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리(조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가족)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 ||
− |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진나라)|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삼국)|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오나라)|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남송)|서희]](徐煕), [[서도(남송)|서도]](徐道), [[서도(남송1)|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중국)|서문백]](徐文伯), [[서사백(중국)|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원위)|서건]](徐謇), [[서웅(원위)|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수나라)|서민제]](徐敏齊) - | + |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진나라)|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삼국)|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오나라)|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남송)|서희]](徐煕), [[서도(남송)|서도]](徐道), [[서도(남송1)|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중국)|서문백]](徐文伯), [[서사백(중국)|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원위)|서건]](徐謇), [[서웅(원위)|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수나라)|서민제]](徐敏齊) -원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
50번째 줄: | 50번째 줄: | ||
*********** 큰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습]](徐漝 생원) | *********** 큰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습]](徐漝 생원) | ||
*********** 큰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환]](徐渙 생원) | *********** 큰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환]](徐渙 생원) | ||
+ | ******** 작은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지유]](徐之宥 상호군) | ||
+ | ******** 작은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원(조선)|서원]](徐遠 생원(生員) | ||
********** 고고고고고고조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 고고고고고고조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
*********** 고고고고고조조할아버지: [[서의(고려3)|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 고고고고고조조할아버지: [[서의(고려3)|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
369번째 줄: | 371번째 줄: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 * [[이천 서씨]] | ||
+ | * [[대구 서씨]] | ||
+ | * [[달성 서씨]] | ||
+ | * [[부여 서씨]] | ||
+ | * [[연산 서씨]] | ||
+ | * [[남양 서씨]] | ||
+ | * [[당성 서씨]] | ||
+ | * [[봉성 서씨]] | ||
+ | * [[절강 서씨]] | ||
+ | * [[중국 서씨]] | ||
+ | * [[일본 서씨]] |
2024년 1월 26일 (금) 22:48 기준 최신판
서경주의 자. 직장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이천 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연성군(連城君)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徐煕), 서도(徐道), 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徐文伯), 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徐謇), 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徐敏齊) -원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가족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대부. 종1품)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머니 : 평양 황씨(平壤黃氏)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눌(徐訥)(종1품 문하시중)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신(徐愼 정2품 이부판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무질(徐無疾 종2품 밀직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진(徐晉 정3품 판도판서)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기준(徐奇俊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작은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지유(徐之宥 상호군)
- 작은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원(徐遠 생원(生員)
- 고고고고고고조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진(徐晉 정3품 판도판서)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무질(徐無疾 종2품 밀직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신(徐愼 정2품 이부판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목(徐穆)(종1품 문하시중.이천백)
유명조선국상의원직장
증리조참판서공진리묘
증정부인경주금씨부좌
유명조선국통훈대부행상의원직장
증가선대부리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서공묘갈명병서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겸령
경연사감춘추관사 세자부권상하찬
족증손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겸령
경연사감춘추관사 명균서
대광보국숭록대부원임의정부우의정겸령
경연사감춘추관사유척기전
선조대왕이 첫째 정신옹주를 달성위 서공 경재에게 출가시켰다.
여기에 세 아드님을 두니, 공이 막내다.
이름은 진리요, 자는 계소이다.
천계 임술년 2월 22일에 태어나시니,
관례에 따라 돈녕봉사로 제수되었다. 계사년에 어머님 상을 당했고,
상기를 마치자 빙고별검금부도사가 되셨다가 상의원직장으로 천직되었다.
신축년 가을에 추수 감독관으로 농장으로 가다가
병환이 들려 돌아오셔서 9월 초하룻날 자택에서 임종하셨다.
처음에는 장단 선영 밑에 장례했다가
그 뒤에 여러 차례 이장하여
마침내 양근 동종면 갑좌에 장례하였으니,
이것이 무자년이었다. 공은 어려서부터 기량과 법도가 무거워 의젓한 어른의 기품이 있었다.
병자년의 난리에 15세의 나이로 양친을 따라 강화로 피난을 했다.
겨우 성문을 벗어났는데 갑자기 공이 간 곳이 없었다.
온 집안이 경황이 없는데 조금 있더니,
도위공의 외조부 신주를 모시고 돌아왔다.
도위공은 기뻐서 등을 쓰다듬으면서 우리 집의 효자라 하였다. 공은 겸손하고 검소하시어 조금도 화려하게 꾸미는 버릇이 없었다.
부모를 섬기되 효경의 도리를 다하였다.
여러 형제와도 단란하게 화기 어린 모습으로 일상의 생활을 하였다.
자녀의 교육에도 모두 법도가 있었다.
전후 부모님의 상례에도 너무 지나치게 예를 지켜
끝내 이 탓으로 운명하였으니 사람마다 안타까워했다. 대구서씨로 고려 때 소랑수 한으로 먼 시조를 삼는다.
