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衫)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의 위에 덮어 입는 홑옷.

개설

삼(衫)만으로는 의복의 특징을 알아내기 어렵다. 상장례에 착용하는 상의인 포삼(布衫), 조복(朝服)의 홍삼(紅衫), 공복(公服)의 주삼(朱衫), 제복(祭服)의 흑삼(黑衫), 생원·진사의 난삼(襴衫), 여인의 예복인 원삼·장삼(長衫) 등 특정한 의복을 지칭하는 경우가 있고, 악공복 중 홍초삼(紅綃衫), 녹초삼(綠綃衫), 조주삼(皂紬衫) 등 색채와 소재의 특성을 묘사한 경우가 있다.

연원 및 변천

한자 명칭에 대응하는 한글 명칭을 확인할 수 있는 어휘집인 『훈몽자회(訓蒙字會)』, 『아학편(兒學編)』, 『왜어유해(倭語類解)』에는 적삼으로, 『신증유합(新增類合)』에는 홑옷으로, 『자류주석(字類註釋)』에는 적삼, 홑으로 된 작은 저고리라는 뜻의 소유단유(小襦單襦)라고 기록하고 있어서 삼(衫)에 대응하는 우리말 명칭이 적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은 홑옷을 나타내는 명칭이지만 점차 길이가 긴 상의, 겉옷을 나타내는 단어로 쓰였다.

형태

상장례에 착용하는 최의(衰衣)를 베로 지은 옷이라고 하여 포삼이라고 한다. 조복과 제복에 입는 삼은 의라고도 하는데, 옆이 트였고 곧은 깃과 가장자리에 검은 선을 댔으며, 조복은 적초(赤綃), 제복은 흑초(黑綃)로 만들었다. 공복의 주삼은 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으며 무가 달리고 옆이 트였다. 악공복인 홍초삼, 녹초삼, 비란삼, 조주삼 등은 공복의 형태를 닮아서 둥근 깃, 넓은 소매, 무가 달리고 옆이 트였다.

용도

적삼은 여름철 상의로 입는데, 속적삼의 경우는 가장 속에 입는 웃옷이다. 상장례에 착용하는 상복, 백관이 입는 조복·제복·공복, 악공복, 부녀 예복 등 여러 의복을 가리키며, 착용하는 용도도 다양하다.

참고문헌

  • 『악학궤범(樂學軌範)』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김은정, 「어휘집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복식명칭분석」,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