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참고자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인물정보
 
{{인물정보
67번째 줄: 66번째 줄:
 
|-
 
|-
 
|2004 || 청암사승가대학 강주 및 학장
 
|2004 || 청암사승가대학 강주 및 학장
 +
|-
 +
|2021 || 동화사에서 명사 법계를 품수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8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80%"  
 
|-
 
|-
|style="width:120px"|문중 || [[두옥(斗玉)문중|두옥문중(斗玉)]]
+
|문중 || [[두옥(斗玉)문중|두옥문중(斗玉)]]
 
|-
 
|-
 
|생활신조 ||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생활신조 ||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79번째 줄: 80번째 줄:
 
|상훈 || 중앙교육원 제6기 총무원장상 수상(1973년)
 
|상훈 || 중앙교육원 제6기 총무원장상 수상(1973년)
 
|-
 
|-
|수계제자 || 도업·도림(道林)·보련(普蓮)·도겸·도현(道玄)·길장(吉藏)·명준(明俊)·명오(明悟)·도유(道逾)·도성(道成)
+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도업·도림(道林)·보련(普蓮)·도겸·도현(道玄)·길장(吉藏)·명준(明俊)·명오(明悟)·도유(道逾)·도성(道成)
 +
|-
 +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경윤(5)→혜원(慧圓, 6)→[[광호스님(光毫, 1915生, 비구니)|광호(光毫, 7)]]→[[법인스님(法印, 1930生, 비구니)|법인(法印, 8)]]→[[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志炯, 9)]]→도업(道業, 10), 도림(道林, 10), 보련(普蓮, 10), 도겸(道謙, 10), 도현(道玄, 10), 길장(吉藏, 10), 명준(明俊, 10), 명오(明悟, 10), 도유(道逾, 10), 도성(道成, 10)
 
|}
 
|}
  
96번째 줄: 99번째 줄:
  
 
스님은 총명하고 밝은 성품을 타고났다. 어버이 같은 관심과 애정을 쏟으셨던 [[광호스님(光毫, 1915生, 비구니)|안광호(安光毫) 노스님]]과 은사 [[법인스님(法印, 1930生, 비구니)|법인(法印)스님]]의 도제 양성 의지에 따라 열심히 공부하여 전남여중과 대구여고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 1966년 법인스님을 은사로, 고암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다. 그로부터 4년 뒤인 1971년에는 석암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하였다.
 
스님은 총명하고 밝은 성품을 타고났다. 어버이 같은 관심과 애정을 쏟으셨던 [[광호스님(光毫, 1915生, 비구니)|안광호(安光毫) 노스님]]과 은사 [[법인스님(法印, 1930生, 비구니)|법인(法印)스님]]의 도제 양성 의지에 따라 열심히 공부하여 전남여중과 대구여고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 1966년 법인스님을 은사로, 고암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다. 그로부터 4년 뒤인 1971년에는 석암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하였다.
 +
 +
===노스님이신 안광호스님===
 +
스님의 출가를 누구보다 기뻐하셨던 안광호 노스님은 조계종 전국 비구니회 고문과 비구니 금강계단의 초대 존증(尊證)아사리로서, 광주 흥룡사, 순천 선암사, 동학사 주지 등을 역임하신 비구니계의 큰 별이셨다.
 +
통도사 극락암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1g2924a 경봉 큰스님]께서도 광호 노스님을 비구니계의 거목이라 하셨으며, 동학사 주지시절 강당을 복원하여 현재의 비구니 전문 강원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도 후학을 양성하겠다는 노스님의 원력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노스님은 비구승 못지않은 용모와 기개로 수행에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으셨고 철저한 계행을 몸소 지니셨으며, 일체의 물욕이 없는 무소유인 이셨다. 손상좌인 지형(志炯)스님이 그 성품 그대로 물려받은 듯하다.
  
 
===수학===
 
===수학===
101번째 줄: 108번째 줄:
 
지형스님은 1967년 노스님이 주지로 계시던 동학사 강원에 입학하였다. 입학한 뒤 당시 재무 소임을 맡으신 은사스님의 시자를 살았는데, 엄격히 지도하시는 은사스님의 가르침에 힘입어 큰 방 생활을 하며 대중의 규칙을 어기는 일이 없었다.
 
지형스님은 1967년 노스님이 주지로 계시던 동학사 강원에 입학하였다. 입학한 뒤 당시 재무 소임을 맡으신 은사스님의 시자를 살았는데, 엄격히 지도하시는 은사스님의 가르침에 힘입어 큰 방 생활을 하며 대중의 규칙을 어기는 일이 없었다.
  
학인 시절 내내 스님은 시자<ref> 웃어른을 가까이 모시고 시중드는 소임 </ref> 와 서기, 별좌<ref> 음식 · 방석 · 이부자리 등을 담당하는 소임 </ref>, 입승<ref> 사찰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소임 </ref>, 교무 등 여러 소임을 살았는데, 소임이 주어질 때마다 어른스님에게 순응하고 대중과 화합하며 수행자로서의 위의를 갖추어나갔다.
+
학인 시절 내내 스님은 시자<ref> 웃어른을 가까이 모시고 시중드는 소임 </ref> 와 서기, 별좌<ref> 음식 · 방석 · 이부자리 등을 담당하는 소임 </ref>, 입승<ref> 사찰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소임 </ref>, 교무 등 여러 소임을 살았는데, 소임이 주어질 때마다 어른 스님에게 순응하고 대중과 화합하며 수행자로서의 위의를 갖추어나갔다.
  
공부에 대한 열정과 흥미도 남달라 소임이 끝난 후 경책을 들면 밤늦게까지 시간가는 줄 모를 정도로 열심히 하였다. 누구 못지않게 치열하게 공부하였던 스님은 당시 일본 대정대학 출신으로 유식에 밝으신 [http://donghaksa.kr/bbs/board.php?bo_table=board_16&wr_id=13 호경(湖鏡) 대강백스님]으로부터 경을 보는 안목을 높이 평가받았다. 사교반 때 이미 학인의 신분으로 중강 소임을 맡아 치문반을 가르칠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으며 강사로서의 기본 소양을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
공부에 대한 열정과 흥미도 남달라 소임이 끝난 후 경책을 들면 밤늦게까지 시간가는 줄 모를 정도로 열심히 하였다. 누구 못지않게 치열하게 공부하였던 스님은 당시 일본 대정대학 출신으로 유식에 밝으신 [http://donghaksa.kr/bbs/board.php?bo_table=board_16&wr_id=13 호경(湖鏡) 대강백스님]으로부터 경을 보는 안목을 높이 평가 받았다. 사교반 때 이미 학인의 신분으로 중강 소임을 맡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9048 치문반]을 가르칠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으며 강사로서의 기본 소양을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가산(伽山) 지관(智冠)스님으로부터 비구니로서는 최초로 전강을 받다===
 
===가산(伽山) 지관(智冠)스님으로부터 비구니로서는 최초로 전강을 받다===
111번째 줄: 118번째 줄:
 
공부 도중 스님에게는 홍콩과 일본 유학의 기회가 여러 번 주어졌으나 노스님과 은사스님의 뜻을 받들어 유학의 길을 포기하였다.
 
공부 도중 스님에게는 홍콩과 일본 유학의 기회가 여러 번 주어졌으나 노스님과 은사스님의 뜻을 받들어 유학의 길을 포기하였다.
  
그 대신 스님은 대학에 다니면서 저녁에는 경국사 법보 강원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178 가산(伽山) 지관(智冠)스님]에게 사교와 『화엄경』, 『선문염송』을 재강(再講)하였다. 비구니로서는 최초로 지관스님의 전강제자가 된 스님은 마침내 전체적으로 글을 꿰는 안목을 갖추게 되었다. 지금까지 즐겨보는 『능엄경』 또한 지관스님과의 재강을 통해 새롭게 만나게 된 경전이다.
+
그 대신 스님은 대학에 다니면서 저녁에는 경국사 법보 강원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178 가산(伽山) 지관(智冠)스님]에게 사교와 『화엄경』, 『선문염송』을 재강(再講)하였다. 비구니로서는 최초로 지관스님의 전강 제자가 된 스님은 마침내 전체적으로 글을 꿰는 안목을 갖추게 되었다. 지금까지 즐겨보는 『능엄경』 또한 지관스님과의 재강을 통해 새롭게 만나게 된 경전이다.
  
 
‘망심(妄心)을 없애고 진심(眞心)을 닦아 선정에 이르게 하되, 풍부한 비유와 치밀한 논리로써 실천적 수행의 길잡이로 삼을 만하다’는 경전 『능엄경』을 보고 처소로 돌아올 때면 환희심에 벅차 날아오를 것만 같았다.
 
‘망심(妄心)을 없애고 진심(眞心)을 닦아 선정에 이르게 하되, 풍부한 비유와 치밀한 논리로써 실천적 수행의 길잡이로 삼을 만하다’는 경전 『능엄경』을 보고 처소로 돌아올 때면 환희심에 벅차 날아오를 것만 같았다.
128번째 줄: 135번째 줄:
  
 
===강주가 되다===  
 
===강주가 되다===  
학교를 졸업하고 선방을 가지 않는 스님에게 ‘그동안 먹은 밥그릇 숫자만큼 밥값을 해야 한다.’고 경책하셨던 구산 큰스님은 스님이 강주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누구보다 기뻐하셨다. 그리고 친필 두 점과 친히 법문하신 바라밀 테이프와 『반야심경』 강의 테이프를 보내주셨다.
+
학교를 졸업하고 선방을 가지 않는 스님에게 ‘그동안 먹은 밥그릇 숫자만큼 밥값을 해야 한다.’고 경책하셨던 [http://www.songgwangsa.org/sub/sub_1_04_009.jsp 구산 큰스님]은 스님이 강주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누구보다 기뻐하셨다. 그리고 친필 두 점과 친히 법문하신 바라밀 테이프와 『반야심경』 강의 테이프를 보내주셨다.
  
