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도역(東道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1:52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동도역 |
한글표제 | 동도역 |
한자표제 | 東道驛 |
상위어 | 오수도(獒樹道) |
관련어 | 남원도(南原道), 창활도(昌活道), 남원군(南原郡), 역리(驛吏), 역노(驛奴), 보인(保人), 솔인(率人), 일수(日守),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집필자 | 홍성욱 |
폐지 시기 | 1896년(건양 원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동도역(東道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8년 8월 5일 |
조선시대 전라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오수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동도역(東道驛)은 고려시대에는 성종에서 인종 연간에,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남원도(南原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전국적으로 역도와 역로 조직을 갖추면서 세종대에는 창활도(昌活道)에 속하였으며, 세조대에는 세 차례의 역제(驛制) 개편을 거치며 오수도(獒樹道)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남원도에 소속된 12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남원부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당시의 명칭은 통도역(通道驛)이었다.
조직 및 역할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당시 동도역에는 역리(驛吏) 18명, 역노(驛奴) 17명, 역비(驛婢) 14명과 역마 4필이 배속되어 있었다.
한편 같은 책에 수록된 『완산지(完山誌)』「오수역지서(獒樹驛誌序)」에는 역리 9명, 역노 10명을 비롯해 보인(保人) 86명, 솔인(率人) 8명, 일수(日守) 10명, 인호(人戶) 45호 등의 역민과 역마 4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역의 재정에 충당하기 위한 역전으로는 위답(位畓) 25석 9두 5승, 복호(復戶) 16결, 수미(需米) 2석 2두 1승이 지급되었다고 한다.
변천
조선 건국 후 전국적으로 역도와 역로 조직이 정비되면서 세종대에는 통도역이 동도역으로 개칭되어 창활도에 소속되었다[『세종실록』 지리지 전라도]. 그 뒤 1457년(세조 3)의 역승 폐지에 따른 조치로 찰방의 순시 범위가 넓어지면서 찰방(察訪)이 관할하는 역이 지나치게 많고 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 제대로 순시하지 못하는 등 각종 폐단이 발생하자, 1462년(세조 8)에 대대적으로 역로를 개편하였다. 그 결과 동도역은 오수도의 속역으로 편입되어 오수도 찰방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성종대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확정된 조선시대 전기의 역도 체제에서도 동도역은 여전히 오수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동도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에는 남원부 동쪽 5리 지점으로, 「오수역지서」에는 오수역에서 40리 떨어진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 따르면, 전라북도 남원군 남원면 동도리에 위치해 있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 일대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정요근, 「조선초기 역로망의 전국적 재편」, 『조선시대사학보』48,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