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개별 연구

red

Red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28일 (수) 10:32 판 (사례 연구 : 죽도(竹島)와 노(奴) 용이(龍伊))

연구 계획

연구 주제

  • 조선시대 고문서・고기록 자료 연계 데이터 기술 모델 연구

연구 목적

  • 최근 사회사·생활사 등의 유행으로 조선시대 고문서와 생활일기 자료가 여타 인문학 연구의 전면에 부각되고 있다. 조선시대 고문서는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5만여 점 이상, 서울대학교 규장각 5만여 점 이상 등 전국에 흩어져 있는 도서관과 박물관 및 여러 연구기관들의 소장 자료를 모두 포함할 경우 수십 만여 점 그 이상에 이를 것이라 추정되며, 조선시대 생활일기는 현재까지 발굴되어 알려진 것만 100여 종이 넘는다. 90년대 후반 이후 해당 자료들에 대한 본격적 탈초・번역・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로부터 15년이 넘은 2017년 현재 고문서(장서각 중심) 및 생활일기(국학진흥원 중심)에 대한 연구 성과 또한 조금씩 발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그러한 연구결과물들은 조선시대 생활사 연구의 주요한 성과들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 다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고문서나 생활일기에서 ‘노비’나 ‘제사’ 또는 ‘물가’ 관련 내용들을 발췌하여 이를 재구성하는 방식이 다수를 이루고 있어, 고문서나 생활일기에 담긴 총체적 정보를 종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그 속에서 연구 주제와 관련된 일부 내용, 예컨대 사회사나 경제사를 중심으로 한 학술 영역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선별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 고문서 및 생활일기 자료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문학 영역에서 보다 확장된 형태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 자료를 총체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인문학적 방법을 활용한 대상 자료의 재구조화 작업이 요청된다. 특히 고문서와 생활일기 자료는 그 양이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특정 개인이나 기관이 단일한 차원에서 정리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다. 향후 여러 개인과 기관 간의 협업을 통해 국내에 산적한 수많은 고문서와 생활일기 자료가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성격이 다른 여러 자료들이 연결될 수 있게끔 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고문서 및 생활일기 자료를 연계한 정보 모델을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관점에서 개발할 경우, 고문서와 생활일기가 보여줄 수 있는 조선시대 생활사 전반의 맥락을 드러내고, 또 특정 인물이나 공간과 관련된 주변인들의 삶, 인간관계, 사회구조와 조직 등을 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발굴된 여러 고문서와 생활일기 자료 가운데서도 현재 장서각 고문서 자료관에 구축되어 있는 대략 2,900여 점의 해남 윤씨 고문서와 해당 가문의 인물인 윤이후가 남긴 <지암일기> 8년 분량의 내용을 샘플 자료로 삼아 두 유형의 대상을 연계하여 정보화하는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유를 정리하여, 조선시대 고문서・고기록 자료 연계 정보 모델의 기초 체계를 정립하고자 하며, 그에 대한 기초 자료 정리 및 논리 구축 방향을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수강의 목적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고문서연구실과 인문정보학교실의 일부 연구자들은 고문서 연구를 위한 디지털 환경, 즉 고문서 연구자들이 직접 데이터의 생성과 분석,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고문서 아카이브 구현 방향을 아래와 같이 꾸준히 모색해 왔다.

