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영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html>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6/A026.htm 영조의 어제경민음]'''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6/A026.htm 영조의 어제경민음 지식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2/A202.htm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2/A202.htm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4/A024.htm 어제자성편 언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4/A024.htm 어제자성편 언해 지식관계망]'''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0/A140.htm 무목왕정충록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0/A140.htm 무목왕정충록 지식관계망]''' |
2017년 11월 13일 (월) 22:57 판
조선 영조 (朝鮮 英祖) |
|
대표명칭 | 조선 영조 |
---|---|
한자표기 | 朝鮮 英祖 |
지위/역할 | 조선의 제21대 왕 |
이칭/별칭 | 자 광숙(光叔) 휘 금(昑) 호 양성헌(養性軒) 연잉군(延礽君) |
재위기간 | 1724년 8월 30일-1776년 3월 5일(음) |
출생사망 | 1694년 9월 13일-1776년 3월 5일(음) |
능묘 | 원릉(元陵) 37.620781, 127.129345 |
배우자 | 정비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계비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金氏) |
자녀 | 2남 12녀, 진종(眞宗), 사도세자 |
부친 | 숙종(肅宗) |
전임자 | 경종(景宗) |
후임자 | 정조(正祖) |
목차
정의
조선의 제21대 왕이다.
내용
생애
이름이 금(昑)으로, 숙종의 아들이며, 어머니가 숙빈 최씨(淑嬪 崔氏)이다. 1699년(숙종 25) 연잉군(延礽君)에 봉해졌고, 1721년(경종 1) 왕세제로 책봉됐다. 1724년(영조 즉위) 왕위에 올랐고, 1757년(영조 33) 원비인 정성왕후(貞聖王后) 서씨(徐氏)가 세상을 떠나자 상기를 마친 후 계비로 정순왕후 김씨를 맞아들였다.
거행 의례
탕평의 시도
1728년 이인좌(李麟佐)가 주도가 된 무신란(이인좌의 난)과 1755년‘ 을해옥사(나주괘서사건)’가 일어났다. 1762년에는 사도세자 뒤주에 가두어 죽게 하는 등의 정치적 파란도 겪었다. 그러나 영조는 일관되게 탕평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조선 영조는 당파의 시비를 가리지 않고, 어느 당파이든 온건하고, 타협적인 인물을 등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광운(吳光運), 채제공(蔡濟恭) 등의 남인과 남태제(南泰齊) 등의 북인까지 끌어들였다. [1]
민생안정 추구
균역법(均役法)을 제정하여 민중들의 세금 부담을 크게 줄였다. 신문고(申聞鼓) 제도를 부활하여 백성들의 억울한 일을 왕에게 직접 알리도록 하였다. 압슬형(壓膝刑)을 폐지하고, 삼심제(三審制)를 시행하여 형벌에 신중을 기하게 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시켰다. 어제계주윤음과 어제경민음을 내리고, 가체의 사용을 금지하는 등 낭비를 금하였다.[2]
법과 의례 관련 서적 편찬
속대전(續大典),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를 편찬하였으며, 백과사전류인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만들었다. 성리학적 지식과 학문이 뛰어난 조선 영조는 스스로 어제자성편(御製自省編)을 비롯하여 어제경세문답(御製磬世問答) 등의 글을 짓기도 하였다. [3]
지식 관계망
- 영조와 정순왕후 가례
- 영조의 어제경민음 지식관계망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 어제자성편 언해 지식관계망
- 무목왕정충록 지식관계망
- 무예도보통지언해 지식관계망
- 을병연행록 지식관계망
- 여사서 지식관계망
- 어제내훈 지식관계망
- 열성후비지문 지식관계망
- 고문진보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영조 | 이인좌의 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을해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사도세자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조선 영조 | 균역법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신문고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삼심제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계주윤음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국조속오례의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어제경민음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속대전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조선 영조 | 어제자성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어제자성편 언해 | 어제자성편 | A는 B의 언해본이다 | A edm:isDerivativeOf B |
동국문헌비고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어제경세문답 편찬 | 어제경세문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사례의궤 | 조선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순왕후 김씨 | 조선 영조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소훈이씨제문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광산김씨 상언 | 조선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자진휼사목 | 조선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자휼전칙 | 임자진휼사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가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가체신금사목 | 가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조선 영조 | 조선 숙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조선 영조 | 여사서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조선 영조 | 어제내훈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조선 영조 | 정성왕후 서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열성후비지문 | 정성왕후 서씨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영조 어진 | 조선 영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영조 어진 | 창덕궁 선원전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창덕궁 선원전 | 선원전 은제기 목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이륜행실도 | A는 B에 의해 중간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무목왕정충록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무목왕정충록 | 웅대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조선 영조 | 효장세자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조선 영조 | 경종국장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조선 영조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정순왕후의 혼례식 - 왕실의 혼례 절차와 복식 | 조선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순왕후의 혼례식 - 왕실의 혼례 절차와 복식 | 정순왕후 김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순왕후의 혼례식 - 왕실의 혼례 절차와 복식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채제공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조선 영조 | 강세황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조선 영조 | 이채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조선 영조 | 유언호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조선 영조 | 이삼 | A는 B를 수하로 두었다 | A ekc:hasSubject B |
조선 영조 | 문과시취의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문무과방방의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99년 | 조선 영조가 연잉군에 봉해졌다. |
1721년 | 조선 영조가 왕세제로 책봉되었다. |
1724년 | 조선 영조가 즉위하였다. |
1728년 | 조선 영조가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였다. |
1755년 | 을해옥사가 일어났다 |
1759년 | 조선 영조가 정순왕후 김씨와 혼례를 올렸다. |
1762년 | 조선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게 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문화재청, "왕의 얼굴, 연잉군과 영조", 게시일: 2016년 07월 12일.
주석
- ↑ 이정민, "조선 영조",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정민, "조선 영조",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정민, "조선 영조",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정재훈, 『영조의 독서와 학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
- 고성훈, 『영조의 정통성을 묻다 : 무신란과 모반 사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박정혜, 『영조 대의 잔치 그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주영하, 『장수한 영조의 식생활』,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최봉영, 『영조와 사도세자 이야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김상환, 『영조어제 해제』,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1.
- 장서각, 『영조대왕』,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1.
- 신명호, 『영조의 통치이념과 개혁』,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
- 웹자원
유용한 정보
- 정지천, "조선왕 수명 47세, 영조대왕 83세...비결은 왕성한 신장의 정기", 『프리미엄조선』, 작성일: 2014년 04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