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箋)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3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정에서 신하가 정무를 아뢰는 공문인 주의(奏議)의 일종인 산문 문체.

개설

‘전(箋)’은 자신의 의사를 남에게 표현한다는 뜻으로, ‘전(牋)’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중국 고대 한나라, 위나라 때는 천자에게 상주하거나 태자나 제왕에게 올리는 서장을 모두 ‘전’이라고 하였다. 반고(班固)가 쓴 「세동평왕전(說東平王箋)」 등이 그 예이다. 그 뒤부터는 천자에게 올리는 글은 ‘표(表)’라고 부르고, 황후나 태자에게 올리는 글만을 전이라고 하였다. 『수사감형(修詞鑑衡)』에는 “전이란 태자에게 문안드릴 때, 중궁전에 하례드릴 때의 글체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전의 문체는 표와 크게 다르지 않다. 대개 변려문을 사용했으나, 산문으로 짓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과 사대 외교를 할 때 전을 활용하였다. 고려시대에 박호(朴浩)가 지은 「하년기거전(賀年起居箋)」은 신년을 축하하기 위해 중국 태자에게 보낸 연하장이다. 그 밖에도 「하전(賀牋)」, 「하생일기거전(賀生日起居牋)」 등의 전을 중국에 보냈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에는 표와 전을 구분하여, 중국 천자에게 올리는 글은 표라 하고 우리나라 왕이나 중전에게 올리는 글은 전이라고 하였다. 중국 태자에게 올리는 글도 역시 전이라고 불렀다. 전의 명가로는 정도전(鄭道傳)·서거정(徐居正)·최립(崔岦) 등을 꼽을 수 있다.

전은 하장(賀狀)·축전(祝箋)·사전(辭牋)·사전(謝牋)·진전(進牋) 등으로 구분되었다. 하장은 신년이나 탄일·절후를 축하하는 글인데, 전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축전은 태자나 왕후를 책봉하거나 존호(尊號)를 올릴 때, 이를 축하하기 위해 올리는 글을 말한다. 그 밖에 사전(辭牋)은 벼슬을 사양하기 위해, 사전(謝牋)은 물건을 받고 감사를 표시하기 위해 올렸으며, 진전은 책을 지어 왕에게 바치면서 함께 올린 글을 가리킨다.

변천

표와 전은 변려문으로 짓는 일이 많아, 조선시대의 관리들은 외교문서와 사령문(辭令文)을 작성하기 위해 변려문을 연마해야 했다. 조정에서도 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문과(文科)의 중장(中場), 중시(重試), 춘추중월시(春秋仲月試) 등에서 표전을 주요 시험 과목으로 삼았다(『정조실록』 5년 10월 10일). 한편 정조는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중심으로 학문을 진작시키고 올바른 문체를 확립하고자 했는데, 그에 따라 전을 비롯한 논(論)·책(策)·계(啓)·시(詩)·부(賦)·책(策)·잠(箴)·명(銘) 등을 시제(試製)로 삼았다.

국내에서는 문신들이 정무와 관련해 자신의 의견을 아뢰기 위해 전을 사용하였다. 이를테면 고려시대 말기의 이제현(李齊賢)은 「걸면서연강설거찬성사안축밀직이곡자대전(乞免書筵講說擧贊成事安軸密直李穀自代箋)」을 올려, 자신을 서연(書筵) 강설에서 면해주고 찬성사(贊成事)안축(安軸)과 밀직부사(密直副使)이곡(李穀)으로 대신하게 할 것을 주청하였다. 또한 문신들은 동짓날에는 동지전(冬至箋), 설날에 정조전(正朝箋), 왕의 탄신일에는 탄일전(誕日箋)을 지어 올렸다. 그리고 국가적인 편찬 사업에서 성책본(成冊本)을 바칠 때도 전을 올렸다. 서거정(徐居正)이 1476년(성종 7)에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를 바칠 때 함께 올린 전이나, 이행(李荇)이 1530년(중종 25)에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바칠 때 함께 올린 전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개정증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