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昌慶宮)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도성 동쪽 창덕궁 동쪽에 대비의 처소를 위해 지었던 궁궐.

개설

성종이 즉위하였을 때 생존해 있던 세조 비 정희왕후(貞熹王后), 덕종 비 소혜왕후(昭惠王后), 예종 비 안순왕후(安順王后)를 모시기 위해 1484년(성종 15)에 지은 궁이다(『성종실록』 15년 9월 27일). 그 터에는 고려 말에 남경 천도를 계획하면서 궁을 세웠던 것으로 전하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이 왕위를 세종에게 물려주자 세종이 상왕의 거처로 다시 궁을 지어 수강궁(壽康宮)이라 했으며 성종대 다시 궁을 지어 창경궁이라 이름 지었다. 이곳에서는 왕실의 공식적인 의례인 조하 의식이나 외국 사신 접견 등은 거의 치러지지 않았고 왕이나 왕비, 왕대비 및 후궁들이 거처하는 곳으로 활용되었다.

정문과 정전이 동향을 하였는데, 궁의 정문이나 정전이 동향을 하고 있는 점은 조선시대 다른 궁에서 볼 수 없는 점이다. 동향을 하게 된 배경에는 왕대비 처소를 정전의 동편에 둔다는 고대부터 내려오는 궁궐 배치 관습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창건 이후에는 주로 왕대비나 후궁이 거처하였고 왕이 침소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조선후기에는 창덕궁과 함께 동궐(東闕)이라고 불렀다. 후원은 창덕궁과 함께 사용했으며 후원에서 과거시험을 치를 때는 주로 창경궁 쪽에서 출입했다.

위치 및 용도

창덕궁의 동편에 담장을 마주해서 자리 잡았다. 남쪽은 종묘 담장과 면해 있고 북쪽에는 창덕궁과 함께 사용하는 후원이 있다. 동쪽에는 도로 사이에 언덕을 끼고 왕실의 정원인 함춘원(含春苑)이 자리하였다. 정문인 홍화문(弘化門) 앞 도로는 남으로는 지금 종로 4가에 해당하는 이현(梨峴)과 만나고, 북쪽은 혜화문(惠化門)과 통한다. 창경궁은 정문을 통해서 출입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고 창덕궁 쪽으로 난 문을 통해서 왕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정조 때는 함춘원 자리에 부친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사당인 경모궁(景慕宮)을 세우면서 왕이 홍화문 북쪽 월근문(月勤門)을 통해 자주 왕래하였다.

중종이 이 궁에서 승하하면서 인종이 창경궁의 정전인 명정전(明政殿)에서 즉위한 일이 있고(『중종실록』 39년 11월 20일), 영조가 자주 창경궁을 찾아 조하 의례를 치르고 정전에서 과거시험과 양로연을 연 일이 있지만 다른 왕들은 창경궁의 침전이나 부속 전각에서 머무는 데 그쳤다. 창덕궁은 왕실에서 생활하는 사람 모두를 수용하기에는 비좁았기 때문에 후궁을 비롯해서 상궁이나 내인 등이 창경궁을 거처로 삼았다.

조선시대에 왕과 왕비, 왕대비, 왕세자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렀으며 시신을 안치하는 빈전(殯殿)은 5개월 동안, 위패를 모시는 혼전(魂殿)은 3년 동안 모셨다. 특히 혼전은 편전과 같은 격식 있는 건물에서 치러야 했는데, 창덕궁의 편전은 정사를 보는 데 사용했기 때문에 창경궁의 편전인 문정전(文政殿)이 거의 혼전으로 이용되었다. 혼전 주변에는 곡림청이나 재실 등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문정전 주변의 행각이나 부속 건물들은 이런 용도로 전용되었다. 조선후기에는 연달아 국장이 발생했기 때문에 창경궁의 정전이나 편전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주로 장례 의식을 치르는 용도로 쓰였다.

헌종대에 편찬된 『궁궐지(宮闕志)』에 의하면 창경궁의 전각에는 시민당(時敏堂), 저승당(儲承堂) 등 왕세자가 사용하는 건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시민당은 왕세자가 정무를 보는 곳이며, 저승당은 세자와 세자제빈이 거처하는 건물이다. 두 건물 주변에는 연지를 비롯해서 적지 않은 부속 건물들이 있었다.

동궁 영역은 창덕궁과 창경궁의 중간 위치였다. 창덕궁에서는 건양문(建陽門)을 나가서 동궁에 이르게 되고, 창경궁에서는 궁 남쪽 끝 도총부(都摠府) 등 궁궐을 지키는 군사들의 처소를 지나서 닿게 된다. 이곳은 지대가 낮고, 남쪽은 종묘로 넘어가는 언덕이 가로막고 있어서 창덕궁이나 창경궁에서는 격리된 곳이었다.

