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殿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각종 사당이나 혼전(魂殿)·진전(眞殿)에 배치된 이속(吏屬).

개설

전직(殿直)은 전지기라고도 한다. 전직은 1396년(태조 5) 신덕왕후의 혼전인 인안전(仁安殿)에 처음 설치된 이후 각종 혼전이나 진전 및 사당 등에 배치되었다. 전직은 제향 때 올리는 찬수(饌需)나 사당 등의 청소 등을 수행하였다.

담당 직무

전직은 각 전의 청소를 비롯해 진상하는 찬수를 감독하였고(『세종실록』 4년 8월 24일), 소장하고 있는 악기의 관리를 담당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15년 5월 1일). 제향 때에는 신주의 출납을 담당하는 궁위령(宮闈令)의 역할을 담당하였다(『세종실록』 3년 11월 7일).

한편 1457년(세조 3) 9월에는 전직의 자격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당시에는 전직에 임명된 자들이 문자 해독 능력이 없거나 가난하고 정결하지 못하여 분향하고 청소하는 직임에 적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심지어는 축문도 읽지 못하는 자가 있었다. 이에 관찰사로 하여금 지역 사람으로 토관(土官)이나 지인(知印), 생도(生徒) 중에서 문자를 해독하고 임무를 감당할 만한 자를 가려 천망하도록 하였다(『세조실록』 3년 9월 14일).

전직의 전최(殿最)는 이미 이전에 관련 법규가 제정된 바 있는데, 지방에 소재한 전의 전직은 관찰사가 그 성적을 심사해서 우열을 정해 보고하였다(『세종실록』 24년 6월 22일).

변천

전직을 처음으로 설치한 것은 1396년 12월로,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의 혼전인 인안전에 전직 2명을 두었다(『태조실록』 5년 12월 21일). 이후에 소격전(昭格殿)을 비롯해 1418년(태종 18)에는 준원전(濬源殿)에 2명을 두었으며(『태종실록』 15년 10월 16일), (『태종실록』 18년 3월 3일), 문소전(文昭殿)이나 광효전(廣孝殿) 등에도 전직을 두었다. 이 밖에도 평양의 기자(箕子) 사당, 개성의 목청전(穆淸殿)에 두었다. 1442년(세종 24)에는 태조의 어진(御眞)이 봉안된 곳의 명칭을 전주는 경기전(慶基殿), 경주는 집경전(集慶殿), 평양은 영숭전(永崇殿)이라 하고 각각 전직 2명씩을 설치하였다(『세종실록』 24년 6월 22일). 1446년에는 휘덕전(輝德殿)에, 1450년(문종 즉위) 7월에는 경희전(景禧殿) 등에도 전직이 설치되었다. 조선후기까지도 문소전이나 경기전 등 각 전이 존재한 것으로 보아 이후에도 계속 존속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