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환역(成歡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충청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성환도에 속한 역.

개설

고려 성종대에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성환역(成歡驛)은 충청주도(忠淸州道)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조 연간에 역제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면서 성환도(成歡道)의 속역이 되었다. 충청도 직산현에 위치하였으며, 찰방(察訪)이 파견되어 역무를 관장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 조에 따르면, 성환역은 고려시대 충청주도에 소속된 34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설치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신은역(新恩驛)·김제역(金蹄驛)·광정역(廣程驛)·일신역(日新驛) 등과 함께 성환도에 편성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대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성환역에는 역리(驛吏) 25명, 역노(驛奴) 182명, 역비(驛婢) 151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또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호남읍지(湖南邑誌)』에 따르면, 마호(馬戶) 16호, 역마 16필, 마위전(馬位田) 20결 65부 7속이 소속되어 있었다.

변천

성환역은 성환도의 중심 역으로, 세종대에는 역승(驛丞)을 두었으나 세조대에는 찰방을 파견하였다. 1530년(중종 25)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성환역은 직산현의 북쪽 8리 지점에 있었는데, 영조대에 편찬된『여지도서』에는 관아 서쪽 8리 지점에 위치해 있다고 되어 있다.

한편 『세조실록』에 따르면, 1465년(세조 11) 몇 년간 지속된 흉년으로 성환역의 역민은 대부분 유망(流亡)하였다(『세조실록』 11년 1월 12일). 또 『정조실록』에는 1796년(정조 20)에 성환역에서 진휼하였다는(『정조실록』 20년 5월 12일) 기사가 실려 있다. 이로 미루어 성환역민의 생활은 그리 넉넉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호남읍지(湖南邑誌)』
  • 조병로, 『韓國近世 驛制史硏究』, 국학자료원, 2005.
  • 유선호, 「朝鮮初期의 驛路와 直路」, 『역사교육』70, 199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