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1월 2일 (월) 16:34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춘사반 (역사) [750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춘사반== 7) 춘사반(春社飯, 춘사일 고기덮밥) 준생팔전<ref>《遵生八牋》 卷3 〈四時調攝牋〉 “春時逸事” ‘送社飯’(《遵生八牋校注...)
- 2020년 11월 2일 (월) 16:34 섬용지:수송 기구:수레:담기 (역사) [1,90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7) 담기(擔機)<ref>담기(擔機):짐을 운반하는 기구로 성을 쌓을 때는 주로 경칫돌 같은 것을 운반한다. 석공들이 비석이나 상석...)
- 2020년 11월 2일 (월) 16:31 담기 (역사) [3,17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담기</strong>는 짐을 운반하는 기구로, 성을 쌓을 때는 주로 경칫돌 같은 것을 운반한다. 서유구(徐有...)
- 2020년 11월 2일 (월) 16:29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상원의 보당퇴·오니당 (역사) [1,592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상원의 보당퇴·오니당== 6) 보당퇴(寶糖䭔)·오니당(烏膩糖) 범성대(范成大)<ref>범성대(范成大) : 1126~1193. 중국 남송의 시인. 호는 석호(...)
- 2020년 11월 2일 (월) 16:28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상원의 고죽 (역사) [1,510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상원의 고죽== 5) 상원(上元)의 고죽(膏粥, 고기 얹은 죽) 속제해기(續齊諧記)<ref>속제해기(續齊諧記) : 중국 남조 양나라 때 오균(吳均, 46...)
- 2020년 11월 2일 (월) 16:26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인일의 칠종채갱 (역사) [868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인일의 칠종채갱== 4) 인일(人日)<ref>인일(人日) : 음력 1월 7일로, 절일(節日, 한 철의 명절)의 하나. </ref>의 칠종채갱(七種菜羹, 칠채국)...)
- 2020년 11월 2일 (월) 16:25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설날의 교아당 (역사) [705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설날의 교아당== 3) 교아당(膠牙餳, 물엿)<ref>교아당(膠牙餳, 물엿) : 엿기름과 곡아(穀芽, 싹을 내어 말린 벼)를 끓여서 만든 물엿. </ref>...)
- 2020년 11월 2일 (월) 16:21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설날의 매화주 (역사) [536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설날의 매화주== 2) 매화주(梅花酒) 사민월령<ref>출전 확인 안 됨 ; 《廣群芳譜》 卷2 〈天時譜〉 “正月”, 29쪽. </ref> 매화주를 설날에...)
- 2020년 11월 2일 (월) 16:09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설날의 초백주 (역사) [1,562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설날의 초백주== 1) 설날의 초백주(椒柏酒, 후추측백잎주)<ref>초백주(椒柏酒, 후추측백잎주) : 후추 7개와 동쪽으로 뻗은 가지에 난 측백(...)
- 2020년 11월 2일 (월) 16:06 섬용지:수송 기구:수레:썰매 (역사) [1,05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6) 썰매[雪馬]<ref>썰매[雪馬]:썰매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200픽셀</ref>'''</br></br> 두꺼운...)
- 2020년 11월 2일 (월) 16:05 썰매 (역사) [3,34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썰매</strong>는 눈이나 얼음판 위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끌거나 미끄러지게 만든 기구이다. 서유...)
- 2020년 11월 2일 (월) 16:03 섬용지:수송 기구:수레:동차 (역사) [1,02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 동차(童車)<ref>동차(童車):작은 짐을 나르는 기구로 동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파일:동차(《화성성역의궤》).png|200픽...)
- 2020년 11월 2일 (월) 16:03 동차 (역사) [3,27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동차</strong>는 작은 짐을 나르는 기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섬용지(林...)
- 2020년 11월 2일 (월) 15:54 섬용지:수송 기구:수레:타차 (역사) [1,47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타차(拖車)'''</br></br> 타각차(拖【‘拖’는 토(吐)와 라(羅)의 반절이다】脚車), 즉 다리를 잡아끄는 수레이다. 길이가 4척 정...)
- 2020년 11월 2일 (월) 15:53 타차 (역사) [3,10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타차</strong>는 다리를 잡아끄는 수레이다. 타각차(拖脚車)라고도 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
- 2020년 11월 2일 (월) 15:50 섬용지:수송 기구:수레:발차 (역사) [1,76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발차(發車) <ref>발차(發車):소 한 마리가 끄는 수레로, 작은 돌 따위를 나를 때 사용한다. 발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
- 2020년 11월 2일 (월) 15:49 발차 (역사) [3,21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발차(發車)</strong>는 소 한 마리가 끄는 수레로, 작은 돌 따위를 나를 때 사용한다. 서유구(徐有榘)의...)
