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수(宋麒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명사전|대표표제=송기수|한글표제=송기수|한자표제=宋麒壽|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중종~선조|집필자=이기순|자= 태수(台叟) |호= 추파(楸坡), 눌옹(訥翁)|봉작= 덕은군(德恩君) |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07년(중종2)|사망=1581년(선조14) 1월 초3일|본관=은진(恩津)|주거지= 충청도 회덕(懷德), 서울|묘소소재지= 충청도 회덕(懷德) 식장산(食藏山) |증조부= 송순년(宋順年) |조부= 송여해(宋汝諧) |부= 송세충(宋世忠) |모_외조=전주이씨( | + | {{인명사전|대표표제=송기수|한글표제=송기수|한자표제=宋麒壽|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중종~선조|집필자=이기순|자= 태수(台叟) |호= 추파(楸坡), 눌옹(訥翁)|봉작= 덕은군(德恩君) |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07년(중종2)|사망=1581년(선조14) 1월 초3일|본관=은진(恩津)|주거지= 충청도 회덕(懷德), 서울|묘소소재지= 충청도 회덕(懷德) 식장산(食藏山) |증조부= 송순년(宋順年) |조부= 송여해(宋汝諧) |부= 송세충(宋世忠) |모_외조=전주이씨(全州李氏): 이심원(李深源)의 딸, 주계군(朱溪君)의 딸|형제=(4촌)송귀수(宋龜壽), 송인수(宋麟壽) (8촌)송남수(宋柟壽)|처_장인=평강채씨(平康蔡氏): 채침(蔡忱)의 딸 →(자녀)3남 4녀|자녀=(1자)송응개(宋應漑) (2자)송응형(宋應泂) (3자)송응순(宋應洵) (1녀)한극창(韓克昌)의 처 (2녀)신승서(申承緖)의 처, 신흠(申欽)의 모 (3녀)김첨(金瞻)의 처 (4녀)유대수(兪大脩)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추파집(秋坡集)』|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366|실록연계=}} |
=='''총론'''== | =='''총론'''== | ||
− | [1507년(중종2)∼1581년(선조14) = 75세]. 조선 중기 중종∼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태수(台叟)이고, 호는 추파(楸坡) · 눌옹(訥翁)이다. 본관은 은진(恩津)인데, 서울 출신이다. 아버지는 가평군수(加平郡守)[[송세충(宋世忠)]]이고, 어머니 전주이씨( | + | [1507년(중종2)∼1581년(선조14) = 75세]. 조선 중기 중종∼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태수(台叟)이고, 호는 추파(楸坡) · 눌옹(訥翁)이다. 본관은 은진(恩津)인데, 서울 출신이다. 아버지는 가평군수(加平郡守)[[송세충(宋世忠)]]이고, 어머니 전주이씨(全州李氏)는 주계군(朱溪君)이심원(李深源)의 딸이다. 부사[[송여해(宋汝諧)]]의 손자이고, [[대사헌(大司憲)]]송인수(宋麟壽)의 4촌 동생이다. 영의정상촌(象村)[[신흠(申欽)]]의 외조부이다. |
=='''중종 시대 활동'''== | =='''중종 시대 활동'''== | ||
− | 1534년(중종29) 식년(式年)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藝文館)]]에 들어가서 검열(檢閱) · [[대교(待敎)]] · [[봉교(奉敎)]]로 차례로 승진하였다. 호당(湖堂)에 뽑혀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는데, 그의 명성이 날로 높아지자, 권신 김안로( | + | 1534년(중종29) 식년(式年)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藝文館)]]에 들어가서 검열(檢閱) · [[대교(待敎)]] · [[봉교(奉敎)]]로 차례로 승진하였다. 호당(湖堂)에 뽑혀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는데, 그의 명성이 날로 높아지자, 권신 김안로(金安老)가 자기편에 끌어들이려고 좋은 향(香)과 묵(墨)을 선사하였다. 