증조 해는 학문을 독실하게 하였으나 일찍 작고하셨고,
영의정으로 증직되었다.
할아버지 성은 판중추에 영의정으로 증직되니,
이 분이 선조 인종 때의 명신이시다.
부인은 경주김씨로 부제학 송안공 경여의 따님이시다.
연평부원군 이귀의 외손이시다.
타고나신 천품이 근엄하시고 부덕을 일찍 이뤄 시집오시고
웃어른을 모시고 친척을 대접하심이 모두 법도에 합당하였다.
간혹 시모님을 따라 궁중에 들면 누구나 칭찬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공이 작고했을 때 마침 임신 중이셨으나
물 한 모금을 입에 들이지 않으셨고,
상복을 벗는 일이 없으며 눈물이 상석을 적셔 썩을 지경이었다.
다음해 2월 11일에 끝내 출산하시다 변을 당하니 춘추 43세이었다. 네 아드님이 있었으니 문제,
문환은 현감이고, 문부, 문택은 주부이다.
따님은 변동상에게 출가하다.
측실에서 낳은 아들 문윤은 무과로 절충장군이 되었다.
맏이의 아들, 종효는 현령이고,
종대, 종무요, 사위는 안상기이고
서녀로 이화봉, 군수 박기조가 있다.
둘째의 아들은 종수이고
사위로 여광국과 생원 이광효가 있다.
셋째의 아들은 종식, 종극이 있고,
사위는 이사례요, 서자에 종삼, 종오가 있다.
막내의 아들은 종집은 진사이다.
종흡, 종섭이 진사, 종업이 진사,
종화, 종급이 진사, 종협이 있다.
사위, 변동상에게서 아들 관하는 생원,
정하, 익하, 사하와 사위 송구원 이제태,
정좌현, 이명조 등이 있다. 오! 공이 원 바탕이 효도와 우애스럽고,
또한 몸소 근면 노력하시어 한 세대에 크게 드날릴 듯 하셨는데,
불행하게도 쓸쓸히 가셨으니 어찌 운이 아니랴.
그러나 자손들이 번창하여 모두가 뛰어났으니,
하늘의 갚음이 여기에 있었던 것인가?
내가 공의 여러 아드님과 친숙하고
또 송안공댁과 사돈의 의가 있어서
공의 행적에 대해 익히 들었으니,
이제 묘문의 부탁을 의리상 사양할 수가 없어
마침내 그 행장을 살펴 위와 같이 섰노라.
명을 하되,
비단결 같은 천성,
청렴하심 본바탕이시다. 집안에서의 즐거움,
효도 우애로의 다스림이다. 풍성한 학덕에 짧으신 수명,
슬프다 운명이로다. 지란같은 후손 길이 복을 누리리라.
할아버지의 묘갈문이 숙종 정유년에 이루어졌는데,
지금 임금님 신해년에 이조참의의 증직이 있었고,
신유년에 참판으로 가자되었으며,
할머니도 그에 따른 특전이 있었다.
셋째 아드님이 주부가 되었고,
측실의 아들에서 또 아들 종구와 사위 신세,
금창, 남종수 현감과 이광효 참봉이 있다.
종집은 부정, 종흡은 현령, 종섭은 대사간,
종업은 도사, 종화는 현감, 종급은 판서,
종협은 목사, 변관하는 현감,
이명조는 진사가 되었다. 원 갈문에는 증손 이하는 모두 생략하였기에
이제 다음에 부가하나,
많아서 모두 기록할 수는 없고,
다만 성인된 자만 기록한다. 명준, 명정, 이언, 송필렴은 종효의 아들 사위이고,
현령 명훈, 명화, 참봉 송의상,
윤득휴, 이명달은 종대의 아들 사위이다.
명정, 명희, 이호인, 이혁, 구정린은 종무의 아들 사위이다.
승지 명신, 이광통, 낙천군 온은 종수의 아들 사위이다.
명기, 홍계기는 종식의 양아들과 사위이다.
진사 노언익은 종극의 사위이고,
명관 오질, 이규신은 종집의 아들 사위이다.
명장, 명재, 부사 윤경연은 종흡의 아들 사위인데,
명재는 종극의 양자가 되었다.
명선, 명채, 정인빈, 이술상 권영은 측실 아들의 자녀이다. 명원, 생원 명천은 종섭의 아들이고,
명응, 명헌, 이사원, 김한록은 종업의 아들 사위이다.
봉사 명인, 명전, 명존, 윤사엄은 종화의 아들 사위이다.
명현, 임매, 김숙행, 홍준한은 종급의 아들 사위이다.
명진, 명권 이가영은 종협의 아들 사위이다.
