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오례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시대 국가 운영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던 오례(五禮)에 대한 의식과 그 진행절차를 정리하여 『세종실록』의 부록으로 수록한 책. 이후 조선의 유교화 확립에 기초가 되었으며 성종(成宗) 때에 제작 완료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저본이 되었다. [1]
세종이 편찬을 명하였다. 1451(문종 1)에 책으로 편찬되었고, 1454년(단종 2) 《세종실록》이 완성되었을 때 부록으로 붙이게 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세종실록오례 Record 문헌 예서 세종실록오례(世宗實錄五禮儀) 세종실록오례 世宗實錄五禮儀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세종실록오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세종실록오례
한자표기 世宗實錄五禮
이칭/별칭 세종실록오례의
유형 문헌
저자 정척(鄭陟), 변효문(卞孝文)
저술시기 문종~단종
간행시기 1454년(단종 2)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세종실록오례 홍무예제 references
세종실록오례 동국고금상정례 references
사직서의궤 세종실록오례 references
국조오례통편 세종실록오례 hasPart
세종실록오례 석전의 references
세종실록오례 삼례도 references
세종실록오례 예서 references
세종실록오례 허조 contributor
세종실록오례 강희맹 contributor
세종실록오례 조선_세종 creator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역주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70000111
해설 실록사전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
참고 민족문화대백과 오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8192
참고 한국민속대백과 세종실록 오례(世宗實錄 五禮)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259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강제훈, 「조선 『세종실록』『오례』의 편찬 경위와 성격」, 『사학연구』 107, 2012.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Notes

  1. 정일영,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