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재(初齋)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2:37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람이 죽은 후 첫 이레 만에 부처 앞에 음식을 차려놓고 올리는 재.

내용

재(齋)는 원래 재계(齋戒)라는 뜻으로, 부처에게 복을 비는 것도 재라고 한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7일 간격으로 재(齋)를 지내는데, 첫 7일 만에 지내는 재를 초재(初齋)라 하고 49일째 지내는 재를 칠재(七齋), 100일째 지내는 재를 백재(百齋), 또는 백일재(百日齋)라고 한다.

『세종실록(世宗實錄)』 1446년(세종 28) 3월 29일 기사에 "초재(初齋)를 장의사(藏義寺)에서 베풀었다. 초재(初齋)부터 대상재(大祥齋)에 이르기까지 대자(大慈)·진관(津寬)·회암(會巖)·장의(藏義) 등의 절에 돌려가며 베풀고, 인순부(仁順府)·인수부(仁壽府)·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예빈시(禮賓寺)·내수소(內需所)에서 서로 번갈아 판비(辦備)하게 하였다. 매번 재를 올릴 때마다 대군(大君)·승지(承旨)·예조(禮曹)의 당상(堂上) 각 1인이 가서 참예(參詣)하였는데, 반승(飯僧)이 적을 때는 8,000~9,000명, 많을 때는 10,000여 명이나 되었고, 잡객(雜客)이 수천명, 거지도 또한 항상 10,000여 명이나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용례

設初齋于藏義寺 自初齋至于大祥齋 輪設于大慈津寬會巖藏義等寺 令仁順仁壽府內資內贍禮賓寺及內需所相遞辦之 每齋 大君承旨禮曹堂上各一人往參 飯僧小不下八九千 多至萬餘人 雜客數千 丐乞人亦常萬餘(『세종실록』 28년 3월 29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