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상근스님(祥根, 1872生, 비구니)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인월당(印月堂) 상근(祥根)스님은 금강산 신계사를 비롯하여 전국의 여러 사찰에서 수행하였으며,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대한민국의 비구니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872 경기 경성동부 출생
1883 서울 청룡사에서 창수스님(昌守)을 은사로 출가
1886 개운사 극락암에서 초암(草雇)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894~1909 금강산 영원암, 유점사 반야암, 백련암, 홍성암, 신계사 법기암 등에서 안거
1909 서울 청룡사 주지 취임
1911~1918 금강산 장안사에서 수행 정진
1913 금강산 유점사에서 영봉(靈峰)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14 유점사에서 중덕품계 품수, 석두스님으로부터 당호 ‘인월당’ 하사 받음
1918 청룡사 주지 역임, 독립운동자금 지원
1925 논 323 석(石) [1] 이상, 밭 10석(石) 이상의 소출량을 내는 전답을 사찰에 헌납 (서울 개운사, 금강산 마하연, 금강산 장안사, 금강산 표훈사, 금강산 신계사, 수원 용주사, 예산 정혜사, 서울 청룡사, 오대산 월정사 등 10여개 사찰)
1951 입적(1951.5.21.세수80세,법랍66세)
문중 법기문중(法起)
수계제자(『한국비구니명감』) 윤호(輪浩)·대용(大用)·보현(普賢)·보성(寶成)·보완(寶玩)·만성(滿性)·윤여(輪如)
문중계보(『한국의 비구니문중』) 처금(處金, 3)→등확(登彉, 4)→계흔(桂昕, 5)→창수(昌守, 6)상근(祥根, 7)윤호(輪浩, 8), 대용(大用, 8), 보현(普賢, 8), 보성(寶成, 8), 보완(寶玩, 8), 만성(滿性, 8), 윤여(輪如, 8)

활동 및 공헌

출가

인월당(印月堂) 상근(祥根)스님은 1872년(고종9년) 9월 6일 한성부 동부 이교동(지금의 종로 4가)에서 아버지남양 홍씨 홍영일(洪英日), 어머니 충주 김씨의 4남매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상근스님이 10세 되던 해에 어머니가 청룡사에서 계흔(桂肵)스님의 상좌로 출가를 하여 법명을 창수(昌守)라고 하였다. 그 해 여름 언니 되는 금전(錦典)이 어머니를 은사로 모시고 출가를 하고, 그로부터 2년 뒤인 1883년 9월 24일 상근스님 역시 어머니를 은사 스님으로 모시고 출가를 하였다. 세모녀가 함께 은사와 상좌가 된 매우 특별한 경우였다. 이 때 스님의 나이 12세였다.

[상근스님] 출처: 문명대, 『청룡사-청룡사의 역사와 문화』, 2010, (사)한국미술사연구소 p 15

수행

그로부터 1년 뒤 개운사 극락암에서 초암(草雇)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한 스님은 1894년 23세에 처음으로 당시 참선도량으로 이름이 높았던 금강산 영원암 선방에 입방하여 안거를 났다.뒤이어 몇 해에 이르는 동안 금강산 유점사 반야암을 비롯해 백련암(현재는 소실되고 없음), 홍성암, 신계사 법기암 등 제방 선원에서 정진을 거듭하고 청룡사로 돌아왔다.
스님은 42세 되던 해인 1913년 4월에 금강산 유점사에서 윤영봉(尹靈峯)율사(律師) 스님으로부터 비구니계를 받았다. 이듬해 2월 유점사에서 중덕법계를 품수 받고, 금강산 보은암에 주석하고 있던 임석두스님으로부터 ‘인월당’이란 당호를 받았다.

스님은 천성이 영민하고 체격이 건장하였으며 마음이 활달하고 기개가 헌양하여 대의(大義)에 살고 소절(小節)에 굴하지 않았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리하여 듣고 보는 것은 모르는 것이 없고 불전의 법요의식(法要儀式)과 각단(各壇)의 예경승사(禮敬承事)는 말할 것도 없고 어려운 범패(梵唄)에 이르기까지 남달리 뛰어난 소질을 발휘하였다.