그러나 이를 받아서 담장 틈에 내버렸다가 발각되어, 김안로 일당에게 배척을 당하여 진로가 막혔다. 1537년(중종32) 김안로가 실각하고 나서야 비로소 기용되어, 1538년(중종33) 홍문관에 들어가서 [[수찬(修撰)]] · [[교리(校理)]]로 승진하였고, 이조 정랑으로 전임되었다. 이듬해 강원도어사(江原道御使)에 임명되어 실농(失農)한 형편을 살펴보고 조정에 보고하였다. 1541년(중종36) 사헌부 [[장령(掌令)]]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홍문관 [[응교(應敎)]]를 거쳐, 사헌부 [[집의(執義)]]로 승진되었다. 1543년(중종38) 충청도어사(忠淸道御使)에 임명되어 재상(災傷)의 형편을 살펴보고 보고하였다. 1544년(중종39) 홍문관 [[직제학(直提學)]]이 되었다가, 승정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었다. |
=='''인종∼명종 시대 활동'''== | =='''인종∼명종 시대 활동'''== |
2018년 1월 9일 (화) 22:45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송기수 |
한글표제 | 송기수 |
한자표제 | 宋麒壽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중종~선조 |
집필자 | 이기순 |
자 | 태수(台叟) |
호 | 추파(楸坡), 눌옹(訥翁) |
봉작 | 덕은군(德恩君)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507년(중종2) |
사망 | 1581년(선조14) 1월 초3일 |
본관 | 은진(恩津) |
주거지 | 충청도 회덕(懷德), 서울 |
묘소소재지 | 충청도 회덕(懷德) 식장산(食藏山) |
증조부 | 송순년(宋順年) |
조부 | 송여해(宋汝諧) |
부 | 송세충(宋世忠) |
모_외조 | 전주이씨(全州李氏): 이심원(李深源)의 딸, 주계군(朱溪君)의 딸 |
형제 | (4촌)송귀수(宋龜壽), 송인수(宋麟壽) (8촌)송남수(宋柟壽) |
처_장인 | 평강채씨(平康蔡氏): 채침(蔡忱)의 딸 →(자녀)3남 4녀 |
자녀 | (1자)송응개(宋應漑) (2자)송응형(宋應泂) (3자)송응순(宋應洵) (1녀)한극창(韓克昌)의 처 (2녀)신승서(申承緖)의 처, 신흠(申欽)의 모 (3녀)김첨(金瞻)의 처 (4녀)유대수(兪大脩)의 처 |
저술문집 | 『추파집(秋坡集)』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송기수(宋麒壽) |
총론
[1507년(중종2)∼1581년(선조14) = 75세]. 조선 중기 중종∼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태수(台叟)이고, 호는 추파(楸坡) · 눌옹(訥翁)이다. 본관은 은진(恩津)인데, 서울 출신이다. 아버지는 가평군수(加平郡守)송세충(宋世忠)이고, 어머니 전주이씨(全州李氏)는 주계군(朱溪君)이심원(李深源)의 딸이다. 부사송여해(宋汝諧)의 손자이고, 대사헌(大司憲)송인수(宋麟壽)의 4촌 동생이다. 영의정상촌(象村)신흠(申欽)의 외조부이다.
중종 시대 활동
1534년(중종29) 식년(式年)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藝文館)에 들어가서 검열(檢閱) · 대교(待敎) · 봉교(奉敎)로 차례로 승진하였다. 호당(湖堂)에 뽑혀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는데, 그의 명성이 날로 높아지자, 권신 김안로(金安老)가 자기편에 끌어들이려고 좋은 향(香)과 묵(墨)을 선사하였다. 그러나 이를 받아서 담장 틈에 내버렸다가 발각되어, 김안로 일당에게 배척을 당하여 진로가 막혔다. 1537년(중종32) 김안로가 실각하고 나서야 비로소 기용되어, 1538년(중종33) 홍문관에 들어가서 수찬(修撰) · 교리(校理)로 승진하였고, 이조 정랑으로 전임되었다. 이듬해 강원도어사(江原道御使)에 임명되어 실농(失農)한 형편을 살펴보고 조정에 보고하였다. 1541년(중종36) 사헌부 장령(掌令)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홍문관 응교(應敎)를 거쳐, 사헌부 집의(執義)로 승진되었다. 1543년(중종38) 충청도어사(忠淸道御使)에 임명되어 재상(災傷)의 형편을 살펴보고 보고하였다. 1544년(중종39) 홍문관 직제학(直提學)이 되었다가, 승정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었다.
