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도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삼례도는 三禮의 圖譜를 모아 편찬한 것이다. 예로부터 정현본(鄭玄本)과 완심본(阮諶本)과 하후복랑본(夏侯伏朗本)과 장일본(張鎰本)과 양정본(梁正本)과 개황관찬본(開皇官撰本) 6종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전하지 않고, 다른 두 가지 본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송(宋)나라의 섭숭의(聶崇義)(생졸년대미상)가 편찬한 것으로 모두 20권본이다. 섭숭의가 왕명을 받아 교묘제례(郊廟祭禮)를 정비했는데, 이때 옛 『삼례도』를 가져다 고증하여 별도의 『삼례도』를 만들었으나 소략하고 잘못된 부분이 많다고 비판받았다. 또 하나는 명나라 유적(劉績)이 편찬한 것으로 모두 4권본이다. 육전(陸佃)의 『예상(禮象)』과 진상도(陳祥道)『예서(禮書)』와 임희일(林希逸)의 『고공기해(考工記解)』 등을 저본으로 편찬하였는데 섭숭의가 편찬한 것과는 크게 다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삼례도 Record 문헌 유서(類書) 삼례도(三禮圖) 삼례도 三禮圖 red socks of Korea's royal costume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삼례도 [1]百度百科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삼례도
한자표기 三禮圖
이칭/별칭
유형 유서(類書)
저자 太常博土 섭숭의(聶崇義)
시대
수량 20卷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서의궤 삼례도 references
세종실록오례 삼례도 references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AKS 전자도서관 三禮圖/聶崇義 https://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468946
참고 국립중앙도서관 新編羣書類要事林廣記/(宋)陳元靚編 今井七郞兵衛 元祿 12(1699) 청구기호 : 古古10-20-나12/ 디지털열람가능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新編羣書類要事林廣記#!
참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삼례도(奎中5666) 해제 ≪四庫全書總目提要≫‚ ≪四庫大辭典≫을 참고한 해제임.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C05666_00&notes=basic
참고 CTEXT 三禮圖/聶崇義 https://ctext.org/wiki.pl?if=gb&res=540266&searchu=聶崇義
참고 中國工藝美術詞典 三禮圖/聶崇義撰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24531/http://www.gg-art.com/dictionary/dcontent_b.php?bookid=232&columns=2&bookdetailid=73947&strokes=28
참고 百度百科 三礼图 https://baike.baidu.com/item/三礼图/2549212
참고 维基百科 三禮圖 https://zh.wikipedia.org/wiki/三禮圖
참고 维基文库 三禮圖_(四庫全書本) https://zh.wikisource.org/wiki/三禮圖_(四庫全書本)
참고 CiNii 三禮圖 https://ci.nii.ac.jp/ncid/BA52393679
참고 Kanseki Repository 三禮圖 https://www.kanripo.org/text/KR1d0078/
참고 국립 공문서 관 디지털 아카이브 三礼図 https://www.digital.archives.go.jp/DAS/meta/MetSearch.cgi?DEF_XSL=default&SUM_KIND=MetaSummary&SUM_NUMBER=20&META_KIND=NOFRAME&IS_KIND=summary_normal&IS_SCH=META&IS_STYLE=default&IS_TYPE=meta&DB_ID=G9100001EXTERNAL&GRP_ID=G9100001&IS_START=1&IS_TAG_S1=InD&IS_TMP_S7=c_t_search_3&IS_KEY_S7=SRG+BST+KNM&IS_TAG_S7=c_t&IS_LGC_S7=AND&IS_NUMBER=100&LIST_TYPE=default&IS_LIST_ON_OF=off&LIST_VIEW=&ON_LYD=on&IS_KEY_S1=三礼図

https://www.digital.archives.go.jp/das/meta/M2015072911333662223
https://www.digital.archives.go.jp/das/meta/listPhoto?LANG=default&BID=F1000000000000093727&ID=M2015072911333662223&TYPE=&NO=

참고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三礼図 Sān lǐ tú https://kotobank.jp/word/三礼図-1170444
참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신정삼례도(新定三禮圖) 기쿠치 다케미쓰(菊池武愼) 항목 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기쿠치+다케미쓰&dataID=AKS-2012-EBZ-2101_DES@01122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原田 信, 「聶崇義『三禮圖』の編纂について」,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紀要 第2分冊』55, 2009. 자료제공처 CiNii http://hdl.handle.net/2433/145216
https://repository.kulib.kyoto-u.ac.jp/dspace/handle/2433/145216

Notes

  1. 정경주 권진호 이성혜 조창규(공역), 한국고전의례연구회, "상변통고 인용 서목, 삼례도(三禮圖)",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