    • 안승준, ‘규장각 장서각 연계 기록유산 DB 구축 사업’, 2014. 12. 장서각.
    • 김하영, ‘門中古文書 디지털 아카이브 구현 연구’, 2015. 8. 인문정보학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현, ‘관계의 발견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데이터 모델’, 2015. 11. 장서각 연구논문집.
    • 류인태, ‘조선시대 고문서 시맨틱 웹 DB 설계 기초 연구’, 2016. 10. 세계한국학대회발표논문집.
    • 김현, ‘고문서 연구를 위한 데이터 기술 모델’, 2016. 10. 역사학대회발표논문집.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현재까지 정리된 고문서 데이터 기술 모델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한다.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현재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대략 2,900여 점의 해남 윤씨 고문서를 샘플 자료로 삼아 유형・내용・인물별로 검토하고, 기존 데이터 기술 모델에서 포괄하지 못했던 유형의 고문서 형식 및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담아낼 수 있는 온톨로지를 설계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보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적정한 해남윤씨 족보를 선정하여 시각화DB(Neo4j)로 입력・구현할 예정이다. 족보를 중심으로 인물 네트워크 DB를 구현하고, 다시 해당 인물을 기준으로 고문서에 담긴 내용을 데이터로 정리해나가는 방식을 취할 경우 단계적 차원에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조선시대 고기록 즉, 생활일기 자료의 샘플로 선정한 <지암일기>는 현재 한국연구재단 주관의 인문전략연구 내 2016년 디지털 인문학 사업의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해당 연구과제의 명칭은 ‘데이터로 다시 읽는 조선시대 양반의 일상-<지암일기> 디지털 아카이빙 연구’이며, 본 강의 수강자는 현재 해당 연구에서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여 기초 데이터 입력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초 데이터 입력은 2017년 6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호스팅 서버에 Wiki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계된 온톨로지를 토대로 Wiki 문서를 작성하는 형식으로 <지암일기>에 기록된 보편적 정보인 날짜(시간), 지명(공간), 인명(인물)에 기초하여, 간척, 농사, 어로, 노비, 날씨, 교유, 여행, 통신, 유배, 시, 음악, 미술, 건축, 조경, 원예, 풍수, 의약 등 다양한 맥락의 데이터를 현재 추출하고 있다. 6월까지 진행될 기초 데이터 입력 과정 중에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상 자료의 구조 및 데이터 상호 간의 의미적 연관 관계를 전자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틀인 ‘<지암일기> 관련 지식 온톨로지’를 설계할 예정이며, 이 틀은 새로운 속성의 데이터가 추가되고, DB 구축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보완하기 위해 온톨로지 설계의 기술적 표준에 따라 확장 가능한(Extensible) 유연한 틀로 개발할 예정이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과정 중에 추출될 데이터, 설계될 온톨로지 모델을 정리하고 그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해남 윤씨 족보 및 고문서 자료에서 추출된 데이터와 생활일기 자료가 어떠한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연계를 통해 새롭게 개발될 수 있는 인문 지식의 가능성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접근해보고자 한다. 고문서 자료와 고기록 자료를 디지털 환경에서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편찬하는 작업은 현재까지 전례가 없는 상황이며, 전례가 없는 연구이기에 그것을 도모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 또한 뚜렷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그러한 연구방법론 수립에 가까워질 수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거칠게나마 조선시대 고문서・고기록 자료의 연구 저변을 확장할 수 있는 논리를 마련한다면, 향후 고문헌 연구와 관련된 디지털 인문학 논의에 있어서 보다 폭넓은 외연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연구 결과 활용방안

  • 고문서-고기록 자료 연구에 있어서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의 연계 효과
    본 연구는 과정 자체가 하나의 선례로서 DH(Digital Humanities) 연구의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 특히 고문헌 자료를 활용한 DH 연구 사례가 희소한 만큼, 해당분야에서 그동안 축적되어온 다량의 자료를 DB로 편찬하는 사업 및 연구에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예컨대 생활사 자료 및 기록들을 대상으로 할 경우, 본 연구의 성과를 표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시도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문중 고문서와 개별 일기 자료 및 기타 생활사 자료 DB와 시각화 결과물이 누적되고 축적된 콘텐츠들이 표준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로 연계될 경우에 ‘조선시대 생활사 자료 종합DB’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접근은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을 토대로 한 관찬 기록 중심의 연구를 넘어서, 개인의 기록과 다양한 민간 기록을 활용한 생활사, 문화사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 Wiki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구축 및 활용
    본 연구의 결과물은 Wiki 기반의 웹사이트로 구축될 예정인데, Wiki 소프트웨어가 지닌 상호적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향후 연구자 또는 일반인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증대시키고, 이용의 편의성을 제고할 여지가 풍부하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될 예정인 DB는, 향후 조선시대를 대상으로 한 문화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훌륭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조선시대 고문서 및 생활일기는 현재까지 문화콘텐츠 제작에서 잘 활용되어 오지 못한 생생한 조선시대의 일상사를 인문학 여러 분야의 전문가 및 일반 대중에게 소개할 수 있는 자료이다. 현재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제작되고 있는 영화, 드라마, 게임, 웹툰 등 여러 형식의 콘텐츠들은 조선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하였는지에 대한 구체적 근거를 확보하지 못한 채 개략적인 상상만으로 내용과 형식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될 결과물은 기존에 발굴되지 않았던 조선시대의 생생한 생활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제공함으로써, 전통시대를 배경으로 한 문화 콘텐츠 제작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참고 문헌