강주가 된 지형스님은 처음 얼마 동안은 다른 강사가 없어 네 반을 혼자 가르쳐야 했다. 2년 후 동학사 강원 후배인 상덕스님(현재의 청암사 주지, 강사)이 중강으로 부임하면서 숨을 돌릴 수가 있었다. 이때부터 시작된 스님과 상덕스님의 아름다운 도반의 동행은 지금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
강주가 된 지형스님은 처음 얼마 동안은 다른 강사가 없어 네 반을 혼자 가르쳐야 했다. 2년 후 동학사 강원 후배인 [[상덕스님(常德, 1951生, 비구니)|의진(義眞) 상덕(常德)스님]](현재의 청암사 주지, 강사)이 중강으로 부임하면서 숨을 돌릴 수가 있었다. 이때부터 시작된 스님과 상덕스님의 아름다운 도반의 동행은 지금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화운사에서 나온 스님은 상덕스님과 김천 청암사에 비구니 강원을 세우겠다는 발원을 하였다.
 
화운사에서 나온 스님은 상덕스님과 김천 청암사에 비구니 강원을 세우겠다는 발원을 하였다.
  
139번째 줄: 146번째 줄:
 
스님 일행이 처음 도착했을 당시만 해도 청암사는 전각 대부분이 비가 새고 지붕에는 풀과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대방채인 육화료에서만 기거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스님 일행이 처음 도착했을 당시만 해도 청암사는 전각 대부분이 비가 새고 지붕에는 풀과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대방채인 육화료에서만 기거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아침에 수업이 끝나면 스님은 학인들과 함께 전각마다 찌든 때를 제거하기 위해 양잿물로 기둥과 마루를 닦아야 했다. 또한 연일 계속되는 울력으로 아픈 학인이 나오면 직접 돌보고 위로하는 등 학인들과 동사섭(同事攝)하며 어려운 난관에도 아무런 흔들림 없이 꿋꿋하게 수행자의 품위와 기개를 지켜나갔다.
+
아침에 수업이 끝나면 스님은 학인들과 함께 전각마다 찌든 때를 제거하기 위해 양잿물로 기둥과 마루를 닦아야 했다. 또한 연일 계속되는 울력으로 아픈 학인이 나오면 직접 돌보고 위로하는 등 학인들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726 동사섭(同事攝)]하며 어려운 난관에도 아무런 흔들림 없이 꿋꿋하게 수행자의 품위와 기개를 지켜나갔다.
  
 
===청암사 불사===
 
===청암사 불사===
 
스님은 청암사에 들어온 첫 해에 육화료 불사와 진영각 보수공사를 원만히 회향하였다. 그 후 1991년 극락전의 보수공사를 걱정하고 있는데 마침 찾아오신 송광사 방장 범일보성(梵日菩成) 큰 스님께서 7일 철야기도를 해보라고 권유해주셨다. 기도의 가피로 극락전 보수 불사는 순조롭게 진행되었고, 대중들은 환희심으로 충만하였다.
 
스님은 청암사에 들어온 첫 해에 육화료 불사와 진영각 보수공사를 원만히 회향하였다. 그 후 1991년 극락전의 보수공사를 걱정하고 있는데 마침 찾아오신 송광사 방장 범일보성(梵日菩成) 큰 스님께서 7일 철야기도를 해보라고 권유해주셨다. 기도의 가피로 극락전 보수 불사는 순조롭게 진행되었고, 대중들은 환희심으로 충만하였다.
  
그때 시작된 『법화경』 산림 7일 철야기도 가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오고 있다. 스님은 극락전 보수공사에 이어 선열당, 중현당, 종각 그리고 백화당을 창건하였다.
+
그때 시작된' 법화경 산림 7일 철야기도'가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오고 있다. 스님은 극락전 보수공사에 이어 선열당, 중현당, 종각 그리고 백화당을 창건하였다.
  
 
스님의 불사 원칙은 가장 상식적인 것이다. 늘 환경 보호를 생각하되 필요에 따라 불사의 규모는 최소화할 것, 도량의 옛 모습을 지키고 수명만 연장시키는 개보수를 할 것 등 스님은 늘 원칙을 준수하였다.
 
스님의 불사 원칙은 가장 상식적인 것이다. 늘 환경 보호를 생각하되 필요에 따라 불사의 규모는 최소화할 것, 도량의 옛 모습을 지키고 수명만 연장시키는 개보수를 할 것 등 스님은 늘 원칙을 준수하였다.
  
어느 때인가 학인들이 밭에 그늘이 진다고 나무를 톱으로 베어낸 적이 있었다. 그러자 스님은 대중을 모두 모이게 한 뒤 “이 산중의 진짜 주인은 땅과 물과 나무들이에요. 우리는 그저 이곳을 잠시 빌려 살고 있을 뿐 우리 마음대로 함부로 나무를 베어서는 안 됩니다.” 하고 당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 이후로는 어느 누구도 함부로 나무 한 그루를 베지 못하였다.
+
어느 때인가 학인들이 밭에 그늘이 진다고 나무를 톱으로 베어낸 적이 있었다. 그러자 스님은 대중을 모두 모이게 한 뒤 “이 산중의 진짜 주인은 땅과 물과 나무들이에요. 우리는 그저 이곳을 잠시 빌려 살고 있을 뿐 우리 마음대로 함부로 나무를 베어서는 안 됩니다.”하고 당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 이후로는 어느 누구도 함부로 나무 한 그루를 베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스님의 환경관이 철저하게 지켜짐에 따라 지금까지 청암사는 천년 고찰의 신비로움과 청정함을 그대로 지닐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스님의 환경관이 철저하게 지켜짐에 따라 지금까지 청암사는 천년 고찰의 신비로움과 청정함을 그대로 지닐 수 있게 되었다.
160번째 줄: 167번째 줄:
 
이처럼 많은 활동을 하면서도 흐트러짐 없는 수행자의 모습을 갖추는 것은 스님이 평소 학인들에게 누누이 강조하는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곧 ‘어느 곳에서나 주인의식을 가지고 서 있는 곳 그대로가 다 진(眞)이다’는 가르침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활동을 하면서도 흐트러짐 없는 수행자의 모습을 갖추는 것은 스님이 평소 학인들에게 누누이 강조하는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곧 ‘어느 곳에서나 주인의식을 가지고 서 있는 곳 그대로가 다 진(眞)이다’는 가르침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인 때부터 시작한 강학의 세월을 살아오면서 스님은 청매선사의 무익한 열 가지 가르침 가운데 첫 번째인 ‘심불반조(心不返照)면 간경무익(看經無益)이라’, 곧 ‘마음으로 반조하지 않으면 경을 보아도 이익이 없다는 가르침이 날이 갈수록 가슴 깊이 와 닿는다고 한다.
+
학인 때부터 시작한 강학의 세월을 살아오면서 스님은 [https://chamsonsajeon.tistory.com/1036 청매선사]의 무익한 열 가지 가르침 가운데 첫 번째인 ‘심불반조(心不返照)면 간경무익(看經無益)이라’, 곧 ‘마음으로 반조하지 않으면 경을 보아도 이익이 없다는 가르침이 날이 갈수록 가슴 깊이 와 닿는다고 한다.
  
 
마음의 눈으로 경을 볼 때만 비로소 제대로 볼 수 있음을 알기에 스님의 가슴속에는 수십 수백 권의 경을 송두리째 삼켜버리는 날선 검 한 자루가 늘 그 빛을 발하고 있다.
 
마음의 눈으로 경을 볼 때만 비로소 제대로 볼 수 있음을 알기에 스님의 가슴속에는 수십 수백 권의 경을 송두리째 삼켜버리는 날선 검 한 자루가 늘 그 빛을 발하고 있다.
173번째 줄: 180번째 줄:
  
 
이렇듯 지형스님은 티 없이 해맑은 자태 속에 수행자의 시퍼런 기개와 물 한 방울도 내 것 삼아 허투로 하지 않는 청빈함으로 한결같은 길을 걷고 있다.
 
이렇듯 지형스님은 티 없이 해맑은 자태 속에 수행자의 시퍼런 기개와 물 한 방울도 내 것 삼아 허투로 하지 않는 청빈함으로 한결같은 길을 걷고 있다.
 +
스님은 2021년 명사법계를 품수했다.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도업·도림(道林)·보련(普蓮)·도겸·도현(道玄)·길장(吉藏)·명준(明俊)·명오(明悟)·도유(道逾)·도성(道成) 등 현재 18명이 있으며, 이미 졸업한 수학제자는 500여 명으로서 각자의 처소에서 수행과 포교에 정진하고 있다.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도업·도림(道林)·보련(普蓮)·도겸·도현(道玄)·길장(吉藏)·명준(明俊)·명오(明悟)·도유(道逾)·도성(道成) 등 현재 18명이 있으며, 이미 졸업한 수학제자는 500여 명으로서 각자의 처소에서 수행과 포교에 정진하고 있다.
182번째 줄: 190번째 줄:
 
사적에 의하면 청암사는 1647년(조선 인조 25년)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당대의 강백이었던 벽암(碧巖) 각성(覺性)스님이 그 소식을 전해 듣고 노정(盧靜) 혜원(慧遠)스님으로 하여금 재건토록 하였으며, 이에 혜원스님이 심혈을 기울여 중건하였다.
 
