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두성(南斗星)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 별자리인 28수(宿) 가운데 8번째 별자리[宿].

개설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28수가 방위에 따라 4가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여겼다. 두성(斗星)은 그중에서 북방 현무(玄武)에 속하는 일곱 별자리 중에서 첫째 별자리이다. 두성은 남두성(南斗星)이라고도 하며, 서양별자리로는 궁수자리의 일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별자리의 수거성(宿距星)은 ‘φ Sgr(피 궁수자리)’라는 별이다.

내용 및 특징

밤하늘에는 늘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붙박이별[恒星]들과 그 붙박이별을 배경으로 늘 자리를 옮기는 것처럼 보이는 해와 달, 그리고 오행성 등의 태양계 천체들이 있다. 이들 태양계 천체들은 밤하늘에서 주로 황도(黃道)를 따라 운행한다. 그래서 태양계 천체들의 위치를 기술할 때 황도 주위에 별자리들을 정해 두고 그 별자리들에 대한 상대 위치로 기술하면 편리하다. 이와 같은 동기로 서양 천문학에서는 황도 12궁을 지정하였고, 중국에서는 28수를 지정하였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왜 28개의 별자리를 정하였는지에 대해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그 중 유력한 설은, 달의 운행 주기인 항성월을 기준으로 했다는 설이다. 1항성월은 약 27.32일이기 때문에, 황도 주변에 27개나 28개의 별자리를 정해 두면 매일 변하는 달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28수를 이루는 28개의 별자리들은 각 계절별로 7개씩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주로 봄과 초여름밤에 보이는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는 청룡(靑龍)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여름과 가을철에 보이는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은 현무(玄武)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가을과 겨울에 보이는 규(奎)·누(婁)·위(胃)·묘(昴)·필(畢)·자(觜)·삼(參)은 백호(白虎)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겨울에 보이는 정(井)·귀(鬼)·류(柳)·성(星)·장(張)·익(翼)·진(軫)은 주작(朱雀)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했다.

단원자(丹元子)는 『보천가(步天歌)』에서 남두성이 북두칠성을 닮았다고 묘사하였다. 남두성은 북두칠성과 마찬가지로 국자의 자루를 병(柄)이라 부르고 국자 부분을 괴(魁)라고 부른다. 남두성의 국자 부분은 궁수자리의 ζ(제타)·τ(타우)·σ(시그마)·φ Sgr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자루 부분은 λ(람다)·μ Sgr(뮤 궁수자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국자의 목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는 궁수자리의 φ Sgr가 이 별자리의 기준별인 수거성이다.

북두(北斗)와 남두(南斗)를 대비하기도 하며, 북두칠성(北斗七星)이라는 호칭에 대비해 남두육성(南斗六星)이라고도 부른다. 도교에서는 북두칠성이 인간의 수명과 화복을 주관하며, 남두성은 수명을 늘려 준다고 믿었다.

조선시대의 천문학자들은 별점을 칠 때 일반적으로 『천문류초(天文類抄)』를 참고하였다. 『천문유초』와 그 원전으로 송(宋)나라의 정초(鄭樵)가 편찬한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이다. 『통지』「천문략」에서는 “두성(斗星)은 하늘의 사당[天廟]이다. 또한 천기(天機)라고도 한다. 황도(黃道)가 이 별자리를 꿰뚫고 지난다. 두성은 승상(丞相)이나 태재(太宰)의 지위이며, 정사의 옳음을 헤아리고 어질고 현명한 자를 천거하며 벼슬과 녹봉을 주는 일을 관장한다. 또한 군대의 일을 주관한다. 남쪽 두 별은 괴(魁)로서 하늘의 나루터[梁]이다. 중앙의 두 별은 천상(天相)이다. 북쪽 두 별은 천부(天府)의 뜰[庭]이다. 또한 수명을 기약하는데, 장차 천자(天子)에게 어떤 일이 생길 것 같으면 남두(南斗)에서 점을 친다. 별이 성대하고 밝으면 군신(君臣)이 한마음이 되고 천하가 화평하며 벼슬과 녹봉[爵祿]이 시행될 것이다. 별이 삐죽하고[芒] 각(角)이 지거나 동요하면 천자에게 근심이 있고 병란이 일어날 것이다. 별들이 이동하면 그 신하를 쫓아내게 된다. 해·달·오행성이 역행하여 두성(斗星)에 들어오면, 천하가 어지러워질 것이다. 패성(孛星)이 두성을 침범하면 병란이 일어날 것이고, 별들이 작고 어두워지면 재상을 폐하여 죽이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침범한다[犯]는 것은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남두성을 두(斗), 두성, 남두(南斗), 두수(斗宿) 등으로도 표현하고 있다. 가령, 두(斗)로만 표현된 경우를 하나 예로 들면, 달이 두의 네 번째 별을 침범하였는데, 간격이 1척(尺) 정도였다는 기록이 있다(『세종실록』 13년 9월 7일). 이날은 양력으로 10월 12일이고, 천문 계산을 해 보면, 이날 달이 φ Sgr 즉 남두성의 거성에 매우 가까이 접근해 있었다. 따라서 이 별이 남두성의 넷째 별이며, 남두성은 국자 부분을 이루는 별부터 순서를 매겼음을 알 수 있다. 고전 문헌에서는 흔히 두(斗)라고만 하면 북두(北斗)를 칭하기 때문에 이것을 ‘달이 북두성을 범했다’ 라고 번역하기 쉬운데, 달은 북두성에 접근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번역은 잘못된 것이다. 이러한 혼동을 막기 위해 대개 두라고만 쓰지 않고 남두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남두로 표현된 예를 들면, 달이 남두의 괴(魁)에 들었다는 기록이 있다(『세종실록』 10년 8월 8일). 두수로 표현된 사례는 많지 않다. 1702년(숙종 28)에 나타난 혜성의 좌표를 입수도(入宿度)로 표현하면서 두수에서 10° 떨어져 있다고 표현한 것이 있다(『숙종실록』 28년 3월 27일). 또한 달이 두수의 세 번째 별을 침범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숙종실록』 8년 11월 5일). 그러나 이날은 양력으로는 12월 3일인데, 이날 달이 범한 것은 두성이 아니라 우성(牛星)의 남쪽 세 별 중에서 π Cap(파이 염소자리)이며 19시 13분에는 달이 이 별을 가렸다. 여러 가지를 고려했을 때, 이 기록은 두수가 아니라 우수(牛宿)의 오류로 보인다.

참고문헌

  • 『천문류초(天文類抄)』
  •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
  • 『보천가(步天歌)』
  • 안상현,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별자리』, 현암사, 200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