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傳記)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물의 평생 사적을 기록하는 산문 문체.

개설

전기(傳記)는 행장(行狀)과 더불어 전장체(傳狀體)에 속한다. 그러나 행장은 묘비문(墓碑文)이나 시호(諡號)를 청할 때 이용되고, 또 서사와 기술이 극히 상세하다는 점에서 전기와 구별된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대개 ‘전(傳)’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며, ‘전기(傳記)’는 오히려 ‘옛 기록’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다.

전기체는 역사를 서술하는 문체에서 발전하여, 인물의 언어와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는 문체로 확립되었다. 본격적인 전기는 사마천이 『사기(史記)』에서 본기(本紀) 12편과 세가(世家) 30편 외에 열전(列傳) 70편을 설정하면서 비롯되었다. 그 뒤 당나라 때 일어난 고문 운동을 계기로 크게 발전하였다.

내용 및 특징

전기에는 자전(自傳)·가전(家傳)·별전(別傳)·외전(外傳)·소전(小傳) 등 여러 형식이 있다. 자전은 대개 일인칭을 사용하여 자신의 일생 사적을 기술한 것이다. 저작물 뒤에 자서(自序)를 붙여, 저작의 경과를 설명하면서 자신의 가계·일생·사상을 기술하기도 한다. 가전은 가보(家譜)에 넣기 위해 지은 전기를, 별전은 기존의 기록을 보충하려는 의도에서 작성한 전기를 말한다. 외전은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일문(逸文)과 일사(逸事)를 기록한 전기이다. 소전은 인물의 사적을 간단하게 기록한 글로, 1918년에 장지연(張志淵)이 편찬한 『대동시선(大東詩選)』에도 작가별 소전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서술의 대상에 따라 사전(史傳)·가전(家傳)·탁전(托傳)·가전(假傳)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1909년에 편찬된 최재학(崔在學)의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에서는 이 분류를 따르되, ‘사전’에 정(正)과 변(變)의 구분을 두어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 정형의 전기는 기록 중심의 열전(列傳)과 사전(私傳)을 말하고, 변형의 전기는 의론문 형태의 사전(史傳)을 말한다. 김육(金堉)의 「기묘팔현전(己卯八賢傳)」과 심낙수(沈樂洙)의 「순충전(純忠傳)」 등이 변형 전기이다. 가전은 한 가족을 대상으로 한 전기로, 이색(李穡)의 「정씨가전(鄭氏家傳)」이 여기에 속한다. 탁전은 서술자가 자신에 관해서 기록한 전기이다. 자기가 썼으면서도 자신을 다른 인물에 가탁한다는 점에서 자전과 다르다. 성간(成侃)의 「용부전(慵夫傳)」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가전은 사물을 인격화하여 서술한 전기를 말하는데, 임춘(林椿)의 「공방전(孔方傳)」, 이규보(李奎報)의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변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전기를 ‘전(傳)’으로 표기하고, ‘전기(傳記)’는 ‘옛 기록’이라는 뜻으로 사용한 경우가 많다. 1427년(세종 9)에 세종은 인정전에 나아가 문과 책문의 제(題)를 내면서, "전제(田制)의 법은 어느 시대에 시작되었는가. 하후씨(夏后氏)는 공법(貢法)으로 하고, 은인(殷人)은 조법(助法)으로 하고, 주인(周人)은 철법(徹法)으로 한 것이 겨우 전기(傳記)에 나타나 있다."고 하였다(『세종실록』 9년 3월 16일). 이때 전기는 ‘옛 기록’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1763년(영조 39)에 영조는 『사기』 「무제본기(武帝本紀)」를 군주를 비방한 ‘광패(狂悖)한 전(傳)’이라고 비판했는데(『영조실록』 39년 12월 23일), 여기서 ‘전’은 전기를 가리킨다.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는 8세기경 김대문(金大問)이 지은 『고승전(高僧傳)』인 듯하지만 전하지 않는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전기는 최치원(崔致遠)의 「당대천복사고사주번경대덕법장화상전(唐大薦福寺故寺主飜經大德法藏和尙傳)」이다. 최치원은 그밖에도 「의상전(義湘傳)」 등 고승을 서술 대상으로 한 전을 여러 편 남겼다.

고려시대에는 혁련정(赫連挺)의 『균여전(均如傳)』, 김부식의 『삼국사기』 열전, 우리나라 고승들의 전기를 모은 각훈(覺訓)의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등이 등장하였다. 이규보·임춘(林椿)·혜심(慧諶)·최자(崔滋) 등은 가전(假傳) 및 탁전과 한두 편의 사전(史傳)을 썼다.

여말 선초의 사대부들은 사전(私傳)을 많이 지었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고려사』 열전, 성현(成俔)의 「김취영전(金就盈傳)」, 남효온(南孝溫)의 「육신전(六臣傳)」 등이 나왔다. 이후에는 무사와 양반 부녀자를 비롯해, 주부(主簿)·순리(循吏) 등의 관리와 서민의 효자·효녀 등으로 입전 대상이 확대되었다. 허균(許筠)은 세상에 용납되지 못한 불우한 일사(逸士)를 전기의 주인공으로 삼았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충신·열녀·절부·효부·효자 등 도덕적 순교를 한 인물들의 전기가 많이 지어졌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박지원(朴趾源)·김려(金鑢)·이옥(李鈺) 등이 서민을 입전하여 세태의 부도덕을 고발했다. 그밖에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고 자기편만 감싸고 상대편은 공격하는 당동벌이(黨同伐異)의 과정에서 희생된 인물들을 다룬 사전(私傳)과 별전(別傳)이 등장하기도 하였고, 선친의 행적을 상세하게 전하는 과정록(過庭錄)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박지원의 아들 박종채(朴宗采)가 지은 『과정록』은 후자의 대표적 예이다. 강준흠(姜浚欽)은 재지사족(在地士族)으로서 의병을 일으킨 인물들의 전기를 『동국선현록(東國先賢錄)』으로 엮었다. 조희룡(趙熙龍)은 『호산외사(壺山外史)』에서 일사를 광범위하게 다루었다. 개화기에는 「을지문덕」·「강감찬」 등과 같은 장군의 전기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수정증보), 고려대학교출판부, 201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