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극지(權克智)"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명사전|대표표제=권극지|한글표제=권극지|한자표제=權克智|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명종~선조|집필자=이현숙|자= 택중(擇仲) |호=|봉작=|시호= 충숙(忠肅)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38년(중종33)|사망=1592년(선조25)|본관=안동(安東)|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 경기도 양주(楊州) 천천리(泉川里)|증조부= 권령(權齡) |조부= 권박(權博) |부= 권덕유(權德裕) |모_외조=창녕조씨(昌寧曺氏): 조계상(曺繼商)의 딸|형제=(형)권극인(權克仁), 권극례(權克禮) (동생) 권극관(權克寬)|처_장인=완산이씨( | + | {{인명사전|대표표제=권극지|한글표제=권극지|한자표제=權克智|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명종~선조|집필자=이현숙|자= 택중(擇仲) |호=|봉작=|시호= 충숙(忠肅)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38년(중종33)|사망=1592년(선조25)|본관=안동(安東)|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 경기도 양주(楊州) 천천리(泉川里)|증조부= 권령(權齡) |조부= 권박(權博) |부= 권덕유(權德裕) |모_외조=창녕조씨(昌寧曺氏): 조계상(曺繼商)의 딸|형제=(형)권극인(權克仁), 권극례(權克禮) (동생) 권극관(權克寬)|처_장인=완산이씨(完山李氏): 이이수(李頤壽)의 딸 →(자녀)2녀|자녀=(1녀)이정귀(李廷龜)의 처 (2녀)이징길(李徵吉)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125|실록연계=}} |
=='''총론'''== | =='''총론'''== | ||
− | [1538년(중종33)∼1592년(선조25) = 55세]. 조선 중기 명종 · 선조 때에 활동한 문신. 자는 택중(擇仲)이고, 본관은 안동으로 권덕유(權德裕)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권극례(權克禮)]]의 동생이다. 또 조계상(曺繼商)의 외손이고, 이이수( | + | [1538년(중종33)∼1592년(선조25) = 55세]. 조선 중기 명종 · 선조 때에 활동한 문신. 자는 택중(擇仲)이고, 본관은 안동으로 권덕유(權德裕)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권극례(權克禮)]]의 동생이다. 또 조계상(曺繼商)의 외손이고, 이이수(李頤壽)사위이며 [[좌의정(左議政)]]이정귀(李廷龜)의 장인이다. |
=='''명종 시대 활동'''== | =='''명종 시대 활동'''== |
2018년 1월 9일 (화) 22:42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권극지 |
한글표제 | 권극지 |
한자표제 | 權克智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명종~선조 |
집필자 | 이현숙 |
자 | 택중(擇仲) |
시호 | 충숙(忠肅)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538년(중종33) |
사망 | 1592년(선조25) |
본관 | 안동(安東) |
주거지 | 서울 |
묘소소재지 | 경기도 양주(楊州) 천천리(泉川里) |
증조부 | 권령(權齡) |
조부 | 권박(權博) |
부 | 권덕유(權德裕) |
모_외조 | 창녕조씨(昌寧曺氏): 조계상(曺繼商)의 딸 |
형제 | (형)권극인(權克仁), 권극례(權克禮) (동생) 권극관(權克寬) |
처_장인 | 완산이씨(完山李氏): 이이수(李頤壽)의 딸 →(자녀)2녀 |
자녀 | (1녀)이정귀(李廷龜)의 처 (2녀)이징길(李徵吉)의 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권극지(權克智) |
총론
[1538년(중종33)∼1592년(선조25) = 55세]. 조선 중기 명종 · 선조 때에 활동한 문신. 자는 택중(擇仲)이고, 본관은 안동으로 권덕유(權德裕)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권극례(權克禮)의 동생이다. 또 조계상(曺繼商)의 외손이고, 이이수(李頤壽)사위이며 좌의정(左議政)이정귀(李廷龜)의 장인이다.
명종 시대 활동
30세이던 1567년(명종22) 문과(文科)에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에 선발되었다. 명종이 돌아가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할 때, 예문관 봉교(奉敎)로서 춘추관의 기주관(記註官)이 되었다. 이때, 형 권극례(權克禮)는 편찬관이 되어, 형제가 나란히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선조 시대 활동
선조 초기에 예조 · 병조 · 형조의 좌랑과 직강(直講), 사예(司藝), 사성(司成), 수찬(修撰), 교리(校理), 응교(應敎), 직제학(直提學), 정언(正言), 헌납(獻納), 사간(司諫), 지평(持平), 장령(掌令), 집의(執義), 사인(舍人)과 사복시(司僕寺) · 예빈시(禮賓寺) · 장악원(掌樂院)의 정(正)을 두서너 번씩 지냈는데, 교리 · 사간 · 사인을 여러 번 지냈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에 형 권극례와 함께 관련되었다고 조헌(趙憲)에게 탄핵을 당했다.
1589년(선조22)에 대사헌으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1591년(선조24) 형조 참판 및 경연 동지사 · 예조 판서가 되었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備邊司)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이 되어, 침식을 잊고 어려운 국사에 매달리다가 병을 얻어 사직했다. 전쟁 중에 국세가 날로 위급해가는 것을 보고 울분을 참지 못한 채 피를 토하고 운명하였다.
무덤과 공적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묘소는 임진왜란 중에 사위 이정귀가 가까운 언덕에 매장하였다가 왜적에게 도굴당하였다. 그 뒤에 시신을 거두어 경기도 양주(楊州) 천천리(泉川里)에 장례를 지냈는데, 사위 이정귀가 지은 묘표(墓表)가 남아 있다.
표문(表文)과 책문(策文)에 뛰어나서, 중국 명(明)나라와 왕래하던 외교 문서를 많이 지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월사집(月沙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 『초간집(草澗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기축록(己丑錄)』
- 『청음집(淸陰集)』
- 『혼정편록(混定編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