연구 일정

구분 연구 및 지도 내용 지도 일시 지도 장소 특기사항
01주차 연구주제 : 연구 목표 및 방법 검토 2017년
03월 08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생활사 자료로서의 조선시대 일기 및 문중고문서의 가치
연구내용2 : 문중고문서 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DH연구 맥락
02주차 연구주제 : 문중고문서 데이터 모델 기존 연구 정리 2017년
03월 15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선원속보> DB 관련 족보 데이터 기술 맥락
연구내용2 : 부안 김씨 고문서 샘플 연구 데이터 모델 검토
03주차 연구주제 : 장서각 소장 문중고문서 데이터 정리 현황 2017년
03월 22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고문서 분류 기준 논의에 대한 연구사 검토
연구내용2 : 한국 고문서 자료관의 향후 리뉴얼 방향 검토
04주차 연구주제 : 해남윤씨 고문서 샘플자료 검토 및 수집 -1 2017년
03월 29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17세기에 작성된 분재기 항목 및 내용 검토
연구내용2 : 17세기에 작성된 토지매매명문 항목 및 내용 검토
05주차 연구주제 : 해남윤씨 고문서 샘플자료 검토 및 수집 -2 2017년
04월 05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18세기에 작성된 분재기 항목 및 내용 검토
연구내용2 : 18세기에 작성된 토지매매명문 항목 및 내용 검토
06주차 연구주제 : 해남윤씨 고문서 샘플자료 검토 및 수집 -3 2017년
04월 12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17, 18세기에 작성된 여타 고문서 항목 및 내용 검토
연구내용2 : 17, 18세기에 작성된 간찰 항목 및 내용 검토
07주차 연구주제 : 실제 고문서 소장 종택 답사 2017년
04월 19일
경북 울진
경북 안동
춘계학술답사
연구내용1 : 전통 공간으로서의 종택이 지닌 역사적 의미 검토
연구내용2 : 고문서가 작성된 공간의 문화사적 가치 조사
08주차 연구주제 : 지암일기 샘플 데이터 검토 및 수집 -1 2017년
04월 26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인물’ 클래스 관련 샘플 데이터 검토 및 추출
연구내용2 : 고문서 자료와의 연계성 조사
09주차 연구주제 : 지암일기 샘플 데이터 검토 및 수집 -2 2017년
05월 03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공간’ 클래스 관련 샘플 데이터 검토 및 추출
연구내용2 : 고문서 자료와의 연계성 조사
10주차 연구주제 : 지암일기 샘플 데이터 검토 및 수집 -3 2017년
05월 10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사건’, ‘노비’ 클래스 관련 샘플 데이터 검토 및 추출
연구내용2 : 고문서 자료와의 연계성 조사
11주차 연구주제 : 고문서와 일기자료 연계 데이터 추출 2017년
05월 17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인물, 공간, 사건 클래스에 기초한 데이터 연계모형 정리
연구내용2 : 분재기, 토지매매명문을 기준으로 한 연계데이터 정리
12주차 연구주제 : 고문서와 일기자료 연계 데이터 분석 2017년
05월 24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표준적 데이터 기술을 위한 기초 사례 정리
연구내용2 : 여러 맥락의 사례 제시를 위한 효과적 연구방법 정립
13주차 연구주제 : 고문서와 일기자료 연계 샘플 DB 구현 -1 2017년
05월 31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위키 페이지에서 활용 가능한 ‘틀’과 ‘분류’ 모형 적용
연구내용2 : 실제 위키 페이지에 구현
14주차 연구주제 : 고문서와 일기자료 연계 샘플 DB 구현 -2 2017년
06월 07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기초 온톨로지를 토대로 한 네트워크 그래프 구현
연구내용2 : 위키에 구현된 텍스트 페이지와의 연계성 검토
15주차 연구주제 : 향후 심화 연구를 위한 방향성 검토 2017년
06월 14일
문형관 103호
인문정보학 연구실
연구내용1 : 보다 심화된 온톨로지 모형의 여러 가능성 정리
연구내용2 : ‘문집’ 자료 연계 시 확장될 수 있는 데이터 항목 검토

연구 진행

대상

  • 해남 윤씨 가문의 고문서와 고기록 그리고 고서 및 족보
  • 기본 데이터 정리는 위의 자료들을 중심으로 진행하되, 추가적으로 발견되는 문헌이 있을 경우 대상 자료로 추가할 예정