1780년(정조 4) 시민당에 화재가 일어나 건물이 불에 탔다(『정조실록』 4년 7월 13일). 2년 후인 1782년(정조 6)에는 기다리던 세자가 탄생하였는데, 정조는 이를 계기로 동궁을 창덕궁 내전 가까운 쪽에 새로 지어 중희당(重熙堂)이라 했다. 뒤에 시민당이 있던 곳은 낙선재(樂善齋)가 들어섰다. 최근 이 지역은 창덕궁에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조선시대 사료에는 창경궁에 속하거나 어느 궁에 속하는지 모호하게 기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역 구분이 모호하기로는 후원도 마찬가지였다. 금원(禁苑)으로도 부르는 창덕궁 후원은 창경궁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현재는 관리 목적에서 후원의 영화당(暎花堂) 앞에 담장을 쌓아 창경궁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했지만, 19세기 이전까지 후원은 두 궁궐의 공동 영역이었다. 후원에서 창경궁 뒤 춘당대(春塘臺) 일대는 주로 무사들이 활쏘기 등을 연마하는 곳으로 사용되거나 문무 과거시험 장소로 이용되었다. 춘당대 남쪽에는 내농포(內農圃)가 있어서 이곳에서 왕이 직접 농사짓는 시범을 보이기도 하였다.

변천 및 현황

창건 시 창경궁 내전에는 정전인 통명전(通明殿) 외에 정희왕후(貞熹王后)를 위한 수녕전(壽寧殿), 소혜왕후(昭惠王后)를 위한 경춘전(景春殿), 안순왕후(安順王后)를 위한 환경전(歡慶殿)이 마련되어 있었다. 궁궐이 미처 완성되기 전에 정희왕후가 사망하면서 수녕전은 주인을 잃게 되었고 이 건물은 곧 사라졌다. 수녕전의 남쪽에는 주로 왕실 가족들이 연회를 열던 인양전(仁陽殿)이 있었다. 1486년(성종 17) 인양전에서 인수대비(仁粹大妃)와 인혜대비(仁惠大妃)가 잔치를 열 때 참석자가 100명이나 되었다고 하며, 이곳에서는 자주 활쏘기를 했고 가면을 쓴 사람들이 악귀를 쫓는 놀이를 하는 나희(儺戱)가 벌어졌다(『성종실록』 17년 10월 16일).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던 창경궁은 1616년(광해군 8)에 옛 모습으로 복구되었다(『광해군일기』 8년 8월 4일). 이때 궁궐이 동향인 점과 문정전이 네모기둥으로 지어진 점을 두고 이를 바꾸려는 논의가 있었지만 창건 시의 의도를 존중하여 본래의 모습으로 두었다. 이때 인양전도 지어졌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에 내전 대부분이 불에 탔다. 복구는 1633년(인조 11)에 있었는데, 인왕산 아래 지었던 인경궁 건물을 철거해서 그 자재를 이용하여 지었다. 이때 인양전은 복구되지 않고 대신 그 자리에는 함인정(函仁亭)이 지어졌다.

정조는 즉위하던 해에 통명전 북쪽 언덕 위에 자경전(慈慶殿)을 세웠다. 이 건물은 생모인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를 위해서 지은 것이며 건물 맞은편으로는 생부인 사도세자의 사당인 경모궁이 바라다 보였다.

1830년(순조 30)에도 내전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복구는 1834년(순조 34)에 이루어졌으며 현재의 내전 건물은 이때 지어진 것이다. 왕이 공부하는 건물인 숭문당(崇文堂)도 이때 다시 지어졌다.

19세기 말까지 전각이 잘 유지되던 창경궁은 20세기에 들어와 일제에 의해 크게 훼철되었다. 1909년(융희 3)에는 춘당대 앞쪽에 서양식 건물 형태로 식물원이 들어섰으며 뒤를 이어 진기한 동물을 전시하는 동물사(動物舍)가 들어섰다. 이후에 창경궁은 시민에게 개방되어 공원이 되었고 이름도 창경원으로 바뀌었다. 이 사이에 자경전을 비롯해서 문정전 등 많은 전각이 헐리고 통명전을 비롯한 내전 주변의 행각들도 모두 사라졌다. 1989년 과천에 서울대공원을 만들면서 창경원의 동물들을 옮겼고 이를 계기로 창경궁을 제 모습으로 복구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경내를 가득 메우던 벚나무를 제거하고 소나무 등 전통 수종을 심었으며 문정전이 복구되고 자경전 곁에 있었던 일본풍의 벽돌 건물들도 철거하였다.

