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28일 (수) 16:34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궤 (역사) [5,09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23) 향궤(香几)</strong><br/> 서재 안에 두는 향궤(香几)의 제도에는 2가지가 있다. 높이가 2.8척이고, 향궤 윗판의 표면을 대리석...)
- 2020년 10월 28일 (수) 16:33 가죽대야 (역사) [2,89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가죽대야</strong>는 소가죽으로 만들어 놋테를 두른 대야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 2020년 10월 28일 (수) 16:20 화장대 (역사) [3,27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화장대(奩)</strong>는 화장품을 담아 보관하는 도구로, 접이식 거울이 있다. ==Semantic Data==...)
- 2020년 10월 28일 (수) 16:15 참빗 (역사) [3,24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참빗</strong>은 빗살이 아주 가늘고 촘촘하게 맞닿아 있는 빗으로, 머리를 깔끔하게 다듬...)
- 2020년 10월 28일 (수) 16:14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사금파리 격화 (역사) [3,93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21) 사금파리 격화(隔火)<ref>격화(隔火):향의 불을 덮어 불의 세기를 조절하고, 향이 오래 남도록 하는 질그릇이나 옥등의...)
- 2020년 10월 28일 (수) 16:07 족집게 (역사) [3,17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족집게</strong>는 잔털이나 가시 등을 뽑는 데 쓰는, 쇠로 만든 조그마한 도구이다. ==Seman...)
- 2020년 10월 28일 (수) 16:02 유리거울 (역사) [3,09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유리거울</strong>은 유리판에 주석과 수은의 합금을 얇게 입혀 선명도가 높은 거울이다....)
- 2020년 10월 28일 (수) 16:00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시와 향저 (역사) [1,92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20) 향시(香匙, 향숟가락)와 향저(香筯, 향젓가락)</strong><br/> 향시(香匙)와 향저(香筯)는 오직 남도(南都, 지금의 중국 남경)에...)
- 2020년 10월 28일 (수) 15:56 얼레빗 (역사) [3,35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얼레빗</strong>은 빗살이 굵고 성긴 큰 빗으로 소뿔, 산유자나무, 상아 등으로 만든다. ==S...)
- 2020년 10월 28일 (수) 15:44 빗솔 (역사) [3,12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소추(빗솔)</strong>는 빗살 사이에 낀 먼지를 털어 내는 도구로, 일반적으로 말총으로 만...)
- 2020년 10월 28일 (수) 15:38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빗솔 (역사) [1,94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소추(梳帚, 빗솔)<ref>소추(梳帚, 빗솔):빗살 사이에 낀 먼지를 털어 내는 도구로, 일반적으로 말총으로 만들었는데 왕실에서...)
- 2020년 10월 28일 (수) 15:25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합 (역사) [3,83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9) 향합(香盒)</strong><br/> 주석 합에 척홍(剔紅)<ref>척홍(剔紅):중국 송(宋)나라 칠기 공예의 일종인 조칠(雕漆) 공법의 하나...)
- 2020년 10월 28일 (수) 15:19 살쩍밀이 (역사) [3,34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살쩍밀이[斂鬢簽]</strong>는 남자의 머리카락을 정돈하는 도구이다. ==Semantic Data== ===Node...)
- 2020년 10월 28일 (수) 15:13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병 만드는 법 (역사) [5,43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향병[香餠子]<ref>향병[香餠子]:향료를 반죽하고 뭉쳐 작은 떡 모양으로 만든 향.</ref> 만드는 법</strong><br/> 연탄(軟炭)<ref>연...)
- 2020년 10월 28일 (수) 15:11 빗치개 (역사) [3,35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빗치개</strong>는 빗살 틈에 낀 때를 빼거나 가르마를 타는 데 쓰는 도구로, 쪽머리 뒤에...)
- 2020년 10월 28일 (수) 15:05 빗접 (역사) [3,38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빗접</strong>은 머리 손질에 필요한 빗・빗솔・빗치개・뒤꽂이・살쩍밀이 등을 넣어 보...)
- 2020년 10월 28일 (수) 15:00 민자 (역사) [2,77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민자</strong>는 머리를 다듬는 도구로, 빗솔과 비슷하고 조금 작다. ==Semantic Data== ===Node D...)
