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안역(宣安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경상도의 도로망인 창락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위치했음.

개설

조선 세종 때 전국의 역로(驛路)를 44역도(驛道)-537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한 데 이어, 세조 때 다시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선안역(宣安驛)은 창락도(昌樂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 조선후기까지 존속했으나, 갑오개혁기인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세종실록』「지리지」 경상도 예안현 편에는, 역이 하나 있는데 1396년(태조 5)에 처음 설치한 신역(新驛)이라고 기록되어 있을 뿐 선안역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이후 역에 관한 각종 기록에 예안현에 선안역 외에 다른 역이 있다는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볼 때, 신역이 선안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짐작된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예안현 편에 따르면, 선안역에는 중마(中馬) 2필, 복마(卜馬) 8필과, 역리(驛吏) 39명, 역비(驛婢) 2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변천

1462년(세조 8)에는 세종대에 이어 전국의 역로를 개편·정비해 찰방(察訪)역승(驛丞)을 두었는데, 그 과정에서 선안역은 창락역(昌樂驛)·죽동역(竹洞驛) 등과 함께 경상좌도창락도찰방이 관할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1471년(성종 2)에는 병조의 건의를 받아들여 송라도(松羅道)안기도(安奇道)에 속한 일부 역의 행정 구역을 조정했는데, 그 결과 창락도에 속하게 되었다(『성종실록』 2년 윤9월 1일). 그 뒤 조선후기까지 창락도에 소속된 역으로 존속했으나,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선안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대동지지(大東地志)』에 모두 예안현 남쪽 3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쪽의 진보 각산역(角山驛)에서는 85리, 남쪽의 안동 안기역(安奇驛)에서는 40리, 서쪽의 안동 옹천역(翁泉驛)에서는 30리, 북쪽의 봉화 도심역(道深驛)에서는 45리 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선안역은 조선시대에는 예안현에 있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 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는 안동시 예안면 선양동에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오늘날의 위치는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선양리인데, 선양리의 자연 마을 중 하나인 역골은 조선시대에 선안역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