방법과 절차

기초 작업 : 대상자료 검토 및 데이터 정리

  • 고문서 자료 검토 : 해남 윤씨 고문서
    • 3,000 여건에 달하는 대량의 고문서에 담긴 데이터를 모두 추출하기보다 윤선도-윤인미-윤이후-윤두서(대략 100년 : 1600년-1700년)로 이어지는 4代의 시기 가운데서도 『지암일기』에 담긴 인물, 장소, 물품, 개념 등의 정보를 중심적으로 담고 있는 고문서들을 선정하는 방향으로 진행
    • 예시) 『지암일기』에서 주로 거론되는 토지는 "백야지(白也只)"나 "죽도(竹島)" 인근의 전답들인데, 그 두 지역에 초점을 두고 고문서를 선정할 경우, 대략 100여 건이 그에 해당
    • 현재 다각도의 맥락에서 진행중
번호 고문서명 내용 관련 인물 고문서자료관 URL 유형 작성연도
1596년 윤유심(尹唯深) 남매 분재기(分財記) 윤의중이 죽고, 그의 적자녀 3남매가 재산을 나누며 작성한 문서 윤유심, 윤유기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596년
1602년 윤유기(尹唯幾) 계후입안(繼後立案) 윤유기가 윤선도를 양자로 데려오는 입안 윤유기,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입안 1602년
1612년 윤유심(尹唯深) 분재기(分財記) 생부 윤유심이 윤선도의 과거합격을 축하하며 분재한 문서 윤유심,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12년
1615년 윤선언(尹善言) 남매 분재기(分財記) 초본(草本) 윤유심이 죽고, 그의 적자녀 3남매가 재산을 나누며 작성한 문서 윤선언,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15년
1619년 윤유기 처 능성구씨 남매 분재기(分財記) 윤유기 처 능성구씨 남매가 부모의 재산을 나눠가지면서 작성한 문서 윤유기,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19년
1622년 윤선도(尹善道)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윤선언이 집안의 노비 3구를 동생 윤선도에게 팔면서 작성한 문서 윤선언,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노비매매명문 1622년
1624년 윤선도(尹善道) 남매 분재기(分財記) 초본(草本) 윤선도 형제가 부모의 재산을 나눠가질 때 작성한 문서의 초본 윤선도, 윤선양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24년
1625년 윤도사댁(尹都事宅) 호노(戶奴) 순충(順忠)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수인(守仁)이 윤도사(尹都事)댁 호노(戶奴) 순충(順忠)에게 논을 방매(放賣)한 토지매매명문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25년
1628년 사노(私奴) 기춘(己春)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28년
1629년 윤선도(尹善道)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노비매매명문 1629년
1629년 호노(戶奴) 만련(萬連) 소지(所志)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29년
1629년 김효제(金孝悌) 초사(招辭)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초사 1629년
1629년 김정립(金正立) 초사(招辭)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초사 1629년
1629년 윤선도(尹善道) 입안(立案)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입안 1629년
1629년 박응립(朴應立)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29년
1629년 사노(私奴) 끗세(唜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29년
1629년 윤도사댁(尹都事宅) 호노(戶奴) 끗세(唜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29년
1629년 의호(儀浩)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29년
1630년 유항(柳恒) 분재기(分財記) 유항이 사위 윤인미의 사마시 합격 선물로 노비를 증여하면서 작성해준 문서 유항,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30년
1630년 윤선도(尹善道) 분재기(分財記) 윤선도가 사마시에 동시에 합격한 두 아들에게 노비와 토지를 나눠주면서 작성해준 문서 윤선도,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30년
1634년 노(奴) 세박(世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34년
1634년 사노(私奴) 말세(唜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34년
1637년 김춘처(金春處)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37년
1638년 김도남(金道男)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38년
1640년 사노(私奴) 김희세(金希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40년
1644년 윤예미(尹禮美) 간찰(簡札) 고문서자료관 정보 간찰 1644년
1645년 승 학선(學禪)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사노 춘매가 승 학선에게 논 5마지기와 밭 5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거래문서이다.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45년
1645년 노 춘매(春每) 배지(牌旨) 고문서자료관 정보 배지 1645년
1645년 사노(私奴) 희세(希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45년
1646년 윤생원댁(尹生員宅) 노(奴) 애순(愛順)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46년
1646년 차노(差奴) 가응이(加應伊) 배지(牌旨) 고문서자료관 정보 배지 1646년
1647년 사노 말단(末段)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47년
1647년 윤성산댁(尹星山宅) 호노(戶奴) 춘립(春立) 소지(所志)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47년
1647년 해남현 입안(立案) 고문서자료관 정보 입안 1647년
1649년 김정희(金丁希)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49년
1649년 노 금춘(金春)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49년
1649년 윤선계소장전답문권(尹善繼所藏田畓文券) 고문서자료관 정보 전답안 1649년
1651년 계생(戒生)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1년
1651년 덕술(德述)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1년
1651년 사노(私奴) 계생(戒生)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1년