사적에 의하면 청암사는 1647년(조선 인조 25년)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당대의 강백이었던 벽암(碧巖) 각성(覺性)스님이 그 소식을 전해 듣고 노정(盧靜) 혜원(慧遠)스님으로 하여금 재건토록 하였으며, 이에 혜원스님이 심혈을 기울여 중건하였다.
  
그 후 숙종의 정비 인현왕후가 서인으로 있을 당시 이곳의 극락전에 기거하면서 기도드렸던 인연으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불령산 적송산림은 국가보호림으로 지정되어 궁에서 무기 등이 하사되었고 조선시대 말기까지 상궁들이 내려와 신앙생활을 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
그 후 숙종의 정비 인현왕후가 서인으로 있을 당시 이곳의 극락전에 기거하면서 기도했던 인연으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불령산 적송산림은 국가보호림으로 지정되어 궁에서 무기 등이 하사되었고 조선시대 말기까지 상궁들이 내려와 신앙생활을 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1905년(고종 9년) 당시 주지 대운당 스님이 잠결에 빨간 주머니를 얻는 꿈을 꾼 후 한양에 가니 어느 노 보살 한 분이 자신이 죽은 후에도 3년 동안 염불해달라고 부탁하며 크게 시주를 하였다. 이리하여 대운당 스님은 쇠락한 극락전을 다시 중건하고 만일회를 결성하였다. 극락전은 염불당으로서 염불 소리가 끊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1905년(고종 9년) 당시 주지 대운당 스님이 잠결에 빨간 주머니를 얻는 꿈을 꾼 후 한양에 가니 어느 노 보살 한 분이 자신이 죽은 후에도 3년 동안 염불해달라고 부탁하며 크게 시주를 하였다. 이리하여 대운당 스님은 쇠락한 극락전을 다시 중건하고 만일회를 결성하였다. 극락전은 염불당으로서 염불 소리가 끊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193번째 줄: 201번째 줄: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350~358.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350~358.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77.  
+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77.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p. 262, 261.
 
* 프레시안, 청암사 후원 살림살이를 뜯어보니… (2006년)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49323
 
* 프레시안, 청암사 후원 살림살이를 뜯어보니… (2006년)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49323
 
* 불교신문, 21. 청암사 승가대학 (2007년)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165
 
* 불교신문, 21. 청암사 승가대학 (2007년)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165
226번째 줄: 235번째 줄:
 
===릴레이션 데이터===
 
===릴레이션 데이터===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항목1 || style="width:180px" | 항목2 || style="width:180px" | 관계 || style="width:450px" | 속성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두옥(斗玉)문중|두옥문중(斗玉)]] || ~의 일원이다 ||
 +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법인스님(法印, 1930生, 비구니)|법인스님(法印)]] || ~의 수계제자이다 ||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두옥(斗玉)문중|두옥문중(斗玉)]] || ~의 일원이다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광주 흥룡사]] || ~에서 출가하다 ||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법인스님(法印, 1930生, 비구니) | 법인(法印)스님]] || ~의 수계제자이다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고암상언(古庵祥彦)|고암스님(古庵)]]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광주 흥룡사]] || ~에서 출가하다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석암혜수(昔巖慧秀)|석암스님(昔巖)]]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고암(古庵)스님]] || ~()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명사(明師)|명사법계(明師法階)]] || ~() 품수하다 ||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석암(昔岩)스님]] || ~()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김천 청암사]] || ~() 중창하다 ||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명사(明師)품계]] || ~의 스님이다 || 20211021 품서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청암사 강원(승가대학)]]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김천 청암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청암사 강원(승가대학)]] || ~을(를) 건립하다 ||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김천 청암사]] || ~을(를) 중창하다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대한불교조계종 행자교육원]]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운영위원, 교수사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김천 청암사]] || ~을(를) 설립(건립)하다 || 청암사승가대학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교육위원, 역경위원
 
|-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志炯)스님]]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평창 월정사 지장암
+
|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지형스님(志炯)]]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평창 월정사 지장암
 
|}
 
|}
  
252번째 줄: 265번째 줄:
 
* '''[http://www.chungamsa.org/ 청암사승가대학]'''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8
 
* '''[http://www.chungamsa.org/ 청암사승가대학]'''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8
 
{{구글지도 | 위도= 35.891204 | 경도=128.003007 | 줌=17}}
 
{{구글지도 | 위도= 35.891204 | 경도=128.003007 | 줌=17}}
 +
 +
==다른 비구니 스님==
 +
<poem>
 +
  '''☞ [[한국비구니 | 대한민국(한국) 주요 비구니 스님]]'''
 +
  '''☞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대한민국(한국) 비구니 인물사전 데이터 아카이브]]'''
 +
</poem>
 +
 +
==지식관계망==
 +
{{SemanticGraph | key=지형스님(志炯,_1947生,_비구니)}}
 +
{{AINarrative | key=지형스님(志炯,_1947生,_비구니)}}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분류 : 비구니스님]]
==다른 비구니 스님==
 
 
 
{|class="wikitable" style="vertical-align: "text-align:middle"
 
|-
 
| style="width:180px"  |[[각림스님(覺棽, 1927生, 비구니) | 각림스님(覺棽, 1927년생)]] || style="width:190px"  |[[묘관스님(妙觀, 1936生, 비구니) | 묘관스님(妙觀, 1936년생)]] || style="width:180px"  |[[선경스님(禪敬, 1904生, 비구니) | 선경스님(禪敬, 1904년생)]] || style="width:180px"  |[[일광스님(一光, 1899生, 비구니) | 일광스님(一光, 1899년생)]] || style="width:180px"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스님(志炯, 1947년생)]]
 
|-
 
| [[각심스님(覺心, 1936生, 비구니) | 각심스님(覺心, 1936년생)]] || [[묘관스님(妙觀, 1948生, 비구니) | 묘관스님(妙觀, 1948년생)]] || [[선광스님(善光, 1949生, 비구니) | 선광스님(善光, 1949년생)]] || [[일선스님(一禪, 1952生, 비구니) | 일선스님(一禪, 1952년생)]] || [[지호스님(智毫, 1956生, 비구니) | 지호스님(智毫, 1956년생)]]
 
|-
 
| [[경도스님(敬道, 1941生, 비구니) | 경도스님(敬道, 1941년생)]] || [[묘광스님(妙硄, 1946生, 비구니) | 묘광스님(妙硄, 1946년생)]] || [[선재스님(善財, 1956生, 비구니) | 선재스님(善財, 1956년생)]] || [[일연스님(一衍, 1947生, 비구니) | 일연스님(一衍, 1947년생)]] || [[지환스님(知幻, 1261生, 비구니) | 지환스님(知幻, 1261년생)]]
 
|-
 
| [[경륜스님(暻輪, 1953生, 비구니) | 경륜스님(暻輪, 1953년생)]] || [[묘길스님(妙吉, 1900生, 비구니) | 묘길스님(妙吉, 1900년생)]] || [[선주스님(禪周, 1938生, 비구니) | 선주스님(禪周, 1938년생)]] || [[일엽스님(一葉, 1896生, 비구니) | 일엽스님(一葉, 1896년생)]] || [[지환스님(智環, 1936生, 비구니) | 지환스님(智環, 1936년생)]]
 
|-
 
| [[경문스님(京門, 1963生, 비구니) | 경문스님(京門, 1963년생)]] || [[묘담스님(妙湛, 1776生, 비구니) | 묘담스님(妙湛, 1776년생)]] || [[선진스님(善眞, 1961生, 비구니) | 선진스님(善眞, 1961년생)]] || [[일조스님(日照, 1910生, 비구니) | 일조스님(日照, 1910년생)]] || [[지훈스님(志訓, 1947生, 비구니) | 지훈스님(志訓, 1947년생)]]
 
|-
 
| [[경법스님(敬法, 1922生, 비구니) | 경법스님(敬法, 1922년생)]] || [[묘순스님(妙洵, 1946生, 비구니) | 묘순스님(妙洵, 1946년생)]] || [[선행스님(善行, 1934生, 비구니) | 선행스님(善行, 1934년생)]] || [[일지스님(逸智, 1944生, 비구니) | 일지스님(逸智, 1944년생)]] || [[진관스님(眞觀, 1928生, 비구니) | 진관스님(眞觀, 1928년생)]]
 
|-
 
| [[경순스님(景順, 1925生, 비구니) | 경순스님(景順, 1925년생)]] || [[묘엄스님(妙嚴, 1931生, 비구니) | 묘엄스님(妙嚴, 1931년생)]] || [[선혜스님(善慧, 1911生, 비구니) | 선혜스님(善慧, 1911년생)]] || [[일초스님(一超, 1943生, 비구니) | 일초스님(一超, 1943년생)]] || [[진오스님(眞悟, 1904生, 비구니) | 진오스님(眞悟, 1904년생)]]
 
|-
 
| [[경신스님(敬信, 1947生, 비구니) | 경신스님(敬信, 1947년생)]] || [[묘운스님(妙雲, 1921生, 비구니) | 묘운스님(妙雲, 1921년생)]] || [[설오스님(說吾, 1958生, 비구니) | 설오스님(說吾, 1958년생)]] || [[일현스님(一玄, 1952生, 비구니) | 일현스님(一玄, 1952년생)]] || [[진우스님(眞愚, 1934生, 비구니) | 진우스님(眞愚, 1934년생)]]
 
