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호스님(雪皓, 1933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생애) |
(→다른 비구니 스님) |
||
197번째 줄: | 197번째 줄: | ||
| [[금룡스님(金龍, 1892生, 비구니) | 금룡스님(金龍, 1892년생)]] || [[법성스님(法性, 1914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14년생)]] || [[성일스님(性一, 1944生, 비구니) | 성일스님(性一, 1944년생)]] || [[재홍스님(在洪, 1931生, 비구니) | 재홍스님(在洪, 1931년생)]] || [[해주스님(海住, 1951生, 비구니) | 해주스님(海住, 1951년생)]] | | [[금룡스님(金龍, 1892生, 비구니) | 금룡스님(金龍, 1892년생)]] || [[법성스님(法性, 1914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14년생)]] || [[성일스님(性一, 1944生, 비구니) | 성일스님(性一, 1944년생)]] || [[재홍스님(在洪, 1931生, 비구니) | 재홍스님(在洪, 1931년생)]] || [[해주스님(海住, 1951生, 비구니) | 해주스님(海住, 1951년생)]] | ||
|- | |- | ||
− | | [[긍탄스님(亘坦, 1885生, 비구니) | 긍탄스님(亘坦, 1885년생)]] || [[법성스님(法惺, 1938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惺, 1938년생)]] || [[성주스님(性主, 1825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主, 1825년생)]] || [[적조스님(寂照, 1942生, 비구니) | 적조스님(寂照, 1942년생)]] || [[행원스님(行願, | + | | [[긍탄스님(亘坦, 1885生, 비구니) | 긍탄스님(亘坦, 1885년생)]] || [[법성스님(法惺, 1938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惺, 1938년생)]] || [[성주스님(性主, 1825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主, 1825년생)]] || [[적조스님(寂照, 1942生, 비구니) | 적조스님(寂照, 1942년생)]] || [[행원스님(行願, 1927生, 비구니) | 행원스님(行願, 1927년생)]] |
|- | |- | ||
| [[뇌묵스님(雷默, 1919生, 비구니) | 뇌묵스님(雷默, 1919년생)]] || [[법성스님(法性, 1940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40년생)]] || [[성주스님(性住, 1938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住, 1938년생)]] || [[정관스님(靜觀, 1945生, 비구니) | 정관스님(靜觀, 1945년생)]] || [[허경스님(虛鏡, 1440生, 비구니) | 허경스님(虛鏡, 1440년생)]] | | [[뇌묵스님(雷默, 1919生, 비구니) | 뇌묵스님(雷默, 1919년생)]] || [[법성스님(法性, 1940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40년생)]] || [[성주스님(性住, 1938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住, 1938년생)]] || [[정관스님(靜觀, 1945生, 비구니) | 정관스님(靜觀, 1945년생)]] || [[허경스님(虛鏡, 1440生, 비구니) | 허경스님(虛鏡, 1440년생)]] |
2022년 11월 23일 (수) 15:01 판
설호(雪皓)스님 | |
---|---|
법명 | 설호(雪皓) |
법호 | 평원(平原) |
속명 | 조중환(趙重環) |
출생 | 1933.02.10. |
출가 | 1954년 |
입적 | 2021.08.12. (세수 89세, 법납 68세) |
사찰 | 동해사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동해리 485 |
특이사항 |
목차
[숨기기]정의
평원(平原) 설호(雪皓)스님은 사회봉사에 헌신한 대한민국 비구니스님이다.