1652년 윤선도(尹善道) 녹패(祿牌)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녹패 1652년
1652년 윤선도(尹善道) 유지(有旨)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유지 1652년
1652년 윤인미(尹仁美) 차첩(差帖)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차첩 1652년
1652년 임충의댁(林忠義宅) 호노(戶奴) 금이(金伊)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2년
1652년 정민(丁民)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2년
1653년 이후징(李厚徵) 간찰(簡札)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간찰 1653년
1653년 처제동생(妻弟同生)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3년
1655년 강천갑(姜阡甲)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5년
1655년 김수흥(金洙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5년
1655년 윤인미(尹仁美) 간찰(簡札) 윤인미, 윤선도 고문서자료관 정보 간찰 1655년
1657년 윤월(尹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7년
1658년 윤인미(尹仁美)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고문서자료관 정보 노비매매명문 1658년
1658년 윤인미(尹仁美) 소지(所志)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58년
1658년 고(故) 윤선언(尹善言) 처(妻) 원씨(元氏) 초사(招辭) 고문서자료관 정보 초사 1658년
1658년 윤이후(尹爾厚) 초사(招辭) 고문서자료관 정보 초사 1658년
1658년 윤인미(尹仁美) 입안(立案) 고문서자료관 정보 입안 1658년
1658년 노(奴) 애순(愛順)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8년
1658년 말매(末妹)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8년
1658년 윤별좌댁(尹別坐宅) 노(奴) 애순(愛順)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8년
1659년 김여룡(金麗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거래 고문서자료관 정보 토지매매명문 1659년
1660년 윤선도(尹善道) 간찰(簡札) 윤선도,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간찰 1660년
1662년 윤생원댁(尹生員宅) 노(奴) 성록(聖祿) 소지(所志)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62년
1662년 윤생원댁(尹生員宅) 노(奴) 성록(聖祿) 의송(議送) 고문서자료관 정보 의송 1662년
1662년 윤인미 처모 안씨(安氏) 분재기(分財記)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62년
1663년 윤인미(尹仁美)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노비매매명문 1663년
1663년 윤인미(尹仁美) 소지(所志)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63년
1663년 과부(寡婦) 원씨(元氏) 초사(招辭) 고문서자료관 정보 초사 1663년
1663년 성준익(成峻翼) 초사(招辭) 고문서자료관 초사 1663년
1663년 윤인미(尹仁美) 입안(立案) 고문서자료관 정보 입안 1663년
1664년 윤인미 처 전주유씨 남매 분재기(分財記)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64년
1666년 윤인미(尹仁美) 단자(單子)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단자 1666년
1666년 한계신(韓戒申) 우마문기(牛馬文記)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우마문기 1666년
1669년 윤생원댁 노 정원(正元) 소지(所志)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69년
1670년 윤생원댁 노 금복(今卜) 선척문기(船隻文記)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선척문기 1670년
1671년 윤선도(尹善道) 분재기(分財記) 윤선도,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71년
1672년 최발원(崔發源) 간찰(簡札) 윤인미 고문서자료관 정보 간찰 1672년
1672년 현산면거인(縣山面居人) 등장(等狀) 고문서자료관 정보 등장 1672년
1673년 윤인미(尹仁美) 남매 분재기(分財記)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673년
1675년 노(奴) 홍렬(洪烈) 의송(議送) 고문서자료관 정보 의송 1675년
1675년 윤(尹) 정자(正字) 노(奴) 홍렬(洪烈) 소지(所志)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75년
1676년 윤정자댁(尹正字宅) 노(奴) 홍렬(洪烈) 소지(所志) 고문서자료관 정보 소지 1676년
1676년 이인(李仁) 가노(家奴) 입안(立案) 고문서자료관 정보 입안 1676년
1679년 이산현(尼山縣) 자문(尺文) 윤이석 고문서자료관 정보 자문 1679년
1682년 윤이석(尹爾錫) 혼서(婚書) 윤이석, 윤두서 고문서자료관 정보 혼서 1682년
1687년 천자영(千自榮) 간찰(簡札) 윤두서 고문서자료관 정보 간찰 1687년
1690년 윤이석(尹爾錫) 혼서(婚書) 윤두서 고문서자료관 정보 혼서 1690년
1698년 천성(天性) 헌납문기(獻納文記) 고문서자료관 정보 헌납문기 1698년
1702년 윤두서(尹斗緖) 통문(通文) 윤두서, 윤유기 고문서자료관 정보 통문 1702년
1714년 윤남미(尹南美) 불망기(不忘記) 고문서자료관 정보 불망기 1714년
1715년 윤두서(尹斗緖) 분재기(分財記) 윤두서, 윤덕희 고문서자료관 정보 분재기 1715년
  • 고기록 데이터 정리 : 윤이후의 지암일기
    • 현재 『지암일기』독회팀에서 서버를 호스팅하여 위키를 설치하고, 기본적인 데이터를 입력 중
    • 지암일기DB : 지암일기
    • 데이터 입력은 섬세한 온톨로지에 기초하지 않고, 개략적인 클래스(Class)를 선정한 다음 미디어위키가 지닌 강점('틀'이나 '분류')을 최대한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음 : 2017년 6월까지 완료할 예정
    • 미디어위키에 만들어진 전자문서를 XML 전자문서로 변환하여 SQL에서 기초적인 데이터 정리를 한 다음, 해당 데이터를 다각도로 검토하여 그로부터 온톨로지를 섬세하게 설계할 예정 : 2017년 7월-10월 진행 예정
    • 설계된 온톨로지를 토대로 미디어 위키에 입력된 문서들을 새롭게 수정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예:그래프데이터베이스) 또는 시각화 결과물(예:KML, 파빌리온)을 구축할 예정 : 2017년 11월 이후 진행 예정
  • 고서 데이터 정리 : 윤선도의 고산유고 및 윤두서의 기졸
    • 향후 진행예정
  • 족보 데이터 정리 : 1702년 간행 해남 윤씨 족보
    • 향후 진행예정

