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서로(湖西路)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충청도 지역의 도로망을 통칭하는 말로, 호서로에는 연원도·율봉도·성환도·금정도·시흥도·이인도 등 6개 역도와 그 속역들이 포함돼 있었음.

개설

조선시대의 역(驛)은 병조-승여사(乘輿司)-역승(驛丞)·찰방(察訪)-속역(屬驛) 체제에 따라 관리 및 감독되었으며, 지방에 위치한 역들은 역승이나 찰방이 관리하였다.

고려의 6과-22역도 체제를 계승해 조선초에는 44역도-537속역 체제가 마련되었다. 이후 세조대에 이르러 41역도-543속역 체제가 확립됨으로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역도 체제가 형성되었다. 호서로(湖西路)는 충청도 지역의 역도를 통칭하는 말로, 공식적으로 사용된 명칭이 아니라 조선시대에 관습적으로 쓰이던 용어였다. 호서로에는 조선시대의 41역도 중 연원도(連原道)·율봉도(栗峯道)·성환도(成歡道)·금정도(金井道)·시흥도(時興道)·이인도(利仁道) 등 6개 역도와 그 속역들이 포함돼 있었다.

내용 및 특징

호서로는 충청도의 역도와 속역을 통칭하는 말로, 호서로상의 역들은 충청좌도의 3개 역도와 충청우도의 3개 역도 등 총 6개 역도로 편제되었다.

제1역도는 연원도로, 충주의 연원역(連原驛)을 중심으로 단월역(丹月驛)·인산역(仁山驛)·감원역(坎原驛)·신풍역(新豊驛)·안부역(安富驛)·가흥역(可興驛)·용안역(用安驛)·황강역(黃江驛)·수산역(水山驛)·장림역(長林驛)·영천역(令泉驛)·오사역(吾賜驛)·천남역(泉南驛)·안음역(安陰驛) 등으로 편성되었다.

제2역도는 율봉도로, 청주의 율봉역(栗峯驛)을 중심으로 장양역(長楊驛)·태랑역(台郞驛)·쌍수역(雙樹驛)·저산역(猪山驛)·시화역(時化驛)·덕유역(德留驛)·증약역(增若驛)·가화역(嘉和驛)·토파역(土坡驛)·순양역(順陽驛)·화인역(化仁驛)·회동역(會同驛)·신흥역(新興驛)·원암역(原岩驛)·함림역(含林驛)·전민역(田民驛)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3역도는 성환도로, 천안의 성환역(成歡驛)을 중심으로 신은역(新恩驛)·금제역(金蹄驛)·광정역(廣程驛)·일신역(日新驛)·경천역(敬川驛)·평천역(平川驛)·단평역(丹平驛)·유구역(惟鳩驛)·금사역(金沙驛)·장명역(長命驛)·연춘역(延春驛)으로 이루어졌다.

제4역도는 금정도로, 청양의 금정역(金井驛)을 중심으로 광시역(光時驛)·해문역(海門驛)·청연역(靑淵驛)·세천역(世川驛)·용곡역(龍谷驛)·몽웅역(夢熊驛)·하천역(下川驛)·풍전역(豊田驛) 등으로 편성되었다.

제5역도는 시흥도로, 온양의 시흥역(時興驛)을 중심으로 창신역(昌新驛)·일흥역(日興驛)·급천역(汲泉驛)·순성역(順城驛)·흥세역(興世驛)·장시역(長時驛)·화천역(花川驛) 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제6역도는 이인도로, 공주의 이인역(利仁驛)을 중심으로 용전역(龍田驛)·은산역(恩山驛)·유양역(楡楊驛)·숙홍역(宿鴻驛)·남전역(藍田驛)·청화역(靑化驛)·두곡역(豆谷驛)·신곡역(新谷驛)·영유역(靈楡驛) 등으로 구성되었다.

변천

고려의 22역도 체제 가운데 조선의 호서로에 해당하는 역도는 전공주도(全公州道)·평구도(平丘道)·광주도(廣州道)의 일부와 충청주도(忠淸州道)이다.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속역 체제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충청도 지역의 역도는 율봉도·일신도(日新道)·연원도·성환도·황강도(黃江道)·증약도(增若道)·시흥도·금정도·이인도 등 6개 역도와 그 속역으로 편제되었는데, 이를 통칭해 호서로라 불렀다.

그 뒤 세조대에는 역도 체제가 세 차례나 개편되었다. 1차 개편에 해당하는 1457년(세조 3)에는 이인도·시흥도·금정도의 모든 속역이 이인도로 통합되었으며, 율봉도·증약도의 모든 속역과 경기충청좌도 정역찰방(程驛察訪)에 속했던 인산역·감문역이 증약도로 통합되었다.

1460년(세조 6)의 2차 개편 때는 성환도의 속역인 성환역·신은역·김제역·연춘역·장명역과, 일신도의 속역인 일신역·광정역·유구역·단평역·경천역·평천역, 증약도의 속역인 증약역·가화역·토화역·순양역·화인역·전민역·회동역·원암역·함림역·신흥역, 율봉도의 속역인 금사역 등 총 22개 역이 성환도로 통합되었고, 이인도에 속한 10개 역과 금정도에 속한 12개 역, 시흥도에 소속된 5개 역 등이 이인도로 편성되었다. 또 율봉도의 속역인 율봉역·쌍수역·저산역·태랑역·장양역·덕유역·시화역과, 연원도의 속역인 연원역·단월역·안부역·신풍역·용안역·감원역·인산역, 황강도에 소속된 황강역·수산역·안음역·장림역·영천역·오사역·천남역 등 총 27개 역이 율봉도로 통합되면서 호서로가 정비되었다.

뒤이어 1462년(세조 8)의 3차 개편에서는 연원역·단월역·황강역·수산역·안음역·안부역·신풍역·인산역·감원역·용안역·장림역·영천역·오사역·천남역 등 14개 역이 연원도로, 율봉역·쌍수역·저산역·장양역·태랑역·시화역·증약역·가화역·토파역·순양역·화인역·전민역·덕유역·회도역·신흥역·사림역·원암역 등 17개 역이 율봉도로, 성환역·신은역·금제역·장명역·연춘역·일신역·광정역·경천역·평천역·금사역·단평역·유구역 등 12개 역이 성환도로 편성되었다. 또한 이인역·두곡여·청화역·남전역·유양역·용전역·은산역·영유역·숙홍역·신곡역 등 10개 역은 이인도로, 시흥역·창덕역·일흥역·화천역·장시역·순성역·흥세역·급천역 등 8개 역은 시흥도로, 금정역·광시역·용곡역·세천역·몽웅역·해문역·청연역·풍전역·하천역 등 9개 역은 금정도로 편제되었다.

호서로는 이후 조선시대의 역제가 확립된 『경국대전』 체제에서 연원도·율봉도·성환도·금정도·시흥도·이인도 등 6개 역도로 정비되어, 1896년(고종 33)에 역참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조선전기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