생애
연도 | 내용 |
---|---|
1933 | 충남 서산 출생 |
1954 | 개심사에서 혜명(慧明)스님을 은사로 출가 |
1954 | 개심사에서 벽초(碧超)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1965 | 범어사에서 동산(東山)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범어사, 내원사, 김룡사, 견성암, 보리암, 대성암 등 선원 안거 성만 | |
1990 | 광덕사 주석 |
동해사 창건, 주지 취임 | |
1995~2000 | 동해사 중창 불사 |
2021 | 동해사에서 입적(2021.8.12, 세납 89세, 법납 68세) |
문중 | 육화(六和)문중 |
생활신조 | 일일부작(一日不作) 일일불식(一日不食) |
특기 | 서예 |
취미 | 산수(山水)를 즐긴다. |
수계제자 | 석문(昔門)·효정(曉定)·우일(宇一) |
활동 및 공헌
출가의 계기
평원(平原) 설호(雪皓)스님은 1933년 2월 10일 충남 서산에서 7남매의 맏이로 태어났다. 본관은 양주이며, 이름은 조중환이다. 국민학교(지금의 초등학교) 다닐 때 개심사로 소풍을 간 적이 있었다. 설호스님은 그곳에서 혜명스님을 만나 뵙고 앞으로 저 분을 은사스님으로 모시겠다고 마음속으로 다짐을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1954년 21세 때 출가를 결심하고 처음의 다짐처럼 개심사에서 혜명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1954년 개심사에서 벽초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고, 11년이나 지난 1965년 범어사에서 동산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수행
설호스님은 동학사 강원에 잠시 머물다 천안 광덕사에서 오랫동안 일을 하며 혜암(惠菴), 지선(智禪) 큰스님의 지도를 받았고, 정진과 일을 함께 하는 중에 한 철씩 선원에 나가기도 하였다. 설호스님의 은사 혜명스님은 모든 일에 항상 초지일관 했으며 배울 점이 많은 분이셨다. 혼자서도 발우공양을 할 만큼 승려의 자리에서 한 치의 흐트러짐도 용납하지 않는 곧은 분이셨고,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것을 싫어하고 내면의 수행을 강조하셨다. 스님은 범어사, 내원사, 김룡사, 견성암, 보리암 등 여러 제방에서 수행 정진을 거듭하였다. '일일부작(一日不作) 일일불식(一日不食)'을 수행의 지침으로 삼고 있다. 불법(佛法) 듣기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였다. 광덕사 경내를 행선하며 살던 설호스님은 풍세 지방에 '상정선원' 이라는 토굴을 짓고 살기도 했다.
동해사 창건
몇 십 년이 훌쩍 지난 어느 해 늦가을에 우연히 공주시 유구읍 동해동을 둘러보고 스님의 인연터라는 생각에 그곳에 자리고 1990년도부터 불사를 시작하였다. 대웅전 불사는 오직 스님의 간절한 염원과 정진의 결과이다. 1995년에 스님이 직접 나무를 구입하고, 1996년 10월 15일부터 대웅전 불사를 시작하여 약 1년 6개월의 공사를 거쳐 매끈하게 증축하였다. 그리고 다음해인 1997년에 완공하고, 2000년 음력 5월 10일에 단청까지 마무리를 하였다.
설호스님의 가르침
설호스님은 상좌 스님들에 대해 출가하겠다고 온 사람을 받아서 승려를 만든 것뿐 이라고 담담하게 말한다. 모든 일에 특별한 생각을 내어 일일이 집착하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집착을 버리라고 가르쳤다.
수행자의 마음 자세
머리를 깎은 중은 수행자이지 어떤 일에 대가나 보시를 받는 성직자가 아니므로, 우리 스님들은 보시 없이 자신이 절제하면서 수행하는 수행자이니 뚜렷이 구분해서 행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장 스님들은 어른스님들의 비판을 기꺼운 마음으로 받아들일 줄 아는 스님이야말로 진정한 구도자의 모습임을 명심하고 어떤 경우에도 수행자의 정신이 살아있어야 한다고 가르쳤다.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르는 수행자를 보고 자기가 잘났다 자만하지 말고, 자신들보다 오랫동안 수행해온 사람을 잘 받들고 배워야 합니다. 도(道)라는 글자는 누구나 알지만 도 자체는 어려운 것입니다. 앎이 전부가 아니고 수행 속에 도가 익어야 합니다. 즉, 자비가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우쭐거리며 잘난 체하고 남에게 공경만 받으려고 할 게 아니라 스스로 남에게 이바지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라고 강조했다.