중간 작업 : 자료 간 연계 데이터 추출

  • 고문서와 고기록 연계
    • 해남 윤씨 고문서와 윤이후의 지암일기 내용 사이의 연관성 추출 및 정리
    • 여러 사례를 모아서 개별 사례 중심으로 데이터를 설계하고, 설계된 여러 데이터 유형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계획
  • 추가적으로 고서 데이터 연계
    • 윤선도의 고산유고와 윤두서의 기졸을 중심으로 정리
    • 같은 공간에서 살았던 할아버지 - 손자 - 증손자의 삶을 데이터에 근거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
    • 고문서와 고기록 자료에 문집(고서) 내용이 추가적으로 연계될 경우 어떠한 의미를 찾아낼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적 시도로서의 가치
  • 추가적으로 조선왕조실록 데이터 연계
    • 윤이후의 지암일기에 언급되는 인물사건 가운데 조선왕조실록에서 언급되는 항목이 매우 많음
    • 현재까지 발굴된 조선시대 생활일기가 100여 건이 넘어감을 고려할 때, 지방에서 기록된 수많은 생활일기의 내용을 조선왕조실록 자료와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면 보다 풍부한 조선시대사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이를 위한 조선시대 생활일기 데이터베이스 기초 모델을 고민하는 것 또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 판단됨

심화 작업 : 데이터 모델 구현

  • 기초 작업과 중간 작업을 토대로 진행할 예정

자료 간 연계 데이터 사례 조사

사건 사례 : 마포면(馬浦面) 연산당(燕山堂) 일대 제언(堤堰) 쌓기

장소 사례 : 죽도(竹島)

인물 사례 : 이국형(李國馨)

인물 사례 : 최운서(崔雲瑞)와 최남표(崔南杓)

인물 사례 : 성준익(成峻翼)

노비 사례 : 노(奴) 개일(開一)에 대한 정보

노비 사례 : 노(奴) 서옥(西玉)에 대한 정보

사례 연구 : 죽도(竹島)와 노(奴) 용이(龍伊)

문헌별 대상 자료

고문서: 해남 윤씨 고문서

고기록: 지암일기

문맥 클래스

인물

장소

노비

네트워크 그래프

해남윤씨 고문서와 지암일기 그리고 고산유고에 담긴 이야기

향후 연구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