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출장(印出匠)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책을 인쇄하던 장인.

개설

인출장(印出匠)은 조선시대에 인쇄를 담당했던 주자소(鑄字所)나 서적 간행을 담당하던 교서관(校書館)에서 인쇄를 담당했던 장인을 말하며 인수(印手)라고도 하였다. 또는 사섬시(司贍寺)에서 닥나무 종이로 만든 저화를 인쇄하던 장인을 의미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경전과 학술 서적·개인 문집 등의 간행이 활발하여 인쇄를 담당하던 인출장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서적의 간행은 인출장뿐만 아니라 각자장(刻字匠)주장(鑄匠), 목장(木匠), 균자장(均字匠) 등 다양한 장인의 분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직무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정에 의해 상벌이 적용되었다.

담당 직무

태종은 우문정책(右文政策)을 펴기 위해 책을 널리 보급하려 하였다. 이에 조정에는 주자소나 교서관과 같이 서적의 간행을 담당하는 관서들이 적극적으로 설치되었고, 전 시대에 걸쳐 수많은 서적들이 간행되었다.

인출장은 서적을 간행하는 과정에서 미리 준비된 목각판이나 목활자판·금속활자판에 먹물을 칠한 다음 종이를 놓고 바렌으로 문질러서 한 장씩 인출해내는 인출 과정을 담당한다. 그러나 서적의 인쇄에는 인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인이 필요하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주자소에는 인쇄와 관련된 전문 장인으로 금속활자를 만드는 야장(冶匠) 6명, 글자를 나란히 배열하는 균자장 40명, 인쇄를 담당하는 인출장 20명, 글자를 주조하는 각자장 14명, 구리를 주조하는 주장 8명, 주조된 활자를 다듬는 조각장(雕刻匠) 8명, 인쇄 판형에 필요한 목재를 다루는 목장 2명, 종이를 재단하는 지장(紙匠) 4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들 장인의 구성을 보면 활자의 주조에서 책자 인쇄에 이르기까지 모든 부분이 전문 분야별로 나누어져 분업화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서적의 간행에 관련된 장인들에게 내린 상벌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473년(성종 4)에는 세종·문종·세조·예종의 실록의 인출을 끝낸 공을 인정하여 관계자들에게 호피(虎皮)·녹피(鹿皮) 등을 하사한 기록과 중종대에도 실록청의 인출장에게 포상한 기록이 나와있다(『중종실록』 35년 4월 25일). 특히 1543년에 간행된 법전인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에 기술된 서적 간행에 관계된 규정과 1563년(명종 18) 3월 13일의 승전(承傳) 내용을 거론한 기사가 있어 당시 서적의 인쇄에 대한 상황을 말해준다. 그 내용을 보면 서책을 인쇄할 때 참여했던 장인들은 한 권에 한 자의 착오가 있으면 30대의 곤장을 맞고, 한 자씩 더 틀릴 때마다 한 등급씩 더 엄한 벌을 받는다. 그리고 인출장은 한 권에 먹이 진하거나 희미한 글자 한 자가 있을 때 30대의 매를 맞고 한 자가 더할 때마다 벌이 한 등을 더했다. 또 관리·감독을 하는 교서관은 다섯 자 이상 틀렸을 때는 파직되었고, 교정을 담당하던 창준(唱準) 이하의 장인들은 매를 맞은 뒤 50일의 근무 일자를 깎았다. 그러나 1563년 3월 13일의 승전에는 글자가 틀린 것에 대해 곤장 100대 정도로 조율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조선시대 서책을 간행함에 매우 엄격한 규정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선조실록』 6년 3월 17일).

변천

각수가 판각한 목판으로 인출하는 목판 인쇄술이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을 신라시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로는 751년경에 간행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본이다. 목판본은 한번 새겨놓으면 계속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 활자 인쇄가 보급된 이후에도 조선후기까지 계속되었다. 활자 인쇄는 활자를 한 자씩 또는 드물게는 몇 자씩 붙여서 제작하여 인판에 배열한 뒤 먹물을 칠하여 찍어내는 인쇄법이다. 활자는 한번 만들어놓으면 조판에 따라 계속 다른 책들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목활자 및 금속활자 인쇄가 개발된 이후에는 서적의 간행이 더욱 활발해졌다.

고려시대에는 인쇄술의 발달에 따라 관아와 사찰을 중심으로 불교 경전 간행을 비롯한 서적 인출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의 인쇄술을 바탕으로 유교 경전 및 각종 서적들의 간행을 위한 인출이 어느 시기보다도 활발하였다. 특히 국초부터 서적원, 교서관, 주자소, 집현전(集賢殿), 간경도감(刊經都監) 등 서적 간행과 관련된 여러 기관들을 적극적으로 설치하고 다양한 서적들을 출간하였기 때문에 인출장을 비롯한 인쇄에 관계된 장인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국조보감감인청의궤(國朝寶鑑監印廳儀軌)』
  • 천혜봉, 『한국 서지학』, 민음사, 1997.
  • 청주고인쇄박물관, 『인쇄술과 역사발전』, 청주고인쇄박물관, 2012.
  • 옥영정, 「조선시대 인쇄관청의 활자인쇄장인 연구」, 『韓國文化』 제47호, 2009.
  • 임호원, 「조선시대 금속활자인쇄 조판술의 변천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