인종∼명종 시대 활동
인종 시대 승정원 좌승지 · 우승지를 역임하고, 1545년 명종이 즉위하자, 도승지로 승진되었다. 그의 4촌형 규암(圭庵)송인수가 일찍이 대사헌으로 있을 때 윤원형(尹元衡)을 탄핵하여 파직시켰으므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죽음을 당하였다. 그가 이를 구원하지 못하고, 승지(承旨)로서 오히려 위사공신(衛社功臣) 3등에 책훈되어 덕은군(德恩君)에 봉해지자, 사람들로부터 “형을 모함한 공신”이라고 지탄을 받았다. 한편, 송인수가 죽을 때 그에게 서신을 보내기를, “하늘과 땅만이 이 마음을 알 것이다. 자녀를 잘 부탁한다.” 하였다. 이를 보고 상심하다가 등창이 나서 자리에 누웠으나, 종형(從兄)의 고자(孤子)를 도와서 장례를 유감없이 치르도록 하였다. 호조 참판을 거쳐 강원도관찰사로 나갔다가, 형조 · 공조의 참판을 역임하였다. 1555년(명종5) 이조 참판에 임명되어, 사림파(士林派)의 남은 인재를 등용하려고 노력하다가,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 1557년(명종12) 성절사(聖節使)의 부사(副使)가 되어 중국 명(明)나라 북경(北京)에 다녀왔고, 이듬해 중추부 동지사에 임명되었다. 1559년(명종14) 예조 참판 · 사간원 대사간(大司諫)을 거쳐,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이 되었다가, 다시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 1563년(명종18) 의정부 좌참찬(左參贊)으로 승진하였다가, 예조 판서가 되었다. 성년이 된 명종은 외삼촌 윤원형을 견제하고자 1564년(명종19) 송기수를 특별히 이조 판서에 임명하여, 사림파의 인물을 등용하려고 하였다. 1565년(명종20)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죽자, 명종은 윤원형의 관직을 삭탈하여 귀양보내고, <을사사화> 때 귀양 갔던 사림파의 인물들을 석방하여 기용하였다. 1566년(명종21) 형조 판서로 전임되었다.
선조 시대 활동
1567년 선조가 즉위할 때, 선조가 명종의 조카인 까닭에 즉위에 관한 예에 대하여 여러 대신들의 논의가 분분하였다. 그러나 그가 경전에 의거하여 사군(嗣君)은 마땅히 오모백포(烏帽白袍)를 입고 소여(小輿)를 타고 광화문 서협(西夾)으로 들어와야 한다고 주장하여, 그대로 실행하였다. 1570년(선조3) 이조 판서를 다시 역임하였는데, 경연(經筵)에서 학문을 강론하면서 선조에게 많은 자문을 하였다. 한 번은 경연에서 <을사사화> 때의 일이 언급되었는데, 송기수는 울면서 자기의 억울한 사정을 진술하였고, 이 하소연에 좌우 사람들이 감동하였다. 마침 그 자리에는 맏아들 송응개(宋應漑)가 옥당(玉堂)으로서, 둘째 아들 송응형(宋應泂)이 승정원 주서(主書)로서 같이 참여하고 있었다.
1571년(선조4)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1573년(선조6) 다시 의정부 좌참찬에 임명되었다. 그 뒤에 호조 판서가 되었다가,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4조(朝)를 섬기면서 권세를 누렸으나, <을사사화> 때에 윤원형 일파에 가담하여 그의 4촌형 송인수를 모함하여 죽였다는 사림파의 비난을 면하지 못하였다. 이리하여 1577년(선조10) 폄출되어 품계가 강등되었다가 바로 회복되었다. 1581년(선조14년) 1월 초3일 노병으로 죽으니, 나이가 75세였다.
