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무엇으로 할까요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제 선정

주제 선정 과정

건축문화재는 유형문화재의 일부로, 역사의 증거이자 살아있는 유산이다. 건축물은 그 당시 사회의 생활 양식뿐만 아니라 종교, 예술을 반영하고 있기에 건축물을 통해서 우리는 과거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초반에는 다양한 건축문화재들 중 어떤 건축문화재에 초점을 맞출 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경복궁, 덕수궁, 창덕궁과 같은 서울에 위치한 궁궐들을 비교해보자는 의견이 있었으며, 우리나라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 간의 건축물을 비교하자는 의견도 나왔었다. 나라 간의 건축물 비교, 한 국가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지닌 건축물의 특징 비교, 건축물의 시대별 변천사 등 다양한 주제로 토론했었다. 최종적으로 우리나라가 유교, 불교, 기독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가 혼재되어있던 특징을 살려, 시대별 종교 건축물들을 비교하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하지만 기독교는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왔기에 삼국시대, 고려시대에는 건축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었으며 유교도 마찬가지로 삼국시대에는 관련된 건축물을 찾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4가지의 종교를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조사를 하면 주제가 너무 광범위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조선시대와 같이 한 시대를 특정해서 유교, 불교, 기독교, 도교를 비교할 지, 아니면 한 종교를 선택해 변천사를 알아볼 지를 계속 고민했었다. 자료조사 과정을 거치고 난 뒤, 최종 주제로 불교 건축물의 시대별 변천사에 대해 다루기로 결정하였다.

불교 건축물을 선정한 이유

불교는 4~5세기 중국을 거쳐 한반도로 들어와, 신라-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국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었다. 유교사상이 우세했던 조선에서도 계속해서 그 입지를 유지했으며 현재까지 불교는 기독교와 더불어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종교이다. 약 1700여년간 끊이지 않고 이어온 불교는 다른 종교들에 비해 석탑과 절과 같은 종교와 관련된 건축물들이 많이 남아있으며 변천사를 살펴보기에도 용이하다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다. 또한 많은 불교 건축물들은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어 그들의 가치와 중요성이 입증되고 있다.

의의

불교 건축물을 크게 신라 시대(삼국시대), 통일신라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시대별 건축물 분포 위치의 차이와 석탑 건축 양식 간의 비교를 통해서 불교의 지위와 위상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석탑의 양식을 통해 당시 어느 나라와의 교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는지와 같은 외교적인 측면도 알 수 있다. 또한 릴레이션을 통해서 1000년이 넘는 시간에 걸친 불교 건축물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시대와 장소를 넘나드는 건축물간의 관련성도 알 수 있다.

온톨로지

네트워크 그래프

클래스

클래스 설명 노드
대한민국에 불교가 들어온 이래 건축된 수많은 사찰들 중 핵심적인 몇 가지 절들을 다양한 시대에 맞춰 추렸다. 불국사, 분황사, 무위사, 해인사, 용두사, 통도사, 경천사, 고달사, 개태사, 거조사, 원각사, 법주사, 수덕사
국가 불교가 처음 도입된 삼국시대 국가부터 조선시대까지 불교건축물과 깊은 관련이 있는 국가들을 정리하였다. 시대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며, 삼국시대는 신라의 건축물이 대부분인 관계로 신라시대라 명명함. 신라, 통일신라, 고려, 조선
건축물 다양한 시대와 국가의 불교건축물들을 모았다. 무량수전, 조사당, 장경판전, 통도사 대웅전, 수덕사 대웅전, 금강계단, 미륵사지 석탑, 청운교 및 백운교, 경천사지 십층석탑,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석조삼존불입상, 거조암 삼층 석탑, 분황사 모전석탑, 석굴암, 다보탑, 쌍사자석등, 극락보전, 원각사지 십층석탑
지역 현대 대한민국의 지역 구분을 기준으로 역사적 불교건축물들이 많이 존재하는 도를 추렸다.(서울은 경기도로 포함시켰다) 경상북도, 경상남도, 충청북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사건 불교건축물들이 다수 파괴된 한국의 역사적 사건을 정리했다. 임진왜란, 여몽전쟁, 왜구침입