- 2020년 10월 28일 (수) 14:46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로 (역사) [9,59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8) 향로</strong><br/> 옛날에는 쑥을 태워 천지신명(天地神明, 천지의 조화를 맡은 온갖 신령)에게 도달했기에 향을 피우지는...)
- 2020년 10월 28일 (수) 14:36 향로 (역사) [4,76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향로(香爐)</strong>는 향을 피우는 화로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이운지(林...)
- 2020년 10월 28일 (수) 14:35 구리거울 (역사) [3,65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 구리거울(銅鏡)</strong>은 구리를 재료로 만든 거울로, 앞면은 반들반들하게 하여 물체를...)
- 2020년 10월 28일 (수) 14:24 신발 사용법 (역사) [2,97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신발 사용법</strong>은 젖거나 망가진 신발을 오래 사용하는 방법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ss="wiki...)
- 2020년 10월 28일 (수) 14:11 서재의 검 (역사) [5,39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서재에는 검을 걸어두어야 한다[論齋閣宜掛劍]</strong>는 폭도를 막거나 강한 자를 상대하는 데에 검을...)
- 2020년 10월 28일 (수) 13:47 비(屝) (역사) [3,36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띠와 신발 - 비(屝, 풀로 만든 신발)</strong>는 짚을 꼬아서 만든 짚신과 삼을 꼬아서 만든 미투리 등의 신발을 말한...)
- 2020년 10월 28일 (수) 12:22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석쇠받침(노교) (역사) [961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2) 석쇠받침(노교)'''<ref>석쇠받침(노교):여기에서 설명한 석쇠받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ref> 굵은 철사 2개의 끝을 고리로...)
- 2020년 10월 28일 (수) 12:19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번망(그물석쇠) (역사) [823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1)번망(그물석쇠)'''<ref>번망(그물석쇠):여기서 설명한 번망의 모양은 대략 다음과 같다.300px|섬네일|가운데| </...)
- 2020년 10월 28일 (수) 12:16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번가(일자석쇠) (역사) [904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0)번가(일자석쇠)'''<ref>번가(일자석쇠):번가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ref> 쇠로 네모난 테두리를 만들고 그 속에다 0.1척의 사이...)
- 2020년 10월 28일 (수) 12:12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벙거짓골 (역사) [1,485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9)벙거짓골(전립과, 전립투)'''<ref>벙거짓골(전립과, 전립투):‘전립’을 뒤집어 놓은 모습과 비슷한 모양의 벙거짓골. 양쪽에...)
- 2020년 10월 28일 (수) 12:09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석자(누표) (역사) [1,260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8) 석자(누표)'''<ref>석자(누표):철사를 엮어 바가지 모양을 만들고 손잡이를 단 조리도구. 구리석자는 찾을 수 없으나 모 양은...)
- 2020년 10월 28일 (수) 12:07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튀김판(자철) (역사) [963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튀김판(자철)'''<ref>튀김판(자철):원문의 ‘炙鐵’은 보통 ‘석쇠’로 옮기지만, 해설하는 내용이 석쇠와는 전혀 달라서 해설...)
- 2020년 10월 28일 (수) 12:05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볶음판 (역사) [768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6)볶음판(초반)''' 구리로 만들고, 모양은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듯하다. 약방에서는 이 그릇으로 약재를 볶아 조제한다. 일반...)
- 2020년 10월 28일 (수) 12:01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사라 (역사) [1,333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사라''' 일본에서 왔으며 적동(赤銅)<ref>적동(赤銅):구리에 2~8%의 금만을 배합하거나 또는 다시 1% 정도의 은을 첨가한 흑자색...)
- 2020년 10월 28일 (수) 11:59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삼발이솥 (역사) [2,43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삼발이솥[鐺, 쟁]''' 데우는 그릇이다. 《통속문(通俗文)》 <ref>《통속문(通俗文)》:후한(後漢) 복건(服虔)이 저술한 속어사...)
- 2020년 10월 28일 (수) 11:56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완자탕기 (역사) [1,45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완자탕기'''<ref>완자탕기:지금의 신선로와 비슷하면서 가운데의 구리 통을 중심으로 십(十)자 모양으로 구획이 지어진 그릇...)
- 2020년 10월 28일 (수) 11:52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양푼 (역사) [1,187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양푼[鏇]'''<ref>양푼[鏇]:음식을 담거나 데우는 용도로 쓰는 그릇이다.</ref> 《육서고》에서 “선(鏇)은 데우는 그릇이다. 끓...)
