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국검(本國劍)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본국검 |
한글표제 | 본국검 |
한자표제 | 本國劍 |
동의어 | 신검(新劍), 신라검(新羅劍) |
관련어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화랑도(花郎徒) |
분야 | 정치/군사·국방/병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신라~조선 |
집필자 | 박재광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본국검(本國劍)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정조실록』 14년 4월 29일 |
신라 때 화랑도(花郎徒)들을 중심으로 무술 연마를 위하여 사용한 우리 고유의 검술 또는 무기.
내용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 수록되어 있으며, 속칭 신라검(新羅劍) 또는 신검(新劍)이라고도 한다.『동경잡기(東京雜記)』 풍속조에 의하면, 황창랑(黃倡郞)이라는 신라 소년이 백제왕 앞에서 검무(劍舞)를 추다가 왕을 찔러 죽이고 자신도 백제인들에 의하여 죽음을 당하였는데, 신라 사람들이 이를 슬퍼하여 황창랑의 모습을 그린 가면을 쓰고 검무를 추는 풍속이 지금도 전해온다고 하였으며, 『무예도보통지』에는 황창랑의 검술로부터 본국검이 연유하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본국검의 술법은 실전(失傳)되어 오래도록 전하지 않다가, 중국의 모원의(茅元儀)가 조선의 옛 검법인 조선세법(朝鮮勢法)을 우리나라에서 찾아 『무비지(武備志)』에 채록함으로써 『무예도보통지』에도 그 검보(劍譜)를 수록하게 된 것이다. 이 본국검법은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한 정조 당시에도 이미 잊혀져서 그 세법(勢法)을 알지 못했는데 『무비지』에서 비로소 되찾게 되었다. 그래서 『무예도보통지』에 설명하기를 모원의가 얻은 검보는 세법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것은 조선이 자기 나라의 검보를 창안한 것이었을 터인데 어째서 스스로 전하지 못하고 스스로 익히지 아니하여 중국의 모원의에 의해서 전하고 익히게 되었는지 알지 못할 일이라고 통탄하고 있다.
본국검은 허리에 차는 칼인 요도(腰刀)로 하는 검술이다. 요도의 무게는 1근 8량으로 약 1㎏이며, 이 칼을 가지고 검무를 출 때에는 한 손으로 자루를 잡고 휘두르기도 하지만 실전(實戰)에서는 자루를 두 손으로 꼭 잡고 쓰게 된다. 이는 『무예도보통지』의 본국검 자세가 모두 칼을 두 손으로 잡고 있는 그림으로도 알 수 있다. 예로부터 검법은 안법(眼法), 즉 시선을 쓰는 법을 우선 배우고, 칼로 치는 격법(擊法), 칼로 베는 세법(洗法), 칼로 찌르는 자법(刺法)을 익혀야 한다. 본국검은 동작이 32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에 안법 6수, 격법 5수, 세법 4수, 자법 7수 등의 22수와 이 밖에 지검대적세(持劍對賊勢) 같은 기본자세 및 방어법이 들어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본국검 검보와 총도(總圖)에는 검법의 운용을 순서에 따라 자세를 그려놓았으나 세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결여되어 있어서 실제로 그 전체의 묘(妙)를 터득하기가 어렵다. 이것은 모원의가 조선에서 입수했다는 조선세법을 그대로 『무예도보통지』에 옮겨놓았기 때문이다. 또한, 편찬자가 본국검법에 관하여 조예가 깊지 못하였다는 데도 원인이 있다. 그러므로 모원의가 그 검보를 어떻게 누구에게서 얻었는지, 그리고 과연 신라 화랑이 사용하던 검술인지도 확실히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할 당시와 모원의 세대는 백 년 이상이 지났으므로 편찬 실무자로서도 『무비지』의 조선세법 검보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무비지』의 조선세법이 유일하게 전해진 우리나라 검법으로서 『무예도보통지』에도 본국검으로 수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것은 조선이 스스로 본국의 보(譜)를 창안한 것이라고 밝혔으니 우리 특유의 검술임에는 틀림없다. 이 본국검은 조선중기 이후 보군(步軍)의 관무재(觀武才)초시(初試) 시험과목으로 시행되어 전투에 실용되는 검술로 활용되었다.
용례
武藝圖譜通志成 (중략) 英宗己巳 莊獻世子代理庶政 歲己卯 命增入竹長鎗旗鎗銳刀倭劍交戰月挾刀雙劍提督劍本國劍拳法鞭棍十二技 纂修圖解 作爲新譜 上卽阼初 命增騎槍馬上月刀馬上雙劍馬上鞭棍四技 又以擊毬馬上才附之 凡二十四技(『정조실록』 14년 4월 29일)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무비지(武備志)』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동경잡기(東京雜記)』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