- 2020년 11월 2일 (월) 15:33 섬용지:수송 기구:수레:독륜차 (역사) [2,65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독륜차(외바퀴 수레)<ref>독륜차(외바퀴 수레):북쪽 지방과 남쪽 지방의 독륜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파일:남방독퇴...)
- 2020년 11월 2일 (월) 15:15 섬용지:수송 기구:수레:대차 (역사) [9,36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대차(大車)<ref>대차(大車):대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200픽셀</ref>'''</br></br> 바퀴...)
- 2020년 11월 2일 (월) 15:07 대차 (역사) [3,27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대차</strong>는 커다란 돌이나 원목 등 무거운 짐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수레이다. 서유구(徐有榘)의 <...)
- 2020년 11월 2일 (월) 15:02 섬용지:수송 기구:배:윤선 (역사) [5,99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 윤선(輪船)<ref>윤선(輪船):물레바퀴의 힘으로 운항하는 배.</ref>'''</br></br> 《단연총록(丹鉛總錄)》에서 “장지화(張志和)<ref...)
- 2020년 11월 2일 (월) 15:01 윤선 (역사) [3,12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윤선(輪船)</strong>은 물레바퀴의 힘으로 운항하는 배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
- 2020년 11월 2일 (월) 14:58 섬용지:수송 기구:배:화선 (역사) [2,07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화선(划船)<ref>화선(划船):화선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200픽셀</ref>【‘划’는 호(戶)와...)
- 2020년 11월 2일 (월) 14:57 화선 (역사) [3,00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화선(划船)</strong>은 물가와 나루터 근처에서 사용하는 작은 배로, 가볍고 편해서 배를 저어 나가기...)
- 2020년 11월 2일 (월) 14:49 섬용지:수송 기구:배:야항 (역사) [2,65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야항(野航, 농가의 작은 배)【항(航)은 호(胡) 와 랑(郞)의 반절이다.】'''</br></br> 농부가 쓰는 작은 거룻배이다. ‘책맹(舴艋)...)
- 2020년 11월 2일 (월) 14:48 야항 (역사) [3,14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야항(野航)</strong>은 농부가 사용하는 작은 거룻배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
- 2020년 11월 2일 (월) 14:35 섬용지:수송 기구:배 제도 (역사) [3,28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의 배 건조법:세로로는 길고 가로로는 짧 은 널빤지를 쓰되, 널빤지를 거울처럼 평평하게 대패질하...)
- 2020년 11월 2일 (월) 14:33 배 제도 (역사) [3,21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배 제도</strong>는 중국의 배 건조법과 우리나라의 배 제도에 관한 설명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
- 2020년 11월 2일 (월) 14:16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만드는 법:부용향 (역사) [1,41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3-26) 부용향(芙蓉香)</strong><br/> 침향 1.5냥, 단향 1.2냥, 편속(片速)<ref>편속(片速):편상속향(片状速香, 조각 형태의 속향)의...)
- 2020년 11월 2일 (월) 14:13 우비 (역사) [4,19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우비(雨備)</strong>는 여행 중에 비를 비를 가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물...)
- 2020년 11월 2일 (월) 14:07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우비 (역사) [12,30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0) 비옷'''</br></br> 비옷 제작법.</br> 복령(茯苓)<ref>복령(茯苓):소나무에 기생하는 균체에서 겉면을 제거하고 만든 약재.</ref>과...)
- 2020년 11월 2일 (월) 13:45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오동 요강 (역사) [1,06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9) 오동 요강'''</br> 갈이틀로 오동나무를 깎아 요강을 만들고, 안팎에는 모두 옻칠한다. 새끼를 엮어 주머니를 만들고서 요강을...)
- 2020년 11월 2일 (월) 13:01 섬용지:탈것:타는 도구:부인교 (역사) [1,28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6) 부인교(부인용 가마)'''</br> 가마채 2개에 승차 칸을 하나 싣는데, 가마채 중에서 앞으로 나온 부분은 길이가 1척이 안 되고,...)
- 2020년 11월 2일 (월) 13:01 섬용지:탈것:타는 도구:가마 (역사) [3,07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 가마'''</br> 옛날에는 견여(肩輿), 재여(載輿), 담자(擔子), 두자(兠子) 등의 가마 이름이 있었다. 비록 그모양과 만드는 방법이...)
- 2020년 11월 2일 (월) 13:00 섬용지:탈것:타는 도구:이차 (역사) [2,55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이차(쟁기수레)'''</br> 이차를 만들려면 꼭 먼저 자연적으로 굽은 나무 두 그루를 구해야 한다.【그 모양은 땅에서 곧게 몇 척...)
