행스님(大行, 1926년생) 법전스님(法典, 1945년생) 성현스님(聖賢, 1927년생) 정성스님(定星, 1940년생) 현진스님(玄眞, 1937년생)
대현스님(大玄, 1916년생) 법종스님(法宗, 1945년생) 세등스님(世燈, 1926년생) 정수스님(貞守, 1939년생) 현찬스님(賢讚, 1934년생)
대현스님(大玄, 1957년생) 법진스님(法眞, 1942년생) 소림스님(昭林, 1937년생) 정수스님(淨洙, 1941년생) 현행스님(賢行, 1928년생)
덕수스님(德修, 1922년생) 법천스님(法泉, 1944년생) 수옥스님(守玉, 1902년생) 정심스님(定心, 1918년생) 혜경스님(慧鏡, 1924년생)
덕운스님(德雲, 1942년생) 법형스님(法衡, 1921년생) 수인스님(守仁, 1779년생) 정심스님(正心, 1925년생) 혜광스님(慧光, 1940년생)
도광스님(度光, 1952년생) 법홍스님(法弘, 1943년생) 수인스님(守仁, 1899년생) 정안스님(正眼, 1950년생) 혜근스님(慧根, 1935년생)
도문스님(道門, 1942년생) 법희스님(法喜, 1887년생) 수진스님(守珍, 1916년생) 정안스님(淨岸, 1951년생) 혜돈스님(慧頓, 1949년생)
도상스님(道常, 1937년생) 법희스님(法希, 1930년생) 수진스님(修眞, 1950년생) 정운스님(淨雲, 1954년생) 혜등스님(慧燈, 1946년생)
도성스님(道成, 1922년생) 법희스님(法熺, 1952년생) 수현스님(修賢, 1940년생) 정원스님(正圓, 1939년생) 혜명스님(慧明, 1917년생)
도연스님(道鍊, 1911년생) 보각스님(普覺, 1904년생) 수현스님(修賢, 1941년생) 정인스님(正忍, 1946년생) 혜문스님(慧門, 1930년생)
도원스님(道圓, 1904년생) 보각스님(寶覺, 1938년생) 수환스님(修還, 1950년생) 정일스님(淨日, 1934년생) 혜소스님(慧沼, 1931년생)
도준스님(道準, 1900년생) 보명스님(寶明, 1946년생) 순희스님(順姬, 1917년생) 정행스님(淨行, 1902년생) 혜안스님(慧眼, 1912년생)
도헌스님(度憲, 1939년생) 보명스님(寶明, 1954년생) 신전스님(信典, 1934년생) 정화스님(淨華, 1922년생) 혜안스님(慧眼, 1923년생)
도훈스님(道勳, 1933년생) 보문스님(普門, 1938년생) 연호스님(蓮湖, 1930년생) 정화스님(貞和, 1923년생) 혜옥스님(慧玉, 1901년생)
동근스님(東根, 1951년생) 보선스님(普善, 1946년생) 영수스님(暎修, 1941년생) 종수스님(宗秀, 1922년생) 혜운스님(慧雲, 1911년생)
동성스님(東城, 1913년생) 보영스님(普暎, 1937년생) 영운스님(靈雲, 1946년생) 종수스님(鍾修, 1922년생) 혜원스님(慧圓, 851년생)
동현스님(東玄, 1945년생) 보원스님(普願, 1944년생) 영원스님(盈圓, 1949년생) 종식스님(宗植, 1944년생) 혜은스님(慧隱, 1937년생)
동희스님(東熙, 1945년생) 보인스님(寶仁, 1924년생) 영춘스님(永春, 1894년생) 종실스님(宗實, 1951년생) 혜일스님(慧日, 1919년생)
만선스님(萬善, 1883년생) 보현스님(普賢, 1934년생) 예순스님(禮順, 1587년생) 지광스님(志光, 1934년생) 혜일스님(慧日, 1947년생)
만선스님(萬善, 1906년생) 보화스님(普和, 1933년생) 운달스님(雲達, 1942년생) 지명스님(智明, 1921년생) 혜전스님(慧田, 1929년생)
만선스님(萬善, 996년생) 본각스님(本覺, 1952년생) 원오스님(圓悟, 1933년생) 지문스님(志門, 1958년생) 혜종스님(慧宗, 1930년생)
만성스님(萬性, 1897년생) 본공스님(本空, 1907년생) 원표스님(圓表, 1951년생) 지성스님(志性, 1939년생) 혜주스님(慧珠, 1925년생)
명길스님(明吉, 1931년생) 봉려관스님(蓬廬觀, 1865년생) 월혜스님(月慧, 1895년생) 지순스님(芝順, 1913년생) 혜준스님(慧俊, 1935년생)
명륜스님(明倫, 1937년생) 불필스님(不必, 1937년생) 육년스님(六年, 1906년생) 지연스님(知衍, 1947년생) 혜춘스님(慧春, 1919년생)
명성스님(眀星, 1931년생) 상근스님(祥根, 1872년생) 육문스님(六文, 1946년생) 지오스님(智悟, 1955년생) 혜해스님(慧海, 1921년생)
명수스님(明洙, 1925년생) 상덕스님(常德, 1951년생) 윤호스님(輪浩, 1907년생) 지우스님(至牛, 1935년생) 회선스님(會善, 1926년생)
명심스님(明心, 1947년생) 상덕스님(常德, 1952년생) 은영스님(恩榮, 1910년생) 지원스님(知元, 1931년생) 효성스님(曉星, 1898년생)
명안스님(明岸, 1941년생) 상덕스님(尙悳, 1925년생) 응민스님(應旼, 1923년생) 지원스님(智圓, 1938년생) 효성스님(曉惺, 1927년생)
명오스님(明悟, 1916년생) 상락스님(常樂, 1928년생) 인성스님(仁成, 1901년생) 지원스님(智願, 1942년생) 효성스님(曉星, 1948년생)
명완스님(明完, 1937년생) 상륜스님(相侖, 1929년생) 인완스님(仁完, 1930년생) 지인스님(智因, 1937년생) 효천스님(曉天, 1941년생)
명주스님(明珠, 1904년생) 상원스님(相源, 1939년생) 인정스님(仁貞, 1899년생) 지행스님(智行, 1941년생) 효탄스님(曉呑, 1955년생)
명철스님(明哲, 1939년생) 상조스님(常照, 1951년생) 인허스님(印虛, 1911년생) 지향스님(智向, 1941년생) 희선스님(喜善, 1929년생)
묘각스님(妙覺, 1928년생) 상훈스님(常熏, 1944년생) 인홍스님(仁弘, 1908년생) 지현스님(智玄, 1916년생) 희원스님(喜圓, 1951년생)
묘각스님(妙覺, 1942년생) 서용스님(瑞庸, 1948년생) 인화스님(忍和, 1912년생) 지현스님(智賢, 1933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