|-
 
| [[경원스님(庚圓, 1960生, 비구니) | 경원스님(庚圓, 1960년생)]] || [[묘전스님(妙全, 1938生, 비구니) | 묘전스님(妙全, 1938년생)]] || [[설호스님(雪皓, 1933生, 비구니) | 설호스님(雪皓, 1933년생)]] || [[일홍스님(一弘, 1939生, 비구니) | 일홍스님(一弘, 1939년생)]]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스님(眞愚, 1949년생)]]
 
|-
 
| [[경주스님(敬柱, 1935生, 비구니) | 경주스님(敬柱, 1935년생)]] || [[묘정스님(妙精, 1943生, 비구니) | 묘정스님(妙精, 1943년생)]] || [[성경스님(晟鏡, 1941生, 비구니) | 성경스님(晟鏡, 1941년생)]] || [[일효스님(一曉, 1934生, 비구니) | 일효스님(一曉, 1934년생)]] || [[창법스님(昌法, 1918生, 비구니) | 창법스님(昌法, 1918년생)]]
 
|-
 
| [[경준스님(敬俊, 1933生, 비구니) | 경준스님(敬俊, 1933년생)]] || [[묘정스님(妙靜, 1949生, 비구니) | 묘정스님(妙靜, 1949년생)]] || [[성관스님(性觀, 1940生, 비구니) | 성관스님(性觀, 1940년생)]] || [[자광스님(慈光, 1936生, 비구니) | 자광스님(慈光, 1936년생)]] || [[창수스님(昌守, 1842生, 비구니) | 창수스님(昌守, 1842년생)]]
 
|-
 
| [[경훤스님(敬昍, 1946生, 비구니) | 경훤스님(敬昍, 1946년생)]] || [[묘찬스님(妙璨, 1926生, 비구니) | 묘찬스님(妙璨, 1926년생)]] || [[성관스님(成觀, 1951生, 비구니) | 성관스님(成觀, 1951년생)]] || [[자득스님(慈得, 1945生, 비구니) | 자득스님(慈得, 1945년생)]] || [[창호스님(彰浩, 1889生, 비구니) | 창호스님(彰浩, 1889년생)]]
 
|-
 
| [[경희스님(慶喜, 1931生, 비구니) | 경희스님(慶喜, 1931년생)]] || [[묘희스님(妙喜, 1937生, 비구니) | 묘희스님(妙喜, 1937년생)]] || [[성덕스님(盛德, 1942生, 비구니) | 성덕스님(盛德, 1942년생)]] || [[자민스님(慈珉, 1939生, 비구니) | 자민스님(慈珉, 1939년생)]] || [[천일스님(天日, 1912生, 비구니) | 천일스님(天日, 1912년생)]]
 
|-
 
| [[계수스님(桂修, 1946生, 비구니) | 계수스님(桂修, 1946년생)]] || [[무구스님(無垢, 1959生, 비구니) | 무구스님(無垢, 1959년생)]] || [[성륜스님(性輪, 1918生, 비구니) | 성륜스님(性輪, 1918년생)]] || [[자산스님(慈山, 1933生, 비구니) | 자산스님(慈山, 1933년생)]] || [[청룡스님(靑龍, 1925生, 비구니) | 청룡스님(靑龍, 1925년생)]]
 
|-
 
| [[계전스님(戒田, 1889生, 비구니) | 계전스님(戒田, 1889년생)]] || [[무진스님(無盡, 1954生, 비구니) | 무진스님(無盡, 1954년생)]] || [[성림스님(成林, 1916生, 비구니) | 성림스님(成林, 1916년생)]] || [[자원스님(慈元, 1937生, 비구니) | 자원스님(慈元, 1937년생)]] || [[쾌민스님(快敏, 1916生, 비구니) | 쾌민스님(快敏, 1916년생)]]
 
|-
 
| [[계주스님(季珠, 1914生, 비구니) | 계주스님(季珠, 1914년생)]] || [[문수스님(紋秀, 1939生, 비구니) | 문수스님(紋秀, 1939년생)]] || [[성문스님(性文, 1893生, 비구니) | 성문스님(性文, 1893년생)]] || [[자윤스님(慈允, 1928生, 비구니) | 자윤스님(慈允, 1928년생)]] || [[쾌유스님(快愈, 1907生, 비구니) | 쾌유스님(快愈, 1907년생)]]
 
|-
 
| [[계환스님(戒環, 1953生, 비구니) | 계환스님(戒環, 1953년생)]] || [[백졸스님(百拙, 1936生, 비구니) | 백졸스님(百拙, 1936년생)]] || [[성법스님(性法, 1929生, 비구니) | 성법스님(性法, 1929년생)]] || [[자은스님(慈恩, 1943生, 비구니) | 자은스님(慈恩, 1943년생)]] || [[탁연스님(卓然, 1949生, 비구니) | 탁연스님(卓然, 1949년생)]]
 
|-
 
| [[관월스님(觀月, 1904生, 비구니) | 관월스님(觀月, 1904년생)]] || [[범조스님(梵早, 1941生, 비구니) | 범조스님(梵早, 1941년생)]] || [[성수스님(性樹, 1948生, 비구니) | 성수스님(性樹, 1948년생)]] || [[자현스님(慈賢, 1896生, 비구니) | 자현스님(慈賢, 1896년생)]] || [[탄형스님(呑炯, 1948生, 비구니) | 탄형스님(呑炯, 1948년생)]]
 
|-
 
| [[관정스님(觀晶, 1937生, 비구니) | 관정스님(觀晶, 1937년생)]] || [[법공스님(法空, 1471生, 비구니) | 법공스님(法空, 1471년생)]] || [[성연스님(性蓮, 1920生, 비구니) | 성연스님(性蓮, 1920년생)]] || [[장일스님(長一, 1916生, 비구니) | 장일스님(長一, 1916년생)]] || [[태경스님(泰鏡, 1930生, 비구니) | 태경스님(泰鏡, 1930년생)]]
 
|-
 
| [[관주스님(觀柱, 1922生, 비구니) | 관주스님(觀柱, 1922년생)]] || [[법공스님(法空, 1937生, 비구니) | 법공스님(法空, 1937년생)]] || [[성연스님(聖蓮, 1928生, 비구니) | 성연스님(聖蓮, 1928년생)]] || [[재근스님(在根, 1940生, 비구니) | 재근스님(在根, 1940년생)]] || [[태구스님(泰具, 1920生, 비구니) | 태구스님(泰具, 1920년생)]]
 
|-
 
| [[광옥스님(光玉, 1943生, 비구니) | 광옥스님(光玉, 1943년생)]] || [[법농스님(法農, 1962生, 비구니) | 법농스님(法農, 1962년생)]] || [[성우스님(惺牛, 1918生, 비구니) | 성우스님(惺牛, 1918년생)]] || [[재문스님(載文, 1943生, 비구니) | 재문스님(載文, 1943년생)]] || [[하경스님(荷景, 1937生, 비구니) | 하경스님(荷景, 1937년생)]]
 
|-
 
| [[광우스님(光雨, 1926生, 비구니) | 광우스님(光雨, 1926년생)]] || [[법능스님(法能, 1932生, 비구니) | 법능스님(法能, 1932년생)]] || [[성원스님(性源, 1918生, 비구니) | 성원스님(性源, 1918년생)]] || [[재현스님(在玄, 1946生, 비구니) | 재현스님(在玄, 1946년생)]] || [[해성스님(海成, 1958生, 비구니) | 해성스님(海成, 1958년생)]]
 
|-
 
| [[광호스님(光毫, 1915生, 비구니) | 광호스님(光毫, 1915년생)]] || [[법륜스님(法倫, 1948生, 비구니) | 법륜스님(法倫, 1948년생)]] || [[성월스님(性月, 1947生, 비구니) | 성월스님(性月, 1947년생)]] || [[재호스님(宰毫, 1938生, 비구니) | 재호스님(宰毫, 1938년생)]] || [[해운스님(海雲, 1920生, 비구니) | 해운스님(海雲, 1920년생)]]
 
|-
 
| [[금룡스님(金龍, 1892生, 비구니) | 금룡스님(金龍, 1892년생)]] || [[법성스님(法性, 1914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14년생)]] || [[성일스님(性一, 1944生, 비구니) | 성일스님(性一, 1944년생)]] || [[재홍스님(在洪, 1931生, 비구니) | 재홍스님(在洪, 1931년생)]] || [[해주스님(海住, 1951生, 비구니) | 해주스님(海住, 1951년생)]]
 
|-
 
| [[긍탄스님(亘坦, 1885生, 비구니) | 긍탄스님(亘坦, 1885년생)]] || [[법성스님(法惺, 1938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惺, 1938년생)]] || [[성주스님(性主, 1825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主, 1825년생)]] || [[적조스님(寂照, 1942生, 비구니) | 적조스님(寂照, 1942년생)]] || [[행원스님(行願, 1927生, 비구니) | 행원스님(行願, 1927년생)]]
 
|-
 
| [[뇌묵스님(雷默, 1919生, 비구니) | 뇌묵스님(雷默, 1919년생)]] || [[법성스님(法性, 1940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40년생)]] || [[성주스님(性住, 1938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住, 1938년생)]] || [[정관스님(靜觀, 1945生, 비구니) | 정관스님(靜觀, 1945년생)]] || [[허경스님(虛鏡, 1440生, 비구니) | 허경스님(虛鏡, 1440년생)]]
 