또한 신심이 견고하고 공익심이 투철하여 가람수호와 빈병(貧病) 구제에 솔선수범하였고, 항상 검박한 생활을 하였으며 불법(佛法)을 위한 일이라면 무엇이든 아끼지 않고 기쁘게 보시(布施)하였다.
일생 동안 저축한 적지 않은 재산을 만년에 아낌없이 여러 사원에 희사 헌납한 것을 미루어 보더라도 그 활달하고 물욕이 없는 성품을 알 수 있으며, 정중하고 치밀하여 매사에 소홀히 하거나 불성실한 점이 없었다.

청룡사 불사

스님께서는 40세 되던 해 몇몇 상좌들을 데리고 금강산 장안사 관음암에서 오랫동안 공부를 하였다. 1918년 청룡사에 와서 즉시 대불사(大佛事)를 시작하여 가람을 증축하였다.

독립운동의 숨은 조력자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평소에 남달리 애국심이 강했던 스님은 직접 전위에 서서 투쟁하지는 못해도 물심양면으로 애국지사들을 적극적으로 원조하고 격려했다. 민족 대표의 33인 중 불교계의 대표인 한용운, 백용성 두 분 스님을 위시하여 백초월, 이종욱, 신상완 등 여러 스님의 뒤를 받들어 독립운동에 꾸준히 숨은 역할을 했다.

인월당 상근스님은 격동의 이조 말엽에 태어나 변화무쌍한 사회적 상황에서 갖가지로 다양한 체험을 하여 종교관과 사회관 및 생활 철학관이 누구보다도 뚜렷하였다. 임오군란으로부터 8·15 해방, 6·25전쟁 등의 희비를 목격한 스님의 팔십 평생은 고난과 수난의 역경 속에 불굴의 의지로 살아온 일생이었다.

각 사찰에 재산 헌납

개운사에 있는 상근스님 공덕비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권. 뜨란출판사, 2007, p.63
소화7년(1932) 상근스님이 금강산 마하연에 논을 보시한다는 계약서 봉투. 자료제공: 청룡사
소화7년(1932) 상근스님이 금강산 마하연에 논을 보시한다는 계약서. 논 13,927평, 1년 추수 100석. 자료제공: 청룡사
현재 금강산 마하연에 서있는 홍상근불량헌답공덕비(洪祥根佛糧獻畓功德碑). 촬영: 진홍스님

상근스님이 논 323석분과 10석이 넘는 밭을 9개 사찰에 고루 나누어 바칠 뜻을 비추자 모시고 있던 윤호(輪浩)스님께서 선뜻 “스님 좋으신 뜻대로 하십시오, 저는 제 복대로 살 것이 아닙니까.”하고 조금도 서운함 없이 흔연히 은사스님의 뜻에 따랐다고 한다. 두 스님 모두 참으로 뛰어난 수도인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행적이다.

이때 스님이 재산을 헌납한 사찰은 금강산의 마하연사, 장안사, 표훈사, 신계사를 비롯해 수원 용주사, 예산 정혜사, 서울 개운사와 청룡사, 오대산 월정사 등 모두 9개 사찰로 기록은 전하고 있다. 지금도 개운사에는 스님의 대 공덕비가 우뚝 서 있다. 스님의 보살 희사정신은 오늘날은 물론 앞으로 세세생생 영원히 빛이 더 할 것이다. 전심전력(專心專力)을 다해 사찰을 수호하고 불법(佛法)을 밝혀온 스님은 보살 화현(菩薩 化現)과 같은 분으로서 후대에게 행여 미약해지기 쉬운 신심(信心)을 견고히 다지는 좋은 교훈(敎訓)을 남겨주었다.