- 2020년 10월 28일 (수) 11:50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도구:쟁개비(냄비) (역사) [1,921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쟁개비[銚, 냄비]''' 《설문》에서 “요(銚)는 데우는 그릇이다.”<ref>《說文解字注》 卷27 〈十四篇〉 上 “金部”, 704쪽.</ref>...)
- 2020년 10월 28일 (수) 11:45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콩맷돌 (역사) [1,324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콩맷돌(豆磨)''' 돌을 쪼아 맷돌을 만드는데 제도는 보리맷돌과 같지만 크기는 그보다 작다. 부인 한 명이 한 팔의 힘만으로...)
- 2020년 10월 28일 (수) 11:38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체 (역사) [1,856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6) 체<ref>체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ref> 체의 테두리는 소나무 또는 버드나무로 만든다. 아름드리나무를 벌채하여 벽련(劈鍊)<ref>...)
- 2020년 10월 28일 (수) 11:20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쇠절굿공이 (역사) [1,203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쇠절굿공이'''<ref>쇠절굿공이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ref> 섬네일| 쇠를 주조하여 절굿공이를 만드는...)
- 2020년 10월 28일 (수) 11:15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사롱 (역사) [1,83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7) 사롱'''<ref>사롱:실제 모양을 확인하지 못해 구체적인 형태를 모르겠다.</ref>(篩籠, 체를 설치하는 상자) 키버들을 짜서 바구니를 만...)
- 2020년 10월 28일 (수) 11:15 금-금기 (역사) [4,34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 연주할 때 금기사항[彈琴宜忌] </strong>은 금을 연주할 때 어떤 향을 피우고 어떤 향은 피하는 게 좋...)
- 2020년 10월 28일 (수) 11:06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보리맷돌 (역사) [1,001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보리맷돌(麥磨)''' 맥류를 갈아 보릿가루나 밀가루를 만드는 맷돌은 콩을 가는 작은 콩맷돌에 비해 그 크기가 2~3배 크고 위...)
- 2020년 10월 28일 (수) 11:01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함지박 (역사) [1,013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9) 함지박''' 산골백성은 큰 나무를 쪼개고 깎아 그릇을 만든다. 모양은 박과 같지만 다리가 있고 전이 있다. 큰 함지박은 1곡(...)
- 2020년 10월 28일 (수) 10:59 금-진의 품등 (역사) [3,54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진의 품등[軫品] </strong>은 거문고 한쪽 끝에 줄을 감아 매는 작은 기둥인 진(軫)의 품등을 말한다. 서...)
- 2020년 10월 28일 (수) 10:58 금-휘의 품등 (역사) [4,75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휘의 품등[徽品] </strong>은 금의 줄을 고르는 자리를 표시하기 위해 금의 위판 한 쪽에 자개나 금옥(金...)
- 2020년 10월 28일 (수) 10:57 금-현의 품등 (역사) [4,27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현의 품등[絃品]</strong>은 명주실을 꼬아 만든 금의 줄(현)에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 줄이 어떤 것이냐...)
- 2020년 10월 28일 (수) 10:43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사면차 (역사) [3,567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8) 사면차(篩麪車, 밀가루 체 치는 기계) 밀가루를 체 치는 방법:막힌 방에 바퀴 셋 달린 흔들수레[搖車]를 놓는다. 그 바퀴는 앞...)
- 2020년 10월 28일 (수) 10:06 띠 (역사) [3,02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띠와 신발 - 띠</strong>는 실이나 가죽으로 만든 끈으로 상의를 둘러매는 데 사용하는 복식 도구이다. 파일: 띠.jpg...)
- 2020년 10월 28일 (수) 09:59 나막신 (역사) [3,23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띠와 신발 - 나막신</strong>은 나무를 깎아 발이 들어가는 부분을 만들고 앞뒤에 같은 높이의 굽을 단 신발이다. ...)
- 2020년 10월 28일 (수) 09:54 서재의 금 (역사) [4,54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서재에 금(琴)이 없어서는 안 된다[論書室不可無琴]</strong>는 서재에 금이 있어야 그 아취를 느낄 수...)
- 2020년 10월 27일 (화) 17:43 갖신 (역사) [3,24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띠와 신발 - 갖신</strong>은 가죽으로 만든 신발의 총칭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