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정성(東井星)"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09 기준 최신판



전통 별자리인 28수(宿) 가운데 22번째 별자리[宿].

개설

동정성(東井星)은 정성(井宿)이라고도 한다.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28수가 방위에 따라 4가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여겼다. 그중에서 동정성은 남방 주작(朱雀)에 속하는 일곱 별자리 가운데 첫째 별자리로서 주작의 머리에 해당한다. 서양 별자리로는 쌍둥이자리의 몸통과 팔다리를 구성하는 별들에 해당한다.

내용 및 특징

밤하늘에는 늘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붙박이별[恒星]들과 그 붙박이별을 배경으로 늘 자리를 옮기는 것처럼 보이는 해와 달, 그리고 오행성 등의 태양계 천체들이 있다. 이들 태양계 천체들은 밤하늘에서 주로 황도(黃道)를 따라 운행한다. 그래서 태양계 천체들의 위치를 기술할 때 황도 주위에 별자리들을 정해 두고 그 별자리들에 대한 상대 위치로 기술하면 편리하다. 이와 같은 동기로 서양 천문학에서는 황도 12궁을 지정하였고, 중국에서는 28수를 지정하였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왜 28개의 별자리를 정하였는지에 대해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그 중 유력한 설은, 달의 운행 주기인 항성월을 기준으로 했다는 설이다. 1항성월은 약 27.32일이기 때문에, 황도 주변에 27개나 28개의 별자리를 정해 두면 매일 변하는 달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28수를 이루는 28개의 별자리들은 각 계절별로 7개씩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주로 봄과 초여름밤에 보이는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는 청룡(靑龍)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여름과 가을철에 보이는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은 현무(玄武)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가을과 겨울에 보이는 규(奎)·루(婁)·위(危)·묘(昴)·필(畢)·자(觜)·삼(參)은 백호(白虎)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겨울에 보이는 정(井)·귀(鬼)·류(柳)·성(星)·장(張)·익(翼)·진(軫)은 주작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했다.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성도(星圖)에는 동정(東井)으로 되어 있다. 동정성의 보관부좌(輔官附座)로는 월(鉞) 또는 월성(鉞星)이 있다. 동정성은 서양 별자리로는 쌍둥이자리의 몸통과 팔다리를 구성하는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양이 정(井)자처럼 생긴 별자리이다. 동정성의 기준별인 거성(距星)은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성도에는 ‘ν Gem(뉴 쌍둥이자리)’라는 별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 별자리 체계에서는 당나라 때 ‘μ Gem(뮤 쌍둥이자리)’로 개정되어 오늘날까지 쓰고 있다. 동정성은 수레를 닮았기 때문에, 이 별자리를 이루는 별들의 남쪽 열과 북쪽 열을 각각 남헌(南轅)과 북헌(北轅)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의 천문학자들은 별점을 칠 때 일반적으로 『천문류초(天文類抄)』를 참고하였다. 이 『천문류초』와 그 원전으로 송(宋)나라의 정초(鄭樵)가 편찬한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이고, 『송사(宋史)』「천문지(天文志)」에서 점사(占辭)를 일부 보완하였다.

『통지』 「천문략」에서는 “감덕(甘德)이 이르기를 ‘정성(井星)을 이루는 여덟 별들은 은하 가운데에 있는데 샘물을 주관한다. 해·달·오행성이 그것을 꿰뚫어 지난다’ 하였다. 석신(石申)이 그것에 대해 말하기를 ‘동정은 또한 하늘의 우물[天井]이니 제후, 왕의 외척, 삼공(三公)의 지위를 주관한다. 그러므로 그 별들이 밝고 크면 제후를 봉하여 나라를 세우게 할 것이다. 그 별들이 요동하고 색깔을 잃으면 제후와 외척을 주살하고 삼공을 폐하여 도륙하니 제왕의 군대가 재앙을 받게 된다’ 하였다. 장형(張衡)이 말하기를 ‘정성은 하늘의 남문(南門)이다. 황도(黃道)가 지난다. 하늘의 망루[亭候]이니, 세무에 관련된 일과 법령이 공평하게 적용되는 일을 관장한다. 왕이 법률을 공평하게 적용하면 정성을 이루는 별들이 밝고 똑바로 늘어설 것이다. 달이 정성에 머무르면 비바람의 응함이 있을 것이다’ 하였다. 또한 말하기를, ‘정성은 천자(天子)의 관부이니, 별들이 어둡고 뾰족한 것[芒]이 있거나 아울러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나거나 오행성이 역행하여 침범하면, 대신(大臣)이 반란을 모의하고 병란이 일어날 것이다. 가운데에 있는 여섯 별들이 크고, 밝지 않아야 할 별이 밝으면 홍수가 일어날 것이다’ 하였다.” 라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침범한다[犯]는 것은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의미한다.

『송사』 「천문지」에서는 “객성(客星)이 침범하면 곡식이 익지 않으며 대신을 주살하고 토목 공사가 생기며, 어린 아이들이 요사스러운 말을 퍼뜨린다. 혜성이 정성을 범하면, 백성들이 참소하는 말을 하고 나라는 정치를 잃는다. 일설에는 대신을 주살하고 그 분야(分野)에는 병란의 재해가 일어난다고 한다. 별똥별이 정성을 침범하면 봄과 여름의 경우 진(秦)나라 땅에 모반이 있고, 가을과 겨울의 경우 궁중에 우환이 있다”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동정성과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현상은 달이 동정성 안으로 들어갔다는 기록이다. 예를 들면, 밤에 형혹이 동정성 북쪽으로 들어갔다는 기록이 있다(『명종실록』 21년 3월 1일). ‘정성’이라고도 기록되어, 달이 정성으로 들어갔다는 기록도 자주 나타난다(『경종실록』 즉위년 9월 20일). 동정성을 ‘정수(井宿)’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혜성이 임방(壬方)에 나타났는데 꼬리 길이는 3척(尺)이었다. 문신(文臣)을 보내어 번갈아 숙직하면서 관측하게 하였더니 정수의 수도(宿度) 안을 지나 한 달 남짓이 지나 소멸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순조실록』 19년 5월 21일). 여기서 수도(宿度)라는 것은 28수 각각이 차지하는 적경의 범위를 뜻한다. 이러한 사례에서는 정수라는 표현이 쓰였다기보다는, ‘정수도내(井宿度內)’라는 표현이 일괄적으로 쓰인 경우들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천문류초(天文類抄)』
  •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
  • 『송사(宋史)』「천문지(天文志)」
  • 안상현,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별자리』, 현암사, 200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