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곤(鞭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22 기준 최신판



조선후기의 기병이 주력 무기로 사용하던 도리깨 모양의 무기이자 무예 24반 무예의 하나.

내용

편곤(鞭棍)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에서 철편(鐵鞭)이라는 이름으로 조선에 전해졌다. 편곤은 보병이 사용하는 보편곤(步鞭棍), 기병이 사용하는 마편곤(馬鞭棍)으로 나뉘는데, 적을 타격하는 부분인 자편과, 손잡이인 모편으로 구성된다. 중국의 철편과 조선의 편곤의 차이점이 있다면, 중국의 철편은 모편과 자편 사이에 긴 쇠사슬이 있으나, 조선의 편곤은 모편과 자편 사이에 1~2개의 쇠고리만이 달려 있기 때문에 형태가 전통적인 도리깨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조선중기 이후 많은 문헌에 편곤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데, 임진왜란 당시 명군에 속해 있던 타타르족 기병들이 편곤으로 왜군을 무찔렀다는 기록도 있고, 선조가 화를 덜 입은 전라도 지방에서 편곤을 제작하도록 명했다는 기록도 있다. 또 이괄의 난 때 이괄의 기병 700명이 모두 편곤으로 관군을 공격하였는데 그 위력이 대단했다는 기록도 있다.

편곤은 임진왜란 이후 단병무예를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조선후기 조선군의 주요 무기로서 훈련도감에 편곤군이 편성되기도 했고, 무과 시험 과목에 포함되기도 했다. 1749년(영조 25)에 편곤은 죽장창(竹長槍)·기창(旗槍)·예도(銳刀)·왜검(倭劍)·교전(交戰)·제독검(提督劍)·본국검(本國劍)·쌍검(雙劍)·월도(月刀)·협도(挾刀)·권법(拳法) 등의 무예와 함께 무예 18기로 정립되었다. 이후 1790년(정조 14)에 만들어진『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는 기존의 무예 18기에 마상월도(馬上月刀)·마상편곤(馬上鞭棍)·마상곤봉(馬上棍棒)·격구(擊毬)·마상재(馬上才)·마상쌍검(馬上雙劍) 등 6기를 추가하여 무예 24반으로 완성되었다.

용례

武藝圖譜通志成(중략) 英宗己巳 莊獻世子代理庶政 歲己卯 命增入竹長鎗旗鎗銳刀倭劍交戰月挾刀雙劍提督劍本國劍拳法鞭棍十二技 纂修圖解 作爲新譜 上卽阼初 命增騎槍馬上月刀馬上雙劍馬上鞭棍四技 又以擊毬馬上才附之 凡二十四技(『정조실록』 14년 4월 29일)

참고문헌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연병지남(練兵指南)』
  • 국사편찬위원회 편,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경인문화사, 2008.
  • 임동규, 『한국의 전통무예 : 24반 무예를 중심으로』, 학민사, 1990.
  • 김산, 「무예도보통지 長兵武藝 복원의 실제와 비판」, 전북대학교 박사논문, 2008.
  • 김산·김주화,「무예도보통지의 勢에 대한 연구」, 『체육사학회지』l-13, 2004.
  • 이근채, 「무예도보통지의 편찬과정과 무예사적 가치」,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