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오례의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 초기의 학자 신수주(申叔舟)·정척(鄭陟) 등이 왕명을 받아 국가 운영에 적용되는 禮制를 길례(吉禮)·가례(嘉禮)·빈례(賓禮)·군례(軍禮)·흉례(凶禮)오례(五禮) 체제로 정리하여 1474년(성종 5)에 편찬한 國家典禮書이다. [1]

조선 태종은 오례 길례에 관하여 서례(序禮)와 의식을 규정하였다. 세종이 즉위한 후 허조(許稠) 등에게 명하여 오례에 관한 것을 저술하게 하였다. 허조 등이 고금의 예서(禮書)와 『홍무예제(洪武禮制)』 등을 참작하고 『두씨통전(杜氏通典)』을 모방하여 편찬에 착수하였다. 이것이 실록에 실린 『세종실록오례』이며, 『국조오례의』의 바탕이 되었다. 세조 또한 강희맹(姜希孟, 1424~1483) 등을 통해 『홍무예제』를 비롯한 고금의 각종 예서들을 참작하여 편찬하도록 하였지만, 완성하지 못하였다. 결국, 성종대인 1474년에 이르러 신숙주・정척 등이 오례를 중심으로 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였다. 『국조오례의』의 체재는 오례, 즉 길례・가례・빈례・군례・흉례로 나누어 예식 별로 서례와 의식으로 나누어 세부 조목을 마련하였다. 길례 56개, 가례 50개, 빈례 6개, 군례 7개, 흉례 91개 조목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8권 5책으로 간행되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국조오례의 Record 문헌 예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국조오례의 國朝五禮儀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국조오례의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국조오례의
한자표기 國朝五禮儀
이칭/별칭 오례의
유형 문헌
저자 신수주(申叔舟)·정척(鄭陟)
간행시기 1474년(성종 5)
수량 8권 6책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국조오례의 경국대전 isDerivativeOf
국조오례의 홍무예제 references
국조오례의 세종실록오례 references
사직서의궤 국조오례의 references
국조오례통편 국조오례의 hasPart
국조오례의 석전의 references
국조오례의 삼례도 references
국조오례의 예서 references
국조오례의 신숙주 contributor
국조오례의 정척 contributor
국조오례의 조선_성종 publisher
국조오례의 길례 hasPart
국조오례의 가례 hasPart
국조오례의 빈례 hasPart
국조오례의 군례 hasPart
국조오례의 흉례 hasPar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디지털장서각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2-4761
참고 AKS 장서각기록유산DB 국조오례의(K2-2113) 1611년(광해 3) 중간한 것 http://visualjoseon.aks.ac.kr/dir/heje?dataId=G002%2BJSG%2BKSM-WA.1611.1111-20141210.K22113
참고 AKS 전자도서관 국조오례의(K2-4761) http://jsg.aks.ac.kr/dir/view?dataId=LIB_106112
참고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서지 http://yoksa.aks.ac.kr/jsp/aa/InfoView.jsp?aa10no=kh2_je_a_vsu_24761_000
참고 AKS 장서각아카이브 국조오례의(K2-4761) 원문PDF 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24761_000&aa10no=kh2_je_a_vsu_24761_001
참고 역주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70000130
참고 Encyves 국조오례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해설 실록사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참고 민족문화대백과 국조오례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12
참고 한국일생의례사전 국조오례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참고 나무위키 국조오례의 https://namu.wiki/w/국조오례의
참고 경향신문 국조오례의 김문식, 작성일: 2004년 03월 20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8825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법제처, 『國朝五禮儀』, 1982.
李範稷, 「國朝五禮儀의 成立에 대한 一考察」, 『歷史學報』 122, 1989.
이범직, 『韓國中世 禮思想硏究』, 일조각, 1991.
김문식, 「조선시대 국가전례서 편찬 양상」, 『장서각』 2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김혜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의 편찬」, 『조선시대사학보』 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43, 역사실학회, 2010.
임민혁, 「조선초기 『국조오례의』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50, 역사실학회, 2013.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장동우, 「『경국대전』 「예전」과 『국조오례의』 「흉례」에 반영된 종법 이해의 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사상사학』 제20집, 한국사상사학회, 2003.
장동우,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 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박수정, 「《국조오례의》 의례 시행과 개정 논의」, 『정신문화연구』14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