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유대(南山有臺)"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13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남산유대 |
한글표제 | 남산유대 |
한자표제 | 南山有臺 |
관련어 | 남유가어(南有嘉魚), 담로(湛露), 백화(白華), 백화지십(白華之什), 소아(小雅), 숭구(崇丘), 어리(魚麗), 유경(由庚), 유의(由儀), 육소(蓼蕭), 화서(華黍)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작품 |
집필자 | 이윤정 |
상세유형 |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남산유대(南山有臺)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2년 6월 5일 |
『시경(詩經)』 「소아(小雅)」 6편에 실린 것과 같이 어진 사람을 얻은 것을 즐거워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시악(詩樂)의 하나.
개설
『시경』 「소아」 백화지십(白華之什)에 수록된 시의 하나로, 백화지십은 백화(白華)·화서(華黍)·어리(魚麗)·유경(由庚)·남유가어(南有嘉魚)·숭구(崇丘)·남산유대(南山有臺)·유의(由儀)·육소(蓼蕭)·담로(湛露) 등 모두 1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남산유대는 제7편에 해당한다.
『모시(毛詩)』의 서(序)에 의하면, 현인(賢人)을 얻어 나라의 태평성대를 위한 터전을 닦게 된 것을 기뻐하며 부른 노래라고 하였으며, 주희(朱熹)는 연회석에서 군자(君子)의 덕을 기리고 축수하는 노래라고 하였다.
주희의 『의례경전통해』 권14에 그 악보가 전한다. 세종 때의 조회악 중 '근청정(覲天庭)'·'수명명(受明命)'·'하황은(荷皇恩)'은 남산유대 악곡을 갖다 썼다. 이들 악곡은 세종 때에는 회례연(會禮宴)·동지(冬至)·정조(正朝) 8월과 9월의 양로연(養老宴) 등에 쓰였다.
내용 및 특징
남산유대는 덕성이 있고 지위가 높은 사람을 기리는 내용으로 전체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회악(朝會樂)으로 사용되었던 남산유대의 악보와 가사는 『세종실록』 권137에 전하며, 선율은 황종청궁(黃鐘淸宮) 속칭 정궁(正宮)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남산유대가 사용된 용례를 찾아보면, 태종 2년 6월 5일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국왕연사신악 (중략) 여덟째 잔을 올리면 녹명을 노래하고, 일곱째 탕을 올리고 아홉째 잔에 이르면, 황황자화를 노래하며, 여덟째 탕을 올리고 열째 잔에 이르면, 남유가어를 노래하되 낙양춘조를 사용하며, 아홉째 탕을 올리고 열 한 번째 잔에 이르면 남산유대를 노래하되 풍입송조나 낙양춘조를 사용한다.”라 하여(『태종실록』 2년 6월 5일) 주로 왕의 연악(宴樂)이나 사신악에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남산유대의 선율은 황종(黃鐘)·태주(太簇)·고선(姑洗)·유빈(蕤賓)·임종(林鐘)·남려(南呂)·응종(應鐘)의 7음음계로 이루어져 있다. 선법은 황종을 중심음으로 삼은 궁조(宮調)인 황종궁(黃種宮)인데, 이 황종궁을 일명 정궁이라고도 한다. 사설 붙이는 법은 글자 하나에 하나의 음이 붙는 일자일음식(一字一音式)이다. 곡은 황종으로 시작해서 황종으로 끝나는 점으로 보아 시작음과 종지음이 동일하며, 선율이 하행하면서 종지한다.
참고문헌
- 『시경(詩經)』
-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 대한민국예술원 편집부, 『한국음악사전』, 대한민국예술원, 1985.
-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 이혜구, 「別祈恩考」,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