|-
 
| [[능인스님(能忍, 1944生, 비구니) | 능인스님(能忍, 1944년생)]] || [[법용스님(法涌, 1936生, 비구니) | 법용스님(法涌, 1936년생)]] || [[성주스님(性珠, 1946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珠, 1946년생)]] || [[정덕스님(正德, 1933生, 비구니) | 정덕스님(正德, 1933년생)]] || [[현각스님(玄覺, 1935生, 비구니) | 현각스님(玄覺, 1935년생)]]
 
|-
 
| [[능인스님(能仁, 1946生, 비구니) | 능인스님(能仁, 1946년생)]] || [[법운스님(法雲, 1927生, 비구니) | 법운스님(法雲, 1927년생)]] || [[성지스님(聖智, 1926生, 비구니) | 성지스님(聖智, 1926년생)]] || [[정률스님(廷律, 1963生, 비구니) | 정률스님(廷律, 1963년생)]] || [[현묵스님(炫默, 1932生, 비구니) | 현묵스님(炫默, 1932년생)]]
 
|-
 
| [[대각스님(大覺, 1914生, 비구니) | 대각스님(大覺, 1914년생)]] || [[법운스님(法雲, 1937生, 비구니) | 법운스님(法雲, 1937년생)]] || [[성진스님(性眞, 1896生, 비구니) | 성진스님(性眞, 1896년생)]] || [[정명스님(淨明, 1940生, 비구니) | 정명스님(淨明, 1940년생)]] || [[현성스님(賢星, 1945生, 비구니) | 현성스님(賢星, 1945년생)]]
 
|-
 
| [[대영스님(大英, 1903生, 비구니) | 대영스님(大英, 1903년생)]] || [[법인스님(法印, 1930生, 비구니) | 법인스님(法印, 1930년생)]] || [[성총스님(聖叢, 1944生, 비구니) | 성총스님(聖叢, 1944년생)]] || [[정명스님(正明, 1954生, 비구니) | 정명스님(正明, 1954년생)]] || [[현수스님(賢秀, 1943生, 비구니) | 현수스님(賢秀, 1943년생)]]
 
|-
 
| [[대우스님(大愚, 1949生, 비구니) | 대우스님(大愚, 1949년생)]] || [[법일스님(法一, 1904生, 비구니) | 법일스님(法一, 1904년생)]] || [[성타스님(性陀, 1934生, 비구니) | 성타스님(性陀, 1934년생)]]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 | 정목스님(正牧, 1960년생)]] || [[현정스님(玄定, 1948生, 비구니) | 현정스님(玄定, 1948년생)]]
 
|-
 
| [[대은스님(大恩, 1852生, 비구니) | 대은스님(大恩, 1852년생)]] || [[법전스님(法田, 1927生, 비구니) | 법전스님(法田, 1927년생)]] || [[성탄스님(性坦, 1911生, 비구니) | 성탄스님(性坦, 1911년생)]] || [[정묘스님(靜妙, 1941生, 비구니) | 정묘스님(靜妙, 1941년생)]] || [[현진스님(玄眞, 1934生, 비구니) | 현진스님(玄眞, 1934년생)]]
 
|-
 
| [[대행스님(大行, 1926生, 비구니) | 대행스님(大行, 1926년생)]] || [[법전스님(法典, 1945生, 비구니) | 법전스님(法典, 1945년생)]] || [[성현스님(聖賢, 1927生, 비구니) | 성현스님(聖賢, 1927년생)]] || [[정성스님(定星, 1940生, 비구니) | 정성스님(定星, 1940년생)]] || [[현진스님(玄眞, 1937生, 비구니) | 현진스님(玄眞, 1937년생)]]
 
|-
 
| [[대현스님(大玄, 1916生, 비구니) | 대현스님(大玄, 1916년생)]] || [[법종스님(法宗, 1945生, 비구니) | 법종스님(法宗, 1945년생)]] || [[세등스님(世燈, 1926生, 비구니) | 세등스님(世燈, 1926년생)]] || [[정수스님(貞守, 1939生, 비구니) | 정수스님(貞守, 1939년생)]] || [[현찬스님(賢讚, 1934生, 비구니) | 현찬스님(賢讚, 1934년생)]]
 
|-
 
| [[대현스님(大玄, 1957生, 비구니) | 대현스님(大玄, 1957년생)]] || [[법진스님(法眞, 1942生, 비구니) | 법진스님(法眞, 1942년생)]] || [[소림스님(昭林, 1937生, 비구니) | 소림스님(昭林, 1937년생)]] || [[정수스님(淨洙, 1941生, 비구니) | 정수스님(淨洙, 1941년생)]] || [[현행스님(賢行, 1928生, 비구니) | 현행스님(賢行, 1928년생)]]
 
|-
 
| [[덕수스님(德修, 1922生, 비구니) | 덕수스님(德修, 1922년생)]] || [[법천스님(法泉, 1944生, 비구니) | 법천스님(法泉, 1944년생)]] || [[수옥스님(守玉, 1902生, 비구니) | 수옥스님(守玉, 1902년생)]] || [[정심스님(定心, 1918生, 비구니) | 정심스님(定心, 1918년생)]] || [[혜경스님(慧鏡, 1924生, 비구니) | 혜경스님(慧鏡, 1924년생)]]
 
|-
 
| [[덕운스님(德雲, 1942生, 비구니) | 덕운스님(德雲, 1942년생)]] || [[법형스님(法衡, 1921生, 비구니) | 법형스님(法衡, 1921년생)]] || [[수인스님(守仁, 1779生, 비구니) | 수인스님(守仁, 1779년생)]]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 | 정심스님(正心, 1925년생)]] || [[혜광스님(慧光, 1940生, 비구니) | 혜광스님(慧光, 1940년생)]]
 
|-
 
| [[도광스님(度光, 1952生, 비구니) | 도광스님(度光, 1952년생)]] || [[법홍스님(法弘, 1943生, 비구니) | 법홍스님(法弘, 1943년생)]] || [[수인스님(守仁, 1899生, 비구니) | 수인스님(守仁, 1899년생)]] || [[정안스님(正眼, 1950生, 비구니) | 정안스님(正眼, 1950년생)]] || [[혜근스님(慧根, 1935生, 비구니) | 혜근스님(慧根, 1935년생)]]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도문스님(道門, 1942년생)]] || [[법희스님(法喜, 1887生, 비구니) | 법희스님(法喜, 1887년생)]] || [[수진스님(守珍, 1916生, 비구니) | 수진스님(守珍, 1916년생)]]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스님(淨岸, 1951년생)]] || [[혜돈스님(慧頓, 1949生, 비구니) | 혜돈스님(慧頓, 1949년생)]]
 
|-
 
| [[도상스님(道常, 1937生, 비구니) | 도상스님(道常, 1937년생)]] || [[법희스님(法希, 1930生, 비구니) | 법희스님(法希, 1930년생)]] || [[수진스님(修眞, 1950生, 비구니) | 수진스님(修眞, 1950년생)]] || [[정운스님(淨雲, 1954生, 비구니) | 정운스님(淨雲, 1954년생)]] || [[혜등스님(慧燈, 1946生, 비구니) | 혜등스님(慧燈, 1946년생)]]
 
|-
 
| [[도성스님(道成, 1922生, 비구니) | 도성스님(道成, 1922년생)]] || [[법희스님(法熺, 1952生, 비구니) | 법희스님(法熺, 1952년생)]] || [[수현스님(修賢, 1940生, 비구니) | 수현스님(修賢, 1940년생)]] || [[정원스님(正圓, 1939生, 비구니) | 정원스님(正圓, 1939년생)]] || [[혜명스님(慧明, 1917生, 비구니) | 혜명스님(慧明, 1917년생)]]
 
|-
 
| [[도연스님(道鍊, 1911生, 비구니) | 도연스님(道鍊, 1911년생)]] || [[보각스님(普覺, 1904生, 비구니) | 보각스님(普覺, 1904년생)]] || [[수현스님(修賢, 1941生, 비구니) | 수현스님(修賢, 1941년생)]] || [[정인스님(正忍, 1946生, 비구니) | 정인스님(正忍, 1946년생)]] || [[혜문스님(慧門, 1930生, 비구니) | 혜문스님(慧門, 1930년생)]]
 
|-
 
| [[도원스님(道圓, 1904生, 비구니) | 도원스님(道圓, 1904년생)]] || [[보각스님(寶覺, 1938生, 비구니) | 보각스님(寶覺, 1938년생)]] || [[수환스님(修還, 1950生, 비구니) | 수환스님(修還, 1950년생)]] || [[정일스님(淨日, 1934生, 비구니) | 정일스님(淨日, 1934년생)]] || [[혜소스님(慧沼, 1931生, 비구니) | 혜소스님(慧沼, 1931년생)]]
 
|-
 
| [[도준스님(道準, 1900生, 비구니) | 도준스님(道準, 1900년생)]] || [[보명스님(寶明, 1946生, 비구니) | 보명스님(寶明, 1946년생)]] || [[순희스님(順姬, 1917生, 비구니) | 순희스님(順姬, 1917년생)]] || [[정행스님(淨行, 1902生, 비구니) | 정행스님(淨行, 1902년생)]] || [[혜안스님(慧眼, 1912生, 비구니) | 혜안스님(慧眼, 1912년생)]]
 
|-
 
| [[도헌스님(度憲, 1939生, 비구니) | 도헌스님(度憲, 1939년생)]] || [[보명스님(寶明, 1954生, 비구니) | 보명스님(寶明, 1954년생)]] || [[신전스님(信典, 1934生, 비구니) | 신전스님(信典, 1934년생)]] || [[정화스님(淨華, 1922生, 비구니) | 정화스님(淨華, 1922년생)]] || [[혜안스님(慧眼, 1923生, 비구니) | 혜안스님(慧眼, 1923년생)]]
 
