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성(翼星)"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09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익성 |
한글표제 | 익성 |
한자표제 | 翼星 |
상위어 | 이십팔수(二十八宿) |
동의어 | 익(翼), 익수(翼宿) |
관련어 | 성수(星宿), 천문(天文) |
분야 | 문화/과학/천문 |
유형 | 자연(현상) |
집필자 | 안상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익성(翼星)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현종개수실록』 5년 10월 28일, 『광해군일기』 10년 10월 9일 |
전통 별자리인 28수(宿) 가운데 27번째 별자리[宿].
개설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28수가 방위에 따라 네 가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여겼다. 익성(翼星)은 그중에서 남방 주작(朱雀)에 속하는 일곱 별자리 중에서 마지막 일곱째 별자리로서 주작의 날개에 해당한다. 익성은 서양 별자리로는 대체로 컵자리를 이루는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밤하늘에는 늘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붙박이별[恒星]들과 그 붙박이별을 배경으로 늘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해와 달, 그리고 오행성 등의 태양계 천체들이 있다. 이들 태양계 천체들은 밤하늘에서 주로 황도(黃道)를 따라 운행한다. 그래서 태양계 천체들의 위치를 기술할 때 황도 주위에 별자리들을 정해두고 그 별자리들에 대한 상대 위치로 기술하면 편리하다. 이와 같은 동기로 서양 천문학에서는 황도 12궁을 지정하였고, 중국에서는 28수를 지정하였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왜 28개의 별자리를 정하였는지에 대해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그중 유력한 설은, 달의 운행 주기인 항성월을 기준으로 했다는 설이다. 1항성월은 약 27.32일이기 때문에, 황도 주변에 27개나 28개의 별자리를 정해두면 매일 변하는 달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28수를 이루는 28개의 별자리들은 각 계절별로 7개씩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주로 봄과 초여름 밤에 보이는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는 청룡(靑龍)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여름과 가을철에 보이는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은 현무(玄武)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가을과 겨울에 보이는 규(奎)·누(婁)·위(胃)·묘(昴)·필(畢)·자(觜)·삼(參)은 백호(白虎)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겨울에 보이는 정(井)·귀(鬼)·유(柳)·성(星)·장(張)·익(翼)·진(軫)은 주작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했다.
익성의 기준별인 거성(距星)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성도(星圖)에는 수도선이 ‘υ Hya(입실론 바다뱀자리)’라는 별을 지나고 있으므로 이 별을 수거성(宿距星)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당나라 때 수정되어 지금까지 내려오는 중국 별자리 체계에서는 컵자리의 ‘α Crt(알파 컵자리)’를 수거성으로 보고 있다.
조선시대의 천문학자들은 별점을 칠 때 일반적으로 『천문류초(天文類抄)』를 참고하였다. 이 『천문류초』의 원전은 송(宋)나라의 정초(鄭樵)가 편찬한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이다.
『통지』「천문략」에서는 익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감덕(甘德)이 말하기를 ‘익성은 태미(太微)와 삼공(三公), 교화와 도덕 그리고 문적(文籍)을 주관한다. 그 별들이 빛깔을 잃으면 백성들이 유랑할 것이고,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나거나 오행성이 아울러 역행하거나 빛살이 까끄라기처럼 보이거나 동요하면 교화와 도덕이 실행되지 않고 문적이 괴멸될 것이다. 별들이 움직여 이동하면 삼공(三公)을 폐하게 되고, 별들이 밝고 크면 교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하였다. 『수서(隋書)』「천문지(天文志)」에서는 ‘익성은 하늘의 음악을 맡은 관청[樂府]으로 배우와 광대·악사를 주관한다고도 하고, 또 오랑캐와 멀리서 온 사신 그리고 부해(負海)에서 온 손님을 주관한다고도 한다. 익성이 밝고 크면 예악(禮樂)이 흥성하고 사방의 오랑캐들이 찾아온다. 익성을 이루는 별들이 움직이면 남쪽 오랑캐[蠻夷]의 사신이 오며, 별들이 떨어져 나가 자리를 옮기면 천자(天子)가 군사를 일으킨다. 혹은 이르되, 익성이 밝으면 예악이 흥성하고 어두우면 정치와 교육을 잃는다. 익성에서 일식이 일어나면 신하가 왕을 업신여기며, 월식이 일어나면 부인들이 근심하고, 오행성·패성(孛星)·별똥별·객성(客星)이 익성을 침범하면 아주 흉하다.’ 하였다.” 여기서 침범한다[犯]는 것은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익성’으로 표현한 기록이 가장 자주 나온다. 예를 들어, 혜성이 우할성(右轄星)의 서쪽에 나타났는데, 점차 익성 아래로 진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다(『현종개수실록』 5년 10월 28일). ‘익수(翼宿)’라고 표현한 경우도 약간 있다. 예를 들어, 밤 3경에 혜성의 일종인 치우기(蚩尤旗)가 진방(辰方)의 하늘가에 나타났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높아지더니, 익수를 지났다. 치우기의 뿌리 부분[本]은 각수(角宿)의 수도(宿度) 안에 있었으며, 길이는 10여 장(丈)이 될 수 있을 정도였고, 너비는 1척(尺) 남짓, 빛깔은 전에 비해서 점차 옅어졌다는 기록이 있다(『광해군일기』 10년 10월 9일). 여기서 수도라는 것은 28수 각각이 차지하는 적경의 범위를 뜻한다.
참고문헌
- 『통지(通志)』 「천문략(天文略)」
- 『천문류초(天文類抄)』
- 안상현,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별자리』, 현암사, 200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