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기획기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검토중)
(집필 주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관리메뉴}}
 
{{승탑비문관리메뉴}}
 +
__NOTOC__
 +
=='''집필 주제'''==
 +
#[[당 법장이 신라 의상에게]]
 +
#*관련승려: [[의상]](승탑 문맥)
 +
#*관련사찰: [[영주 부석사]](승탑 문맥), [[안동 봉정사]](??)
 +
#[[일본 엔닌이 신라 장보고에게]]
 +
#*관련인물: [[장보고]](역사인물 중심)
 +
#[[고려 의천이 송 정원에게]]
 +
#*관련승려: [[의천]](승탑 중심), [[정원]](승탑 문맥)
 +
#*관련탑비: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지눌이 요세에게]]
 +
#*관련승려: [[지눌]](승탑 문맥), [[요세]], [[순천 송광사]]
 +
#*관련개념: [[백련결사]], [[정혜결사]]
 +
#[[고려 혜심이 최우에게]]
 +
#*관련승려: [[혜심]](승탑 중심)
 +
#*관련인물: [[최우]](승탑 문맥)
 +
#*관련탑비: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고려 태고가 원 석옥에게]]
 +
#*관련승려: [[보우(고려)]](승탑 중심)
 +
#*관련탑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인도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
#*관련승려: [[혜근]](승탑 중심), [[지공]](승탑 문맥)
 +
#*관련탑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관련문화유산: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및 석등]], [[문경 대승사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 [[나옹화상어록]], [[나옹화상가송]]
 +
#[[조선 세조가 신미에게]]
 +
#*한글/궁중/초상화DB와 연계한 스토리 구성할 수 있음.
 +
#*관련승려: [[신미]](승탑 문맥)
 +
#*관련인물: [[조선 세조]](역사인물 중심)
 +
#[[조선 보우가 사미 경종에게]]
 +
#*관련승려: [[보우(조선)]](승탑 문맥)
 +
#[[조선 정관이 사명당에게]]
 +
#*관련승려: [[유정]](승탑 중심)
 +
#*관련탑비: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
#[[일본 일요가 조선의 아버지에게]]
 +
#*임진왜란을 주제로 하는 스토리 구성할 수 있음.
 +
#*일요: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잡혀간 조선 승려. 가토 기요마사와 사명대사 유정이 회담할 때 필담으로 통역을 담당했던 승려인 니쓰신의 애제자.
 +
#[[조선 무용이 스승 성총에게]]
  
=='''불교 세계관의 등장 인물'''==
+
==검토중==
 +
===불교 세계관의 등장 인물===
 
#석가불(釋迦佛)
 
#석가불(釋迦佛)
 
#아미타불(阿彌陀佛)
 
#아미타불(阿彌陀佛)
22번째 줄: 60번째 줄:
 
#인왕(仁王)
 
#인왕(仁王)
  
=='''불교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
+
===불교 경전===
 +
#화엄경
 +
#금강경
 +
#법화경
 +
#반야경
 +
#원각경
 +
#정토삼부경
 +
 
 +
===불교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
 
#안거
 
#안거
 
#구족계
 
#구족계
33번째 줄: 79번째 줄:
 
#북한 소재 사찰
 
#북한 소재 사찰
  
=='''불교 경전'''==
+
===승려===
#화엄경
 
#금강경
 
#법화경
 
#반야경
 
#원각경
 
#정토삼부경
 
 
 
=='''승려'''==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90번째 줄: 128번째 줄:
 
#사명대사(四溟大師)
 
#사명대사(四溟大師)
  
 
 
 
 
 
==검토중==
 
 
===전각===
 
===전각===
 
#대웅전(大雄殿), 대웅보전(大雄寶殿)
 
#대웅전(大雄殿), 대웅보전(大雄寶殿)
137번째 줄: 169번째 줄:
 
#'''불교 음악''': 불교 음악과 악기(범종, 법고, 목어, 운판)에 담긴 의미
 
#'''불교 음악''': 불교 음악과 악기(범종, 법고, 목어, 운판)에 담긴 의미
 
#'''설악산 억성사''':위치와 역사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음. 양양 선림원지=억성사로 추정. 염거, 체징, 홍각선사 등 선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중요 사찰.
 
#'''설악산 억성사''':위치와 역사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음. 양양 선림원지=억성사로 추정. 염거, 체징, 홍각선사 등 선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중요 사찰.
 +
 +
[[분류:프로젝트관리]]

2017년 9월 15일 (금) 16:33 기준 최신판

승탑비문 관리 메뉴

개관 · 콘텐츠 예시: 대각국사 의천의 삶과 문화유산 · 온톨로지 · 중심노드 목차 · 전체노드 · 탑비별 노드 · 기획기사 · 교열목록· 일러스트 · 시간정보 · 작업노트 · 답사노트 · 이미지 모음 · 파빌리온 · 그래프 · 전자지도 · 분류 페이지


집필 주제

  1. 당 법장이 신라 의상에게
  2. 일본 엔닌이 신라 장보고에게
  3. 고려 의천이 송 정원에게
  4. 지눌이 요세에게
  5. 고려 혜심이 최우에게
  6. 고려 태고가 원 석옥에게
  7. 인도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8. 조선 세조가 신미에게
    • 한글/궁중/초상화DB와 연계한 스토리 구성할 수 있음.
    • 관련승려: 신미(승탑 문맥)
    • 관련인물: 조선 세조(역사인물 중심)
  9. 조선 보우가 사미 경종에게
  10. 조선 정관이 사명당에게
  11. 일본 일요가 조선의 아버지에게
    • 임진왜란을 주제로 하는 스토리 구성할 수 있음.
    • 일요: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잡혀간 조선 승려. 가토 기요마사와 사명대사 유정이 회담할 때 필담으로 통역을 담당했던 승려인 니쓰신의 애제자.
  12. 조선 무용이 스승 성총에게