|-
 
| [[도훈스님(道勳, 1933生, 비구니) | 도훈스님(道勳, 1933년생)]] || [[보문스님(普門, 1938生, 비구니) | 보문스님(普門, 1938년생)]] || [[연호스님(蓮湖, 1930生, 비구니) | 연호스님(蓮湖, 1930년생)]] || [[정화스님(貞和, 1923生, 비구니) | 정화스님(貞和, 1923년생)]] || [[혜옥스님(慧玉, 1901生, 비구니) | 혜옥스님(慧玉, 1901년생)]]
 
|-
 
| [[동근스님(東根, 1951生, 비구니) | 동근스님(東根, 1951년생)]] || [[보선스님(普善, 1946生, 비구니) | 보선스님(普善, 1946년생)]] || [[영수스님(暎修, 1941生, 비구니) | 영수스님(暎修, 1941년생)]] || [[종수스님(宗秀, 1922生, 비구니) | 종수스님(宗秀, 1922년생)]] || [[혜운스님(慧雲, 1911生, 비구니) | 혜운스님(慧雲, 1911년생)]]
 
|-
 
| [[동성스님(東城, 1913生, 비구니) | 동성스님(東城, 1913년생)]] || [[보영스님(普暎, 1937生, 비구니) | 보영스님(普暎, 1937년생)]] || [[영운스님(靈雲, 1946生, 비구니) | 영운스님(靈雲, 1946년생)]] || [[종수스님(鍾修, 1922生, 비구니) | 종수스님(鍾修, 1922년생)]] || [[혜원스님(慧圓, 851生, 비구니) | 혜원스님(慧圓, 851년생)]]
 
|-
 
| [[동현스님(東玄, 1945生, 비구니) | 동현스님(東玄, 1945년생)]] || [[보원스님(普願, 1944生, 비구니) | 보원스님(普願, 1944년생)]] || [[영원스님(盈圓, 1949生, 비구니) | 영원스님(盈圓, 1949년생)]]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스님(宗植, 1944년생)]] || [[혜은스님(慧隱, 1937生, 비구니) | 혜은스님(慧隱, 1937년생)]]
 
|-
 
| [[동희스님(東熙, 1945生, 비구니) | 동희스님(東熙, 1945년생)]] || [[보인스님(寶仁, 1924生, 비구니) | 보인스님(寶仁, 1924년생)]] || [[영춘스님(永春, 1894生, 비구니) | 영춘스님(永春, 1894년생)]] || [[종실스님(宗實, 1951生, 비구니) | 종실스님(宗實, 1951년생)]] || [[혜일스님(慧日, 1919生, 비구니) | 혜일스님(慧日, 1919년생)]]
 
|-
 
| [[만선스님(萬善, 1883生, 비구니) | 만선스님(萬善, 1883년생)]] || [[보현스님(普賢, 1934生, 비구니) | 보현스님(普賢, 1934년생)]] || [[예순스님(禮順, 1587生, 비구니) | 예순스님(禮順, 1587년생)]] || [[지광스님(志光, 1934生, 비구니) | 지광스님(志光, 1934년생)]]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스님(慧日, 1947년생)]]
 
|-
 
| [[만선스님(萬善, 1906生, 비구니) | 만선스님(萬善, 1906년생)]] || [[보화스님(普和, 1933生, 비구니) | 보화스님(普和, 1933년생)]] || [[운달스님(雲達, 1942生, 비구니) | 운달스님(雲達, 1942년생)]] || [[지명스님(智明, 1921生, 비구니) | 지명스님(智明, 1921년생)]] || [[혜전스님(慧田, 1929生, 비구니) | 혜전스님(慧田, 1929년생)]]
 
|-
 
| [[만선스님(萬善, 996生, 비구니) | 만선스님(萬善, 996년생)]] || [[본각스님(本覺, 1952生, 비구니) | 본각스님(本覺, 1952년생)]] || [[원오스님(圓悟, 1933生, 비구니) | 원오스님(圓悟, 1933년생)]] || [[지문스님(志門, 1958生, 비구니) | 지문스님(志門, 1958년생)]] || [[혜종스님(慧宗, 1930生, 비구니) | 혜종스님(慧宗, 1930년생)]]
 
|-
 
| [[만성스님(萬性, 1897生, 비구니) | 만성스님(萬性, 1897년생)]] || [[본공스님(本空, 1907生, 비구니) | 본공스님(本空, 1907년생)]] || [[원표스님(圓表, 1951生, 비구니) | 원표스님(圓表, 1951년생)]] || [[지성스님(志性, 1939生, 비구니) | 지성스님(志性, 1939년생)]] || [[혜주스님(慧珠, 1925生, 비구니) | 혜주스님(慧珠, 1925년생)]]
 
|-
 
| [[명길스님(明吉, 1931生, 비구니) | 명길스님(明吉, 1931년생)]] || [[봉려관스님(蓬廬觀, 1865生, 비구니) | 봉려관스님(蓬廬觀, 1865년생)]] || [[월혜스님(月慧, 1895生, 비구니) | 월혜스님(月慧, 1895년생)]] || [[지순스님(芝順, 1913生, 비구니) | 지순스님(芝順, 1913년생)]] || [[혜준스님(慧俊, 1935生, 비구니) | 혜준스님(慧俊, 1935년생)]]
 
|-
 
| [[명륜스님(明倫, 1937生, 비구니) | 명륜스님(明倫, 1937년생)]] || [[불필스님(不必, 1937生, 비구니) | 불필스님(不必, 1937년생)]] || [[육년스님(六年, 1906生, 비구니) | 육년스님(六年, 1906년생)]] || [[지연스님(知衍, 1947生, 비구니) | 지연스님(知衍, 1947년생)]] || [[혜춘스님(慧春, 1919生, 비구니) | 혜춘스님(慧春, 1919년생)]]
 
|-
 
| [[명성스님(眀星, 1931生, 비구니) | 명성스님(眀星, 1931년생)]] || [[상근스님(祥根, 1872生, 비구니) | 상근스님(祥根, 1872년생)]] || [[육문스님(六文, 1946生, 비구니) | 육문스님(六文, 1946년생)]] || [[지오스님(智悟, 1955生, 비구니) | 지오스님(智悟, 1955년생)]] || [[혜해스님(慧海, 1921生, 비구니) | 혜해스님(慧海, 1921년생)]]
 
|-
 
| [[명수스님(明洙, 1925生, 비구니) | 명수스님(明洙, 1925년생)]] || [[상덕스님(常德, 1951生, 비구니) | 상덕스님(常德, 1951년생)]] || [[윤호스님(輪浩, 1907生, 비구니) | 윤호스님(輪浩, 1907년생)]] || [[지우스님(至牛, 1935生, 비구니) | 지우스님(至牛, 1935년생)]] || [[회선스님(會善, 1926生, 비구니) | 회선스님(會善, 1926년생)]]
 
|-
 
| [[명심스님(明心, 1947生, 비구니) | 명심스님(明心, 1947년생)]] || [[상덕스님(常德, 1952生, 비구니) | 상덕스님(常德, 1952년생)]] || [[은영스님(恩榮, 1910生, 비구니) | 은영스님(恩榮, 1910년생)]] || [[지원스님(知元, 1931生, 비구니) | 지원스님(知元, 1931년생)]] || [[효성스님(曉星, 1898生, 비구니) | 효성스님(曉星, 1898년생)]]
 
|-
 
| [[명안스님(明岸, 1941生, 비구니) | 명안스님(明岸, 1941년생)]] || [[상덕스님(尙悳, 1925生, 비구니) | 상덕스님(尙悳, 1925년생)]] || [[응민스님(應旼, 1923生, 비구니) | 응민스님(應旼, 1923년생)]] || [[지원스님(智圓, 1938生, 비구니) | 지원스님(智圓, 1938년생)]] || [[효성스님(曉惺, 1927生, 비구니) | 효성스님(曉惺, 1927년생)]]
 
|-
 
| [[명오스님(明悟, 1916生, 비구니) | 명오스님(明悟, 1916년생)]] || [[상락스님(常樂, 1928生, 비구니) | 상락스님(常樂, 1928년생)]] || [[인성스님(仁成, 1901生, 비구니) | 인성스님(仁成, 1901년생)]] || [[지원스님(智願, 1942生, 비구니) | 지원스님(智願, 1942년생)]] || [[효성스님(曉星, 1948生, 비구니) | 효성스님(曉星, 1948년생)]]
 
|-
 
| [[명완스님(明完, 1937生, 비구니) | 명완스님(明完, 1937년생)]] || [[상륜스님(相侖, 1929生, 비구니) | 상륜스님(相侖, 1929년생)]] || [[인완스님(仁完, 1930生, 비구니) | 인완스님(仁完, 1930년생)]] || [[지인스님(智因, 1937生, 비구니) | 지인스님(智因, 1937년생)]] || [[효천스님(曉天, 1941生, 비구니) | 효천스님(曉天, 1941년생)]]
 
|-
 
| [[명주스님(明珠, 1904生, 비구니) | 명주스님(明珠, 1904년생)]] || [[상원스님(相源, 1939生, 비구니) | 상원스님(相源, 1939년생)]] || [[인정스님(仁貞, 1899生, 비구니) | 인정스님(仁貞, 1899년생)]]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 | 지행스님(智行, 1941년생)]] || [[효탄스님(曉呑, 1955生, 비구니) | 효탄스님(曉呑, 1955년생)]]
 