형태

1827년(순조 27) 전후에 작성된 것으로 전하는 「동궐도(東闕圖)」에는 19세기경 창경궁의 모습이 남아있다. 창경궁의 중심부는 동쪽을 향해 정문과 중문, 정전이 일직선상에 놓이고 그 북쪽으로는 폭이 좁고 긴 건물들이 겹겹이 늘어서 있어서 궁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거처가 모여 있는 모습이다. 남쪽으로는 도총부 등 궁을 지키는 군사들의 처소나 관청이 넓은 마당을 끼고 늘어서 있다. 정전의 동북 방향으로 내정전을 비롯해서 침전과 연회용 건물이 있고 내정전 뒤로는 후원이 넓게 펼쳐져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17세기에 지어진 정문 홍화문과 정전 출입문인 명정문(明政門), 정전인 명정전이 주목된다. 홍화문은 중층 지붕의 정면 3칸으로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敦化門)과 같은 형식이지만, 정면 5칸인 돈화문에 비해 규모가 작다. 홍화문 남북 약 12m에는 남북 십자각(十字閣)이 있다. 행각이 돌출하면서 지붕을 위에서 내려다볼 때 십(十)자 형태를 이루도록 했다. 홍화문을 들어서면 2개의 홍예를 튼 금천교를 지나게 된다. 금천교 안 높은 기단 위에 명정문이 서 있다.

명정문을 들어서면 네모난 행각으로 둘러싸인 넓은 정전 마당이 펼쳐지고 그 끝에 2단의 기단 위에 명정전이 있다. 명정전은 단층이어서 경복궁이나 창덕궁 정전보다 격식을 낮추었다. 광해군대에는 정전 내부가 협소하여 증축을 계획했으나, 건물 뒷면에 덧지붕을 달아내는 것으로 그쳤다. 홍화문, 명정문, 명정전은 동서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놓여 있지만, 세 건물은 조금씩 위치를 달리하고 방향도 틀어 놓았다. 또 명정전 마당을 둘러싼 행각도 직각에서 벗어난 모습이다. 이것은 정문을 열어 놓았을 때 밖에서 정전의 어좌가 눈에 들어오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계획한 것으로 보인다.

내전의 통명전, 환경전, 경춘전은 모두 중앙에 3칸의 대청을 두고 좌우에 온돌방을 대칭으로 놓았다. 창살이나 기단의 세부는 조금씩 다른데, 통명전이 격자형의 창살을 둔 고식의 격식 높은 모습이고 경춘전은 가는 살로 된 가벼운 느낌의 외관이다.

숭문당은 왕이 고전에 대한 강론을 듣거나 학습하는 건물이다. 가운데에 대청 2칸을 두고 좌우에 온돌방이 있으며 동쪽 툇간은 서책을 보관하는 공간인데, 대지가 경사져 건물 뒤편은 높은 돌기둥을 세우고 기둥 안쪽에는 온돌방의 아궁이를 두었다. 바닥이 높아 채광이 용이하고 환기도 잘되는 동시에 아궁이에 불을 넣기도 편리하다. 「동궐도」나 「서궐도안(西闕圖案)」을 보면, 창덕궁 희정당(熙政堂)이나 경희궁 흥정당(興政堂)도 같은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왕이 공부하는 곳이나 신하들과 격의 없이 만나는 건물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구조인데, 지금은 숭문당만 남아 있다.

1616년(광해군 8)에 다시 지어진 정문인 홍화문, 정전인 명정전과 그 출입문인 명정문은 조선시대 궁궐 건물 중에는 건립 연대가 앞서는 중요한 유물이며 홍화문 안의 금천교는 조선초기의 것이다.

관련사건 및 일화

1652년(효종 3)에 창덕궁과 창경궁의 지붕과 온돌 바닥 등을 수리하기 위해 기와를 걷어 내고 아궁이 주변을 뜯어냈는데, 이때 기와 밑이나 아궁이 주변에서 불에 태운 쥐, 머리카락, 오색 옷을 입힌 인형 등 상대방을 저주하기 위한 목적으로 몰래 묻어 두는 흉물들이 여러 점 나왔다. 흉물은 주로 후궁들이 거주하는 전각에서 나왔지만 대조전 지붕 아래에서도 발견되었다. 공사를 맡은 관리가 놀라서 이를 숙종에게 보고하였다. 이야기를 들은 숙종은 흉물들을 신속히 제거하고 깨끗한 흙으로 빈 곳을 채우되 소문이 나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당부만 내리고 일을 조용히 마무리하였다. 이 사건은 여성들이 주로 거주하는 창경궁에서, 왕의 총애를 얻기 위한 후궁들 간의 시샘과 상대방을 저주할 목적의 주술이 성행했음을 보여준다. 뒤주 속에 갇혀 굶어 죽은 사도세자의 비극이나 인현왕후(仁顯王后)를 몰아내고 왕비 자리까지 올랐다가 결국 사약을 받고 숨을 거둔 희빈장씨(禧嬪張氏) 사건의 무대도 창경궁이었다.

참고문헌

  • 『궁궐지(宮闕志)』
  • 『창경궁수리소의궤(昌慶宮修理所儀軌)』
  • 『창경궁영건도감의궤(昌慶宮營建都監儀軌)』
  •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昌慶宮修理都監儀軌)』
  • 『한중록(閑中錄)』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2003.
  • 문화재관리국, 『창경궁: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5.
  • 문화재관리국, 『창경궁: 중건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9.
  •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 동녘, 2010.
  • 한영우, 『조선의 왕 동궐에 들다』, 효형출판, 200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