릴레이션

    • ~시대에 만들어졌다
      • 설명: 어떤 사찰, 건축물이 어느 시대에 제작되었는지를 알려준다.
      • 해당노드:
        1. 불국사 → 신라
        2. 분황사 → 신라
        3. 통도사 → 신라
        4. 법주사 → 신라
        5. 수덕사 → 신라(삼국시대 백제)
        6. 무위사 → 통일신라
        7. 부석사 → 통일신라
        8. 해인사 → 통일신라
        9. 거조사 → 통일신라
        10. 고달사 → 통일신라
        11. 원각사 → 고려
        12. 개태사 → 고려
        13. 용두사 → 고려
        14. 경천사 → 고려
        1. 미륵사지석탑 → 신라(삼국시대 백제)
        2. 모전석탑 → 신라
        3. 청운교-백운교 → 통일신라
        4. 고달사지원종대사탑비 → 통일신라
        5. 거조암 삼층석탑 → 통일신라
        6. 쌍사자석등 → 통일신라
        7. 석굴암 → 통일신라
        8. 다보탑 → 통일신라
        9. 경천사지 십층석탑 → 고려
        10. 석조삼존불입상 → 고려
        11. 수덕사 대웅전 → 고려
        12. 무량수전 → 고려
        13. 철당간 → 고려
        14. 조사당 → 고려
        15. 장경판전 → 조선
        16. 통도사 대웅전 → 조선
        17. 금강계단 → 조선
        18. 극락보전 → 조선
        19. 원각사지 십층석탑 → 조선
    • ~의 건축물이다
      • 설명: 어떤 세부적 건축물이 어디 절에 속한 건축물인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1. 무량수전 → 부석사
        2. 조사당 → 부석사
        3. 통도사 대웅전 → 통도사
        4. 금강계단 → 통도사
        5. 장경판전 → 해인사
        6. 철당간 → 용두사
        7. 경천사지 십층석탑 → 경천사
        8.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고달사
        9. 석조삼존불입상 → 개태사
        10. 거조암 삼층석탑 → 거조사
        11. 모전석탑 → 분황사
        12. 쌍사자석등 → 법주사
        13. 수덕사 대웅전 → 수덕사
        14. 극락보전 → 무위사
        15. 원각사지 십층석탑 → 원각사
        16. 석굴암 → 불국사
        17. 다보탑 → 불국사
        18. 청운교-백운교 → 불국사
    • ~에 위치한다
      • 설명: 어떤 건축물이나 사찰이 어느 도(道)에 위치하는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1. 고달사 → 경기도
        2. 경천사 → 경기도
        3. 원각사 → 경기도
        4. 해인사 → 경상남도
        5. 통도사 → 경상남도
        6. 부석사 → 경상북도
        7. 불국사 → 경상북도
        8. 거조사 → 경상북도
        9. 분황사 → 경상북도
        10. 용두사 → 충청북도
        11. 법주사 → 충청북도
        12. 개태사 → 충청남도
        13. 수덕사 → 충청남도
        14. 무위사 → 전라남도
    • ~로 인해_파괴되었다
      • 설명: 건축물이나 사찰 등이 어떤 사건으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파괴 당했는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1. 통도사 → 임진왜란
        2. 불국사 → 임진왜란
        3. 분황사 → 임진왜란
        4. 법주사 → 임진왜란
        5. 부석사 → 왜구침입
        6. 개태사 → 왜구침입
        7. 용두사 → 여몽전쟁

마인드맵

<팀플 초기에 구상하였던 클래스와 릴레이션>

구글맵 및 타임라인

구글맵

    • 신라
    • 통일신라
    • 고려


타임라인

불교 사찰 및 건축문화재 목록

삼국시대~통일신라

고려

조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