|-
 
| [[명철스님(明哲, 1939生, 비구니) | 명철스님(明哲, 1939년생)]] || [[상조스님(常照, 1951生, 비구니) | 상조스님(常照, 1951년생)]] || [[인허스님(印虛, 1911生, 비구니) | 인허스님(印虛, 1911년생)]] || [[지향스님(智向, 1941生, 비구니) | 지향스님(智向, 1941년생)]] || [[희선스님(喜善, 1929生, 비구니) | 희선스님(喜善, 1929년생)]]
 
|-
 
| [[묘각스님(妙覺, 1928生, 비구니) | 묘각스님(妙覺, 1928년생)]] || [[상훈스님(常熏, 1944生, 비구니) | 상훈스님(常熏, 1944년생)]] ||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 | 인홍스님(仁弘, 1908년생)]] || [[지현스님(智玄, 1916生, 비구니) | 지현스님(智玄, 1916년생)]] || [[희원스님(喜圓, 1951生, 비구니) | 희원스님(喜圓, 1951년생)]]
 
|-
 
| [[묘각스님(妙覺, 1942生, 비구니) | 묘각스님(妙覺, 1942년생)]] || [[서용스님(瑞庸, 1948生, 비구니) | 서용스님(瑞庸, 1948년생)]] || [[인화스님(忍和, 1912生, 비구니) | 인화스님(忍和, 1912년생)]] || [[지현스님(智賢, 1933生, 비구니) | 지현스님(智賢, 1933년생)]] ||
 
|}
 

2024년 9월 18일 (수) 07:25 기준 최신판



정의

의정(義淨) 지형(志炯)스님은 의진(義眞) 상덕(常德)스님과 함께 청암사를 현재의 모습으로 중창하고 청암사 승가대학을 국내 굴지의 승가대학의 면모를 갖추게 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947 서울 출생
1966 광주 흥룡사에서 법인(法印)스님을 은사로 출가
1967 광주 흥룡사에서 고암(古庵)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71 범어사 금강계단에서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72 동학사 강원 중강[1]
1973 동학사 강원 졸업, 조계종 중앙교육원 제6기 수료
1976 월정사 지장암에서 하안거 성만
1980 동국대학교 승가학과 졸업
1981 경국사 법보강원 제1회 졸업
1982~1985 화운사 강원 강주[2]
1984~1986 단일계단 사미니계율 교수사
1987~2004 청암사 강원 주지 및 학장 겸임
1987 김천 소년교도소 종교위원
1991 행자교육원 제1기 사미니계율 교수사(이후 5기, 16기, 21기, 22기 역임)
1994 개혁종단 개혁 상임위원
1995~2004 교육원 교육위원
1996~2004 단일계단 비구니 갈마위원
1997~1999 교육원 역경위원
1998~2004 대한불교 조계종 12대 중앙종회의원
2001~2004 행자교육 운영위원 및 교수사
2002 식차마나니계 갈마위원
2004 청암사승가대학 강주 및 학장
2021 동화사에서 명사 법계를 품수
문중 두옥문중(斗玉)
생활신조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저서 및 작품 논문 〈대승기신론에 대한 연구〉, 〈능엄경에 대한 고찰〉 외 다수
상훈 중앙교육원 제6기 총무원장상 수상(1973년)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도업·도림(道林)·보련(普蓮)·도겸·도현(道玄)·길장(吉藏)·명준(明俊)·명오(明悟)·도유(道逾)·도성(道成)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경윤(5)→혜원(慧圓, 6)→광호(光毫, 7)법인(法印, 8)지형(志炯, 9)→도업(道業, 10), 도림(道林, 10), 보련(普蓮, 10), 도겸(道謙, 10), 도현(道玄, 10), 길장(吉藏, 10), 명준(明俊, 10), 명오(明悟, 10), 도유(道逾, 10), 도성(道成, 10)

활동 및 공헌

출가

[동학사 여름방학 (1967)]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51
[중강 시절 동학사에서 (1972)]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52
[화운사 불교전문강원에서 강주 취임 기념 (1982)]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53
[도반 상덕스님과 함께]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55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56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57

의정(義淨) 지형(志炯)스님은 1947년 8월 21일 서울시 성북구 동선동에서 아버지 박기태(朴基太)와 어머니 이인수(李仁壽) 사이의 1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이며, 이름은 박성수이다.

스님의 집안은 대대로 불심이 매우 깊었다. 평생을 불교에 귀의해 수행정진 하였던 증조모님은 입적 후 사리 32과가 수습되어 사리탑(嘉善大夫戶曹參判 密陽朴公悰豐之配般若藏 (가선대부호조참판 밀양박공종풍지배반야장; 광주시 흥룡사 소재)이 세워질 만큼 뛰어난 수행자였다. 뒤를 이어 조모이신 조연지월(趙蓮池月) 보살 역시 돈독한 불심을 지닌 분이었다. 이 두 분이 이끄시는 대로 스님은 동진으로 산문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님은 총명하고 밝은 성품을 타고났다. 어버이 같은 관심과 애정을 쏟으셨던 안광호(安光毫) 노스님과 은사 법인(法印)스님의 도제 양성 의지에 따라 열심히 공부하여 전남여중과 대구여고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 1966년 법인스님을 은사로, 고암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다. 그로부터 4년 뒤인 1971년에는 석암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하였다.

노스님이신 안광호스님

스님의 출가를 누구보다 기뻐하셨던 안광호 노스님은 조계종 전국 비구니회 고문과 비구니 금강계단의 초대 존증(尊證)아사리로서, 광주 흥룡사, 순천 선암사, 동학사 주지 등을 역임하신 비구니계의 큰 별이셨다. 통도사 극락암 경봉 큰스님께서도 광호 노스님을 비구니계의 거목이라 하셨으며, 동학사 주지시절 강당을 복원하여 현재의 비구니 전문 강원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도 후학을 양성하겠다는 노스님의 원력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노스님은 비구승 못지않은 용모와 기개로 수행에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으셨고 철저한 계행을 몸소 지니셨으며, 일체의 물욕이 없는 무소유인 이셨다. 손상좌인 지형(志炯)스님이 그 성품 그대로 물려받은 듯하다.

수학

지형스님은 1967년 노스님이 주지로 계시던 동학사 강원에 입학하였다. 입학한 뒤 당시 재무 소임을 맡으신 은사스님의 시자를 살았는데, 엄격히 지도하시는 은사스님의 가르침에 힘입어 큰 방 생활을 하며 대중의 규칙을 어기는 일이 없었다.

학인 시절 내내 스님은 시자[3] 와 서기, 별좌[4], 입승[5], 교무 등 여러 소임을 살았는데, 소임이 주어질 때마다 어른 스님에게 순응하고 대중과 화합하며 수행자로서의 위의를 갖추어나갔다.

공부에 대한 열정과 흥미도 남달라 소임이 끝난 후 경책을 들면 밤늦게까지 시간가는 줄 모를 정도로 열심히 하였다. 누구 못지않게 치열하게 공부하였던 스님은 당시 일본 대정대학 출신으로 유식에 밝으신 호경(湖鏡) 대강백스님으로부터 경을 보는 안목을 높이 평가 받았다. 사교반 때 이미 학인의 신분으로 중강 소임을 맡아 치문반을 가르칠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으며 강사로서의 기본 소양을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가산(伽山) 지관(智冠)스님으로부터 비구니로서는 최초로 전강을 받다

1973년 동학사 강원을 졸업한 스님은 부산 보덕사에서 은사스님을 3년간 모셨으며, 1976년 월정사 지장암에서 하안거를 성만하였다. 그러나 참선 수행을 할 때 바른 견지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일대시교를 꿰뚫어 수행의 확고한 지침을 삼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 곧바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에 입학하였다. 그러자 하안거를 함께 성만했던 입승 현묵스님 등 어른스님들은 이 사실을 알고 아까운 수좌를 놓쳤다며 매우 아쉬워하셨다.

공부 도중 스님에게는 홍콩과 일본 유학의 기회가 여러 번 주어졌으나 노스님과 은사스님의 뜻을 받들어 유학의 길을 포기하였다.

그 대신 스님은 대학에 다니면서 저녁에는 경국사 법보 강원에서 가산(伽山) 지관(智冠)스님에게 사교와 『화엄경』, 『선문염송』을 재강(再講)하였다. 비구니로서는 최초로 지관스님의 전강 제자가 된 스님은 마침내 전체적으로 글을 꿰는 안목을 갖추게 되었다. 지금까지 즐겨보는 『능엄경』 또한 지관스님과의 재강을 통해 새롭게 만나게 된 경전이다.

‘망심(妄心)을 없애고 진심(眞心)을 닦아 선정에 이르게 하되, 풍부한 비유와 치밀한 논리로써 실천적 수행의 길잡이로 삼을 만하다’는 경전 『능엄경』을 보고 처소로 돌아올 때면 환희심에 벅차 날아오를 것만 같았다.

스님은 그 후 동국대학교와 법보 강원을 졸업하고 부산 보덕사에서 은사스님을 시봉하던 중 스승이신 지관스님의 추천을 받아 1982년 3월 용인 화운사 강원의 강주로 취임하였다. 그때 지관 스님은 스님의 취임식에 직접 참석하여 학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강사는 마를 ‘강’자 강사라고도 부르니, 여러분들이 잘 보필해서 건강하게 강의하도록 잘 모시길 바랍니다.”

지관스님으로 부터 법호와 전강게를 받다

그로부터 얼마 후 의정(義淨)이란 법호와 함께 내려주신 전강게는 다음과 같다.