- 2020년 11월 2일 (월) 12:59 섬용지:탈것:타는 도구:독륜차 (역사) [1,44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독륜차'''</br> 제도는 쌍륜차와 같다. 두 다리 사이에 바퀴 1개를 끼운 점만은 요즘 재상들이 타는 초헌(軺軒)<ref>초헌(軺軒):...)
- 2020년 11월 2일 (월) 12:58 섬용지:탈것:타는 도구:쌍륜차 (역사) [1,52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쌍륜차(두바퀴수레)'''</br> 끌채 둘에 바퀴 둘이다. 바퀴는 태평차 바퀴와 같지만 그보다 약간 작고, 끌채는 우리나라 부인 교...)
- 2020년 11월 2일 (월) 12:57 섬용지:탈것:타는 도구:태평차 (역사) [2,36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태평차(太平車)'''<ref>태평차(太平車):태평차의 개략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다.</br>파일:태평차(박제가 저, 안대호 역주, 북...)
- 2020년 11월 2일 (월) 12:52 섬용지:탈것:말 타는 도구:도둔 (역사) [1,53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 도둔'''<ref>도둔:말안장 위에 걸쳐 놓는 방석 종류. 사람이 말을 탈 때 편하게 앉기 위한 도구이다.</ref></br> 표범가죽이나...)
- 2020년 11월 2일 (월) 12:52 섬용지:탈것:말 타는 도구:말솔 (역사) [89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말솔'''</br> 꽃창포뿌리로 만든다. 모양이 솥솔과 같으니, 말의 솜털을 쓸어주기 위한 도구이다. 또 쇠로 작은 톱니를 만들어...)
- 2020년 11월 2일 (월) 12:51 섬용지:탈것:말 타는 도구:채찍 (역사) [1,012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채찍<ref>채찍:채찍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300픽셀</ref>'''</br> 예전에는 가죽을 썼기 때문...)
- 2020년 11월 2일 (월) 12:51 섬용지:탈것:말 타는 도구:안장걸이 (역사) [87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안장걸이'''</br> 다리가 넷에 들보가 하나로 모양이 목마(木馬) 와 비슷하니, 이 도구로 안장을 건다. 다시 면포로 안장 싸개[...)
- 2020년 11월 2일 (월) 12:50 섬용지:탈것:말 타는 도구:안장 (역사) [2,56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안장'''</br> 중국에서 만든 안장이 좋다. 안교(鞍橋, 안장) 위에 보로(氆氌)<ref>보로(氆氌):양털로 잔 모직물.</ref>로 소나 말...)
- 2020년 11월 2일 (월) 12:45 오동 요강 (역사) [3,27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오동 요강</strong>은 여행 중에 사용하기 위해 오동나무를 깎아 만든 휴대용 요강이다. 서유구(徐有榘...)
- 2020년 11월 2일 (월) 12:43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풍안경 (역사) [1,14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8) 풍안경'''<ref>풍안경:바람과 티끌이 심한 곳에서 싸울 때 병사들이 쓰던 안경.</ref></br> 여행길에는 티끌을 제일 싫어한다....)
- 2020년 11월 2일 (월) 12:41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수젓집 (역사) [70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7) 수젓집'''</br> 자색 사슴 가죽으로 만들거나 검은 갈포로 만들고, 푸른 실을 꼬아 만든 줄을 끈으로 삼는 다.《금화경독기》<r...)
- 2020년 11월 2일 (월) 12:10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괘안낭 (역사) [1,12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괘안낭(안장에 거는 주머니)'''</br> 가죽으로 주머니 2개를 만드는데, 모두 덮개가 있어 접어서 덮을 수 있으며 황동 장식물로...)
- 2020년 11월 2일 (월) 11:55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철침 (역사) [81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 철침(접이식 쇠베개)'''</br> 쇠막대 2개가 교차하면서 위아래에는 모두 좁고 작은 가죽 조각이 있다. 쇠막대를 세우면 가죽이...)
- 2020년 11월 2일 (월) 11:52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금대 (역사) [1,27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금대(이불 자루)'''</br> 혼자 말을 타고 가서 뒤따르는 수레가 없을 경우 겹으로 된 면포로 직사각형 자루를 만든다. 자루 주...)
- 2020년 11월 2일 (월) 11:48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사미합 (역사) [1,04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사미합'''</br> 자단나무로 상자를 만들어 속에 소형 벼루, 붓, 먹, 주묵, 물레가락, 칼, 송곳, 족집게, 귀이개, 이쑤시개, 약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