명정의 아들은 묵수이고,
명훈의 아들은 정수, 영수, 형수이고,
명정의 아들은 일수, 백수이고,
명신의 아들은 익수이고,
명관의 아들은 희수, 열수이고,
명장의 아들은 낙수, 근수이고 명원의 아들은 퇴수,
매수이고 명인의 아들은 도수이다.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손자 종급은 삼가 쓰다. 숭정갑신후 두 번째 무진년 9월 일
有明朝鮮國尙衣院直長」
贈吏曹叅判徐公晉履墓」
贈貞夫人慶州金氏祔左」
有明朝鮮國通訓大夫行尙衣院直長 贈嘉善大夫吏曹叅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徐公墓碣銘并序」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 經筵事監春秋館事 世子傅權尙夏撰」
族曾孫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 經筵事監春秋館事 命均書」
大匡輔國崇祿大夫原任議政府右議政兼領 經筵事監春秋館事兪拓基篆」
宣祖大王以第一貞愼翁主下嫁于達城尉徐公景霌有三丈夫子公其季也諱晉履字季昭天啓壬戌二月廿三日生例授敦寧奉事癸」
巳丁內艱服闋拜氷庫別檢禁府都事遷尙衣直長辛丑秋以監刈徃栽場感疾而歸九月初吉考終于第初葬長湍先塋下其後屢遷」
終窆于楊根東終面負甲之原實戊子也公自幼器度凝重儼然如成人丙子之難公年十五隨兩親避兵江都纔出城忽失公去處擧」
家警遑俄而公背負都尉公外祖神版而來都尉公喜而拊其背曰吾家孝子也公謙恭儉約絶無芬華習氣事父母盡孝敬之道與諸」
兄團聚怡愉日以爲常敎子女率有法度前後居憂執喪踰禮竟以此殞沒人皆痛惜大丘之徐以高麗中郎將閈爲遠祖曾祖諱嶰篤」
學早世 贈領議政祖諱渻判中樞 贈領議政寔爲 宣仁朝名臣公之配慶州金氏副提學松崖公慶餘之女延平府院君李公貴」
之外孫也天品謹愿婦德夙成及歸奉尊章待親戚咸得其道時或隨大主入宮掖莫不嘖嘖稱道當公之殁也適有身而勺飮不入口」
衰麻不去體淚濕苫蒿以至於腐翌年二月十一日竟阨于產得䄵四十三擧四男文濟文渙縣監文溥文澤主簿女適士人卞東尙側」
出男文潤武科折衝長房男宗孝縣令宗大宗茂壻安相夔庶女李幸封郡守朴起祖妾也次房男宗秀壻呂光國生員李廣孝三房男」
宗植宗極壻李思禮庶子宗三宗五季房男宗集進士宗翕宗燮進士宗業進士宗曄宗伋進士宗浹卞壻男觀夏生員鼎夏益夏師夏」
女宋久源李齊泰鄭佐賢李鳴朝嗚呼以公之人地旣孝且友以飾其躬宜若大顯于世而不幸草草堙沒豈非命也然子姓蕃昌俱有」
文行天之所以報施者其在斯耶余與公之諸胤善且於松崖第有秦晉之好聞公之行誼甚熟今於墓文之托義不敢辭遂撮其狀叙」
次如右系之以銘銘曰 綺紈之地寒素秉兮 樂善於家孝友政兮 受豊享嗇嗟哉命兮 蘭茁芝秀慶流永兮」
王考墓碣文成於 肅宗朝丁酉而 當宁辛亥始 贈吏曹叅議辛酉加 贈叅判妣從 贈如典三房仕至主簿而側出又有子」
宗九壻申梲金昌南宗秀縣監李廣孝叅奉宗集副正宗翕縣令宗燮大司諫宗業都事宗曄縣監宗伋判書宗浹牧使卞觀夏縣監」
李鳴朝進士原碣曾孫以下並略之今附見于下而多不能盡記只書其得姓者命駿命正李宋必濂宗孝子若壻縣令命勳命華」
叅奉宋義相尹得休李命達宗大子若壻命禎命禧李好仁李爀具廷麟宗茂子若壻承旨命臣李光通洛川君縕宗秀子若壻命蓍」
洪啓箕宗植繼子及壻進士盧彥益宗極壻命寬吳瓆李奎臣宗集子若壻命長命載府使尹景淵宗翕子若壻而命載爲宗極後命」
宣命宷鄭寅賓李述祥權瑛則側出子壻命元生員命天宗燮子命應命憲李思源金漢祿宗業子若壻奉事命仁命全命存尹思儼」
宗曄子若壻命顯任邁金肅行洪駿漢宗伋子若壻命眞命權李嘉永宗浹子若壻命正之子默修命勳之子靜修永修逈修命禎之」
子一修百修命臣之子翼修命寬之子喜修悅修命長之子樂修槿修命元之子退修邁修命仁之子道修餘並幼孫男宗伋謹識」
崇禎甲申後再戊辰九月 日」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