성품과 일화
송기수의 자질과 성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의 용모는 옥설(玉雪)처럼 깨끗하고 특히 귀가 커서 바라보면 마치 신선과 같았다. 소년시절부터 아이들과 장난치고 놀기보다 선생이나 어른들과 공부하고 토론하기를 좋아하였다. 평생 학문을 좋아하여, 혹시 자신의 노력이 부족하지 않았는가를 항상 반성하였다. 성리학(性理學)을 공부하면서 틈틈이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책들까지 읽어서 두루 정통하였다. 남과 농담하기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성현(聖賢)의 학문에 뜻을 두었다. 동주(東洲)성제원(成悌元)과 아주 친하게 교유하면서, 예(禮)가 아니면 행하지도 않았다. 당시에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서 사림파(士林派)의 젊은 선비들이 참혹하게 죽는 것을 보고, 모두 학문하기를 꺼려하였다. 그러나 그는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더욱 노력하여, 마침내 “성리학에 통달한 선비”가 되었다. 퇴계(退溪)이황(李滉)과도 친하게 교유하였는데, 『퇴계집(退溪集)』에 그에 관한 글이 11편이나 실려 있다.
<을사사화> 당시 송인수에 대한 송기수의 입장에 대해,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서는 『축수편(逐睡篇)』과 『패관잡기(稗官雜記)』를 인용해서 보여 주고 있다. 『축수편』에는 <을사사화>가 일어나기 직전에 어떤 사람이 그 계획을 그에게 알려주며 “규암(圭庵)이 화를 면하지 못할 것인데, 어떻게 하겠는가?” 라고 말하니, 그가 “동산에 가시덤불이 무성한데, 그 가운데 한 송이 매화가 있다면, 어찌 매화가 상한다고 가시덤불을 없애지 않을 수 있겠는가.” 라고 대답하였다고 전한다. 그리고 『패관잡기』에서는 윤원형이 “규암이 죄명을 쓰고 죽으니, 마음에 참으로 미안하다.” 라고 송기수에게 말하자, 그가 “특별한 곳의 매화가 어찌 오래 보존되겠습니까? 사람의 생사는 모두 운수가 있는 것이니, 무슨 한이 될 것이 있겠습니까?” 라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사람들이 그를 “형을 모함한 공신”이라고 비난하였으나, 당시 정황상 그가 윤원형의 제안을 거절하였다면 그도 송인수처럼 죽음을 당하였을 것이다. 송기수는 윤원형에게 한이 될 것이 없다고 대답하였으나 평생 이 일을 한스럽게 여겼다고 한다. 한편, 송기수는 곽순(郭珣)과 친한 친구 사이였는데, <을사사화> 때에 청도 운문산(雲門山)에 숨어 있던 곽순이 붙잡혀 장살(杖殺)당하여 시체가 그대로 길거리에 방치되어 있다는 말을 듣자, 즉시 달려가서 시체를 거두어 염습하고 장사를 지냈다.
묘소와 후손
묘소는 충청도 회덕(懷德) 식장산(食藏山) 언덕에 있고, 어릴 때 그가 데려다가 기른 외손자 상촌(象村)신흠(申欽)이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부인 평강채씨(平康蔡氏)는 대사헌채침(蔡忱)의 딸인데, 자녀는 3남 4녀를 두었다. 세 아들이 모두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장남 송응개는 대사간을 지냈고, 차남 송응형은 황주목사(黃州牧使)를 지냈으며 3남 송응순(宋應洵)은 홍문관 부제학(副提學)을 지냈다. 차녀가 개성도사(開城都事)신승서(申承緖)와 혼인하였는데, 그 사이에서 태어난 신흠은 영의정을 지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중종실록(中宗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추파집(秋坡集)』
- 『상촌집(象村集)』
- 『퇴계집(退溪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
- 『송자대전(宋子大典)』
- 『부계기문(涪溪記聞)』
- 『동각잡기(東閣雜記)』
- 『석담일기(石潭日記)』
- 『청음집(淸陰集)』
- 『간이집(簡易集)』
- 『계미기사(癸未記事)』
-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 『농암집(聾巖集)』
- 『입암집(立巖集)』
- 『송재유고(松齋遺稿)』
- 『금호유고(錦湖遺稿)』
- 『인재집(忍齋集)』
- 『미암집(眉巖集)』
- 『옥계집(玉溪集)』
- 『사암집(思菴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 『지퇴당집(知退堂集)』
- 『월사집(月沙集)』
- 『노봉집(老峯集)』
- 『지호집(芝湖集)』
- 『도곡집(陶谷集)』
- 『서산집(西山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