설호스님은 스님들이 언제든지 찾아가 봉사를 할 수 있는 불교계의 복지시설이 많이 생기길 바라고 있다. 거창한 시설을 바라지는 않는다. 하지만 가까운 곳에 복지시설이 있다면 찾아가서 사회봉사를 하고 싶어 한다. 참선을 무조건 오래 한다고 다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개인을 위한 마음을 앞세우지 말고 여러 사람을 도와주는 게 중요합니다. 행동은 생각을 따르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개발해줘야 합니다. 10원을 쓰고 살면서 만족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100원을 쓰고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정신 계몽을 잘 해줘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더욱 젊은 스님들에게 나태하지 말고 부지런히 중노릇을 하여서 사람들에게 덕을 쌓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이다. 스님의 바람은 풀 한 포기 깨끗이 매고 도량을 정갈하게 가꿔놓아 절을 찾는 불자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다.
“저는 다음 생에 태어나도 중노릇을 할 겁니다.”
스님은 더욱 부지런히 정진하여 다른 사람에게 유익한 말을 한 마디라도 더 해주는 수도승이 되길 원했다.
- 사진출처(설호스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p321
입적
스님은 2021. 8.12 동해선원에서 세납 89세, 법납 68년 입적하셨으며 수계제자로는 석문·효정(曉定)·우일(宇一) 손상좌 대우스님 등이 있다.
광덕사
광덕사는 신라 선덕여왕(637년) 때 자장 율사가 창건하고 흥덕왕(832년) 때 진산화상이 중건했다는 고찰로서 아산시와 천안시의 경계를 이루는 광덕산(699.3m) 동남쪽, 태화산(455.5m) 서남쪽 산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일주문 앞쪽에는 태화산 광덕사, 뒤쪽에는 호서 제일 선원이라는 편액이 걸려있어 이곳이 참선 수행하는 스님들의 도량임을 짐작케 한다. 조선 초기에 세조가 지병을 치유하려고 다녀갔다는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충청도와 경기도 지역에서 가장 큰 절 중의 하나일 정도로 사찰의 규모가 컸다고 하나 임진왜란 때 거의 불타버려 옛 영화는 찾을 수 없고, 대웅전을 비롯해서 명부전, 천불전 등 주요 전각들은 대부분 근래에 새로 지은 건물이다. 입구에는 1987년에 세운 '호두 전래 사적비'가 서 있다.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보화루 앞에는 몇 백 년 묵은 호두나무가 서있고, 요사채 옆에도 키 큰 호두나무가 서 있어 이곳 광덕사가 호두의 원적지임을 알려준다. 호두는 고려 말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는데, 처음 심은 곳이 바로 이 광덕면이다. 원나라의 부마국이어서 문물 교류가 빈번했던 고려 충렬왕(1290년) 때 류청신이란 사람이 호두의 묘목과 종자를 가져와 묘목은 광덕사에 심고 씨는 광덕면 매당리의 자기 집에 심어 퍼뜨린 것이다.
- 사진출처(동해사):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p324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p. 319~326.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258.
- 선학원 장로니 평원당 설호 스님 12일 입적(불교닷컴)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49431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설호(雪皓)스님 | 본항목 | 설호스님(雪皓, 1933~2021) | 雪皓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설호스님(雪皓,_1933生,_비구니) |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 항목2 | 관계 | 속성 |
---|---|---|---|
설호(雪皓)스님 | 육화문중(六和) | ~의 일원이다 | |
설호(雪皓)스님 | 혜명(慧明)스님 | ~의 수계제자이다 | |
설호(雪皓)스님 | 서산 개심사 | ~에서 출가하다 | |
설호(雪皓)스님 | 벽초(碧超)스님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설호(雪皓)스님 | 동산(東山)스님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설호(雪皓)스님 | 공주 동해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 |
설호(雪皓)스님 | 공주 동해사 | ~을(를) 중창하다 | |
설호(雪皓)스님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부산 범어사(도학동), 양산 내원사, 문경 김룡사, 예산 수덕사 견성암, 남해 보리암, 부산 범어사 대성암(청룡동) 등 |
지도
- 동해사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동해리 485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