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병 만드는 법
내용
16) 향병[香餠子][1] 만드는 법
연탄(軟炭)[2] 3근, 접시꽃의 잎이나 꽃 1.5근【잎이나 꽃의 찰기가 중요하다.】을 함께 넣고, 고르고 곱게 찧어 가루로 환(丸)을 만들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다시 묽은 풀을 약간 넣어서, 덩이마다 탄알크기로 만들었다가 이를 밀어서 향병을 만든 다음 햇볕에 쬐어 말린다. 이를 사기로 만든 병 속에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꺼내 태워 쓴다. 만일 접시꽃이 없으면 숯가루 속에 으깬 잇꽃을 숯 분량의 절반 정도 넣어서 함께 찧는데, 이때 묽은 풀을 섞어도 좋다. 《향보》[3][4]
향을 만드는 숯[造香炭]은 석탄(石炭)을 사용하는데, 【석탄이 없으면 목탄(木炭)도 좋다.】 접시꽃의 생잎과 함께 섞고 찧어서 향병을 만든다. 이를 햇볕에 쬐어 말려서 향을 피우면, 비록 차갑고 습한 곳이라도 향불이 꺼지지 않는다. 《구선신은서》[5][6]
향병(香餠)을 만들 때는 단단한 목탄 3근, 황단(黃丹)[7]·정분(定粉)[8]·침사(針砂)[9]·아초(牙硝)[10] 각0.5냥을 가루 낸 뒤, 대추 1되를 흐물흐물해질 정도로 삶아서 껍질과 씨를 없앤 다음 위의 재료와 섞고 찧어서 향병을 만든다. 간혹 대추의 과육이 적으면, 대추 삶은 즙을 섞는다. 향병의 크기는 임의대로 만드는데, 1매(枚)는 1일 동안 피울 정도의 크기가 좋다. 《거가필용》[11][12]
향탄격(香炭墼)[13]은 계골탄(鷄骨炭)[14]을 갈아서 가루 낸 뒤, 접시꽃의 잎이나 꽃을 넣고, 찹쌀 끓인 죽을 약간 첨가하여 섞은 뒤, 크고 작은 철망치로 두드려서 향병으로 만든 것이다. 향탄격은 견고함이 중요하니, 견고하면 향을 피워도 오래 간다. 더러는 잇꽃과 그 줄기로 접시꽃이나 그 잎을 대신하기도 하고, 또는 흐물흐물하게 찧은 대추에 석회를 넣고 숯을 섞어 만들기도 하는데, 이렇게 만들면 향이 역시 빼어나다. 《준생팔전》[15][16][17]
각주
- ↑ 향병[香餠子]:향료를 반죽하고 뭉쳐 작은 떡 모양으로 만든 향.
- ↑ 연탄(軟炭):석탄(石炭)의 한 가지. 휘발 성분이 많은 탄으로, 갈탄(褐炭)과 무연탄(無煙炭)의 중간 상태.
- ↑ 《香譜》 卷下 〈香之法〉 “造香餅子法”(《叢書集成初編》1481, 33쪽).
- ↑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86쪽.
- ↑ 《臞仙神隱書》 卷上 〈草堂雜用〉 “香炭”(《四庫全書存目叢書》 260, 19쪽).
- ↑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86쪽.
- ↑ 황단(黃丹):납과 석류황(石硫黃)을 끓이고 합하여 만든 약재. 성질은 차고 독이 조금 있으며, 경계(驚悸, 두근거리는 증세)·적취(積聚, 묵은 체증)·외과(外科) 질환 등에 쓰인다.
- ↑ 정분(定粉):염기성탄산염으로 소적(消積), 살충, 해독, 생기(生肌), 추담(墜痰), 복부팽만을 해소하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백태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 ↑ 침사(針砂):침을 만들기 위하여 줄로 쇠를 갈 때 나오는 고운 쇳가루. 혈(血)을 보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는 데 쓰인다.
- ↑ 아초(牙硝):주성분이 산화칼륨인 백색의 결정체로 염초(焰硝)나 초석(硝石)이라고도 하며 분쇄하여 오채(五彩)를 내는 안료로 사용한다.
- ↑ 《居家必用事類全集》 庚集 〈薰香〉 “香餠子”, 293쪽.
- ↑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86~387쪽.
- ↑ 향탄격(香炭墼): 향나무를 태우고 숯을 내서 숯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덩어리이다. 만드는 방법이 흙벽돌[土墼] 만드는 법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 ↑ 계골탄(鷄骨炭):침향나무를 태워 만든 숯. 침향나무의 목부는 침수향(沈愁香)·밀향(密香)·계골(鷄骨)·청계(靑桂) 등의 이칭이 있다.
- ↑ 《遵生八牋》 卷15 〈燕閒淸賞牋〉 中 “論香” ‘焚香七要’(《遵生八牋校注》, 596쪽
- ↑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86~387쪽.
- ↑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8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