고제법령현시방 (高提法令現十方) 법령을 높이 들어 시방에 나투어서서
교화필수세존설 (敎化必須世尊說) 세존의 말씀을 갖추어서 교화하며
연교강선겸정진 (硏敎講宣兼精進) 교학과 강을 폄에 정진을 겸하여
위도중생광선설 (爲度衆生廣宣說)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널리 선설하라

강주가 되다

학교를 졸업하고 선방을 가지 않는 스님에게 ‘그동안 먹은 밥그릇 숫자만큼 밥값을 해야 한다.’고 경책하셨던 구산 큰스님은 스님이 강주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누구보다 기뻐하셨다. 그리고 친필 두 점과 친히 법문하신 바라밀 테이프와 『반야심경』 강의 테이프를 보내주셨다.

강주가 된 지형스님은 처음 얼마 동안은 다른 강사가 없어 네 반을 혼자 가르쳐야 했다. 2년 후 동학사 강원 후배인 의진(義眞) 상덕(常德)스님(현재의 청암사 주지, 강사)이 중강으로 부임하면서 숨을 돌릴 수가 있었다. 이때부터 시작된 스님과 상덕스님의 아름다운 도반의 동행은 지금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화운사에서 나온 스님은 상덕스님과 김천 청암사에 비구니 강원을 세우겠다는 발원을 하였다.

청암사 승가대학 건립

마침내 1987년 정월 그믐에 가르침을 요청하는 학인 16명과 청암사에 들어와 청암승가대학을 세우고 주지 및 학장을 겸하게 되었다.

스님 일행이 처음 도착했을 당시만 해도 청암사는 전각 대부분이 비가 새고 지붕에는 풀과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대방채인 육화료에서만 기거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아침에 수업이 끝나면 스님은 학인들과 함께 전각마다 찌든 때를 제거하기 위해 양잿물로 기둥과 마루를 닦아야 했다. 또한 연일 계속되는 울력으로 아픈 학인이 나오면 직접 돌보고 위로하는 등 학인들과 동사섭(同事攝)하며 어려운 난관에도 아무런 흔들림 없이 꿋꿋하게 수행자의 품위와 기개를 지켜나갔다.

청암사 불사

스님은 청암사에 들어온 첫 해에 육화료 불사와 진영각 보수공사를 원만히 회향하였다. 그 후 1991년 극락전의 보수공사를 걱정하고 있는데 마침 찾아오신 송광사 방장 범일보성(梵日菩成) 큰 스님께서 7일 철야기도를 해보라고 권유해주셨다. 기도의 가피로 극락전 보수 불사는 순조롭게 진행되었고, 대중들은 환희심으로 충만하였다.

그때 시작된' 법화경 산림 7일 철야기도'가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오고 있다. 스님은 극락전 보수공사에 이어 선열당, 중현당, 종각 그리고 백화당을 창건하였다.

스님의 불사 원칙은 가장 상식적인 것이다. 늘 환경 보호를 생각하되 필요에 따라 불사의 규모는 최소화할 것, 도량의 옛 모습을 지키고 수명만 연장시키는 개보수를 할 것 등 스님은 늘 원칙을 준수하였다.

어느 때인가 학인들이 밭에 그늘이 진다고 나무를 톱으로 베어낸 적이 있었다. 그러자 스님은 대중을 모두 모이게 한 뒤 “이 산중의 진짜 주인은 땅과 물과 나무들이에요. 우리는 그저 이곳을 잠시 빌려 살고 있을 뿐 우리 마음대로 함부로 나무를 베어서는 안 됩니다.”하고 당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 이후로는 어느 누구도 함부로 나무 한 그루를 베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스님의 환경관이 철저하게 지켜짐에 따라 지금까지 청암사는 천년 고찰의 신비로움과 청정함을 그대로 지닐 수 있게 되었다.

스님이 강의를 통해 후학 양성의 길에 매진해가고 있을 즈음, 조계종단의 요청으로 개혁 상임위원과 12대 중앙종회의원을 역임하게 되었다. 1984년에는 사미니 계율 교수사로 사미니율의를 강의하는 소임을 맡기도 하였다.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지형스님은 현재 청암사승가대학 학장으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고시위원,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교육위원, 행자교육원 운영위원, 행자교육원 사미니 계율 교수사, 단일계단 비구니 갈마위원 등을 맡아 종단 일 을 보고 있다. 종단 일 외에도 20여 년 동안 김천소년교도소 종교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섭수된 인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처럼 많은 활동을 하면서도 흐트러짐 없는 수행자의 모습을 갖추는 것은 스님이 평소 학인들에게 누누이 강조하는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곧 ‘어느 곳에서나 주인의식을 가지고 서 있는 곳 그대로가 다 진(眞)이다’는 가르침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인 때부터 시작한 강학의 세월을 살아오면서 스님은 청매선사의 무익한 열 가지 가르침 가운데 첫 번째인 ‘심불반조(心不返照)면 간경무익(看經無益)이라’, 곧 ‘마음으로 반조하지 않으면 경을 보아도 이익이 없다는 가르침이 날이 갈수록 가슴 깊이 와 닿는다고 한다.

마음의 눈으로 경을 볼 때만 비로소 제대로 볼 수 있음을 알기에 스님의 가슴속에는 수십 수백 권의 경을 송두리째 삼켜버리는 날선 검 한 자루가 늘 그 빛을 발하고 있다.

  아유일권경 (我有一券經) 나에게 한 권의 경이 있으니
  불인지묵성 (不因紙墨成) 종이와 먹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이라
  전개무일자 (展開無一字) 펼쳐보아도 한 글자가 없으나
  상방대광명 (常放大光明) 항상 대광명을 놓음이라

※ 출처 : 서산대사 운수단(雲水壇, 서산대사께서 편찬한 불교의식집)

이렇듯 지형스님은 티 없이 해맑은 자태 속에 수행자의 시퍼런 기개와 물 한 방울도 내 것 삼아 허투로 하지 않는 청빈함으로 한결같은 길을 걷고 있다. 스님은 2021년 명사법계를 품수했다.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도업·도림(道林)·보련(普蓮)·도겸·도현(道玄)·길장(吉藏)·명준(明俊)·명오(明悟)·도유(道逾)·도성(道成) 등 현재 18명이 있으며, 이미 졸업한 수학제자는 500여 명으로서 각자의 처소에서 수행과 포교에 정진하고 있다.

김천 청암사

[청암사 전경]
사진출처: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jungde13/222636523353

멀리 가야산 자락이 보이고 가까이는 불령산의 푸르른 정기로 둘러 싸인 청암사(靑巖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의 말사로 859년(신라 헌안왕 3년) 도선국사가 건립한 고찰이다.

사적에 의하면 청암사는 1647년(조선 인조 25년)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당대의 강백이었던 벽암(碧巖) 각성(覺性)스님이 그 소식을 전해 듣고 노정(盧靜) 혜원(慧遠)스님으로 하여금 재건토록 하였으며, 이에 혜원스님이 심혈을 기울여 중건하였다.

그 후 숙종의 정비 인현왕후가 서인으로 있을 당시 이곳의 극락전에 기거하면서 기도했던 인연으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불령산 적송산림은 국가보호림으로 지정되어 궁에서 무기 등이 하사되었고 조선시대 말기까지 상궁들이 내려와 신앙생활을 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1905년(고종 9년) 당시 주지 대운당 스님이 잠결에 빨간 주머니를 얻는 꿈을 꾼 후 한양에 가니 어느 노 보살 한 분이 자신이 죽은 후에도 3년 동안 염불해달라고 부탁하며 크게 시주를 하였다. 이리하여 대운당 스님은 쇠락한 극락전을 다시 중건하고 만일회를 결성하였다. 극락전은 염불당으로서 염불 소리가 끊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 당시 청암사는 불교 강원으로 명성을 드날렸는데, 청암사 강원의 효시인 조선시대 대강백이자 선사이신 회암(晦庵) 정혜(定慧)스님께서 주석하신 때이다.

손대지 않은 자연 경관 속에 고찰의 신비로움을 그대로 간직한 채 전통 강원의 맥을 이어가고 있고, 140여 명의 초심 학인들이 부처님 경전 공부와 더불어 수행의 향기를 쌓아가고 있는 곳이 바로 천년 고찰 청암사이다.

  • 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 뜨란출판사, 2007, p.358

참고자료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지형(志炯)스님 본항목 지형스님(志炯, 1947~) 志炯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지형스님(志炯,_1947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지형스님(志炯) 두옥문중(斗玉) ~의 일원이다
지형스님(志炯) 법인스님(法印) ~의 수계제자이다
지형스님(志炯) 광주 흥룡사 ~에서 출가하다
지형스님(志炯) 고암스님(古庵)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지형스님(志炯) 석암스님(昔巖)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지형스님(志炯) 명사법계(明師法階) ~을(를) 품수하다
지형스님(志炯) 김천 청암사 ~을(를) 중창하다
지형스님(志炯) 청암사 강원(승가대학)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감원)
지형스님(志炯) 청암사 강원(승가대학) ~을(를) 건립하다
지형스님(志炯) 대한불교조계종 행자교육원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운영위원, 교수사
지형스님(志炯)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교육위원, 역경위원
지형스님(志炯) 안거 ~을(를) 성만하다 평창 월정사 지장암

지도



다른 비구니 스님

지식관계망




주석

  1. 강주를 보좌하는 소임
  2. 승가대학의 교육 전반을 관장하는 소임
  3. 웃어른을 가까이 모시고 시중드는 소임
  4. 음식 · 방석 · 이부자리 등을 담당하는 소임
  5. 사찰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