검토중

불교 세계관의 등장 인물

  1. 석가불(釋迦佛)
  2. 아미타불(阿彌陀佛)
  3. 미륵불(彌勒佛)
  4.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5. 약사불(藥師佛)
  6. 독성불(獨聖佛)
  7. 보현보살(普賢菩薩)
  8. 문수보살(文殊菩薩)
  9.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10. 관음보살(觀音菩薩)
  11. 지장보살(地藏菩薩)
  12. 일광보살(日光菩薩)
  13. 월광보살(月光菩薩)
  14. 선재동자(善財童子)
  15. 16나한(十六羅漢)
  16. 명부시왕(冥府十王)
  17. 무독귀왕(無毒鬼王), 도명존자(道明尊者)
  18. 사천왕(四天王)
  19. 인왕(仁王)

불교 경전

  1. 화엄경
  2. 금강경
  3. 법화경
  4. 반야경
  5. 원각경
  6. 정토삼부경

불교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

  1. 안거
  2. 구족계
  3. 입적(다비)
  4. 사리
  5. 수미산
  6. 도량(道場), 법회(法會)
  7. 승려의 법맥
  8. 우리나라 불교의 종파
  9. 북한 소재 사찰

승려

  1.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2.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3. 진각국사 혜심(眞覺國師 慧諶)
  4. 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5. 광자대사 윤다(廣慈大師 允多)
  6. 통일대사(通一大師)
  7. 현각선사(玄覺禪師)
  8. 혜덕왕사 소현(慧德王師 韶顯)
  9. 수철화상(秀澈和尙)
  10. 증각대사(證覺大師)
  11.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
  12. 지증대사(智證大師)
  13. 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
  14. 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
  15.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
  16. 진각국사 천희(眞覺國師 千熙)
  17. 혜소국사 정현(慧炤國師 鼎賢)
  18. 홍각선사(弘覺禪師)
  19. 선각왕사 나옹(懶翁)
  20.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21. 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
  22. 보제존자 나옹(普濟尊者 懶翁)
  23. 원각국사 덕소(圓覺國師 德素)
  24. 도선국사(道詵國師)
  25. 수미왕사(守眉王師)
  26. 징효대사 절중(澄曉大師 折中)
  27. 자적선사 홍준(慈寂禪師 弘俊)
  28. 현오국사 종린(玄悟國師 宗璘)
  29. 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30. 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
  31.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
  32. 보조선사 지선(普照禪師 智詵)
  33. 원랑선사(圓朗禪師)
  34. 진경대사 심희(眞鏡大師 審希)
  35. 원응국사 학일(圓鷹國師 學一)
  36. 대지국사(大智國師)
  37. 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
  38. 홍법국사(弘法國師)
  39. 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
  40.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41. 원진국사 승형(圓眞國師 承逈)
  42.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
  43.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
  44. 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
  45.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
  46. 정지국사(正智國師)
  47. 사명대사(四溟大師)

전각

  1. 대웅전(大雄殿), 대웅보전(大雄寶殿)
  2. 극락전(極樂殿), 미타전(彌陀殿), 무량수전(無量壽殿)
  3. 대적광전(大寂光殿), 대광명전(大光明殿), 비로전(毘盧殿)
  4. 약사전(藥師殿), 약왕전(藥王殿)
  5. 미륵전(彌勒殿), 용화전(龍華殿)
  6. 보광전(普光殿)
  7. 원통전(圓通殿), 관음전(觀音殿)
  8. 영산전(靈山殿), 나한전(羅漢殿), 응진전(應眞殿)
  9. 팔상전(八相殿, 捌相殿)
  10. 명부전(冥府殿), 지장전(地藏殿), 시왕전(十王殿), 영원전(靈願殿)
  11. 문수전(文殊殿)
  12. 칠성각(七星閣)
  13. 독성각(獨聖閣), 천태각(天台閣)
  14. 산신각(山神閣)
  15. 삼성각(三聖閣)
  16. 신중문-천왕문(天王門), 금강문(金剛門), 인왕문(仁王門)

역사

  1. 승려의 법맥
  2. 우리나라 불교의 종파
  3. 조선의 불교 정책 --- 예: 세종代 36寺 통합
  4. 조선시대 불경 간행
  5. 조선 왕실의 불교 의례
  6. 북한 소재 사찰 --- 전체 사찰 목록을 대상으로 토픽 선정해서 작성. (필자 제안 가능)
  7. 승정체제
  8. 임진왜란과 승병
  9. 승려의 구법유학
  10. 최치원의 사산비명
  11. 최언위의 비문찬술: 신라말-고려초 총 13편의 비문을 지었으며, 신라/고려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12. 최언위와 최치원
  13. 신돈
  14. 지공, 나옹, 무학
  15. 도선: 역사적 인물로서 도선, 도선의 풍수지리설, 도선 설화
  16. 장보고: 당나라 유학승들과의 관계, 신라 왕실-선종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인물

기타

  1. 승려의 태몽: 승려의 태몽에 대한 기사 모음
  2. 불교와 차문화: 불교문화와 차문화의 연관관계
  3. 불교 음악: 불교 음악과 악기(범종, 법고, 목어, 운판)에 담긴 의미
  4. 설악산 억성사:위치와 역사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음. 양양 선림원지=억성사로 추정. 염거, 체징, 홍각선사 등 선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중요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