입적

6·25전쟁이 일어난 이듬해 1951년 5월 21일 입적에 들었다. 스님의 세수는 80세, 법랍은 66세였다. 윤호(輪浩)스님은 다섯 살 되던 해 상근스님을 은사로 정하고 출가하여 그해 가을 금강산을 가는데 지게꾼이 지게에 지고 가셨다고 한다. 이처럼 상근(祥根)스님의 자애 넘치는 사랑과 금강산의 신비와 경건한 교훈 속에서 어린 시절을 충만하게 보낸 윤호(輪浩)스님은 평생 지극한 효성으로 은사스님을 봉양하여 후대에 큰 귀감이 되고 있다.

수계제자

수계제자로는 맏상좌 윤호(輪浩)스님을 비롯한 대용(大用)·보현(普賢)·보성(寶成)·보완(寶玩)·만성(滿性)·윤여(輪如)등을 두셨으나, 모두 고인이 되었다. 손상좌인 청룡사 주지 윤호(輪浩)스님 계의 진우(眞愚)스님과 진홍(眞弘)스님을 비롯해 진문(眞門)·진경(眞鏡)· 진성(眞性)·진적(眞寂)·진공(眞空)스님과 보현(普賢)스님 계 경선(鏡先), 그리고 보성(寶成)스님 계의 응명(應明)스님, 도준(道準)스님이 있다.

청룡사

[청룡사 소개 1}

[청룡사]
사진출처:티스토리 https://gotemplestay.tistory.com/171

청룡사(靑龍寺)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망산길(현재 숭인동)에 위치한 절로, 고려 태조 5년(불기 1466년, 서기 922년, 단기 3255년) 도선국사의 유언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 사찰은 한양의 외청룡 산등성이에 지어져서 ‘청룡사’라 하였다.고려 태조 17년(불기 1478년, 서기 934년) 제1세 주지로 혜원(慧圓) 비구니스님이 절을 맡은 이래로, 줄곧 비구니스님들만이 주석(住錫)하고 있다.

그 예로 고려 말기 이제현(李齊賢)의 딸이자 공민왕비인 혜비(惠妃)가 망국의 슬픔을 안고 이곳 청룡사에서 스님이 되어 수도(修道)하였으며, 태조 이성계의 제2왕비 강씨 소생이며 세자 이방석(李芳碩)의 누나인 경순공주(慶順公主)도 이곳에서 아버지 태조의 지시를 받아 스님이 되어 정진(精進)하였다고 전해진다.세조 때에는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로 유배를 떠난 후,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가 이곳에서 법호를 허경(虛鏡)이라고 하고, 17세에서 82세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65년간을 일념으로 정진하며, 날마다 동망봉(東望峰)에 올라 영월 쪽을 바라보았다고도 한다. 그 후 세상을 떠난 지 178년이 되는 숙종 24년에 비로소 정순왕후(定順王后)로 추복(追復)되고, 또 251년이 되는 영조 47년(불기 2315년, 서기 1771년) 영조대왕은 어명을 내려, 청룡사에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라는 비문과 ‘전봉후암어천만년(前峯後巖於千萬年)’이라는 비각 현판의 어필(御筆)을 내려 비석과 비각을 세우고, 정순왕후가 매일 오르던 청룡사 앞 높은 산봉을 동망봉(東望峯)이라는 표석(標石)을 세웠다. 청룡사에는 17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밝혀진 석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제1821호)이 있으며, 이 보물 외에도 1868년(고종 5년)에 제작된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 칠성도(七星圖), 현왕도(現王圖)가 있으며, 1898년(광무 2년)에 제작된 감로도(甘露圖), 1902년에 제작된 신중도(神衆圖), 가사도(袈裟圖), 석조삼불상(石造三佛像)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숭인동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청룡사는 대부분의 전각 배치는 조선 중기 사찰의 전형적인 구성인 산지중정형(山地中庭形)의 배치이다. 산지중정형은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후면에 중심 불전을, 좌우에 승려들이 기거하거나 대중을 받는 요사(寮舍)를, 전면에 사찰로 진입하는 입구가 되면서 법회 등을 여는 우화루(雨花樓)를 배치하는 형식이다. 청룡사는 우화루 우측에 다포형식의 일주문(一柱門)을 두어 사찰 안으로 진입하도록 했지만, 대웅전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곳에 우화루를 두고, 좌우에 심검당과 명부전을 배치하여 조선 중기 산지사찰의 구성을 따르고 있다. 대웅전 뒤쪽 약간 높은 곳에 산신을 모신 산령각을 둔 것은 다른 사찰들과도 비슷한 모습이다.

