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시대 의례는 오례(五禮)로 구성되어 있다. 『국조오례의』길례, 가례, 군례, 빈례, 흉례의 오례로 구성된 의례서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오례 Concept 개념용어 오례(五禮) 오례 五禮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오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오례
한자표기 五禮
이칭/별칭
유형 국가의례, 오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오례 길례 hasPart
오례 가례 hasPart
오례 빈례 hasPart
오례 군례 hasPart
오례 흉례 hasPart
세종실록오례 오례 depicts
국조오례의 오례 depicts
세종실록오례 조선_세종 creator
국조오례의 조선_성종 Publisher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역주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http://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70000130
참고 Encyves 국조오례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국조오례의
참고 위키백과 국조오례의 https://ko.wikipedia.org/wiki/국조오례의
참고 문화콘텐츠닷컴 국조오례의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70000130
참고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국조오례의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c/main.do?levelId=kc_r300204&whereStr=%40where+%7B+IDX_TITLE%28HASALL%7C%27빈례%27%7C100000%7C0%29+or+IDX_CONTENT%28HASALL%7C%27빈례%27%7C100%7C0%29+or+IDX_ALL%28HASALL%7C%27빈례%27%7C1%7C0%29+%7D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6 - 조선초기의 문화 1, 국사편찬위원회, 1995.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 (상) -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일지사, 2007.
박례경, 「조선시대 국가전례에서 사직제 의례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규장각』29, 2006.
이영춘, 「사직제의 기원과 변천」, 『인하사학』10, 2003.
이욱, 「조선후기 기곡제 설행의 의미 - 장서각 소장 사직서 의궤와 등록을 중심으로」, 『장서각』4, 2000.
한형주, 「조선 태종·세종대 사직제의 이해와 운영」, 『한국사학보』6, 1999.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김문식,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김문식, 신병주 지음,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