※ 내용출처: 본 청룡사 소개 자료는 『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74132)의 "청룡사" 내용 중 일부 오류를 수정하여 현 청룡사 주지 진홍 스님이 2023년 10월 16일에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에 제공한 자료입니다.

{청룡사 소개 2}

[청룡사 일주문]
사진출처:티스토리 https://gotemplestay.tistory.com/171
[정업원구기(비석)
사진출처:티스토리 https://hsykms.tistory.com/1212

청룡사는 예로부터 왕실과 인연이 깊은 사찰이다. 인목대비(영창대군의 어머니)가 기도처로 삼기도 하였으며, 특히 상근(祥根) 노스님을 통해 민 중전(민비)과 후궁에 대한 일화도 전해져오고 있다. 당시 광화당 항아님이 잉태를 하여 법륜사 뒷채에 몰래 숨어 지냈는데, 나한전에서 기도를 하던 중에 꿈에 초립동을 만났다고 한다. 기도 덕분인지 하루는 궁에서 가마를 보내 항아님을 데려 오게 하였다. 항아님은 민비의 해(害)를 입을까봐 두려웠지만 나한님의 가피로 결국 왕자를 생산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사적기'에 의하면 청룡사는 922년(고려 태조 5년)에 도선(道詵)국사의 유언에 따라 왕명으로 지어졌으며, 풍수지리적으로 한양의 외청룡(外靑龍)에 해당되는 산등에 지어져서 청룡사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제1대 주지로 비구니 혜원(慧圓)스님이 주석한 이래 줄곧 비구니스님의 수행 도량이었다. 1036년(고려 정종 2년)에 만선(萬善)스님이 처음으로 중창하였고, 1158년(고려 의종 12년)에 회정(懷正) 스님이 두 번째로 중창하였다. 이때 부근에서는 청룡사 동북쪽 고개 너머에 있는 보문사(普門時) 창건 이후 처음 세워진 절이라 하여 '새절 승방'[2]을 은사로 출가 이라고도 불렀다.

1299년(고려 충렬왕 25년)에 중국 원나라의 침입으로 절이 황폐화되자 지환스님이 중창하였고, 그 뒤 조선시대에 와서는 1405년(태종 5년)에 무학(無學)대사를 위하여 왕명으로 중창했다. 또 1512년(중종 7년)과 1624년(인조 2년)에도 법공(法空)스님과 예순(禮順)스님이 각각 중창하였다.

1771년(영조 47년)에는 단종의 왕비 정순(定順)왕후가 머물렀다고 하여 영조가 직접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 라는 글을 내려서 비석과 비각을 세우게 했는데, 이때 절 이름이 잠시 ‘정업원(淨業院)’으로 바뀌었다. 1813년(순조 13년)에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이듬해 묘담(妙潭)스님과 수인(守仁)스님이 다시 중창하였고, 1923년(순조 23년)에 왕명으로 다시 옛 이름인 청룡사로 고쳐 부르게 하였다.

1902년(고종 6년)에 정기(正基)스님과 창수(昌洙)스님이 중창하였고, 1918년과 1932년에 상근(祥根)스님이 중창하였다. 1954년에서 1960년 사이에 윤호(輪浩)스님이 대대적인 중창 불사를 이룩하였고, 1972년에 대웅전을 다시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고려말의 명신(名臣)인 익재 이제현(李齊賢)의 딸이자 공민왕비인 혜비(惠妃)가 청룡사에 거주하였고, 조선 초 태조의 딸 경순공주(慶順公主)가 머물기도 하였다. [3]


세조에 의해서 폐위된 후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은 단종은 유배를 갈 때 단종비(端宗妃) 정순왕후 송씨와 청룡사 우화루(雨花樓)와 영리교(永離橋)에서 마지막 이별을 하였고, 왕비는 스님이 되어 영월 방향의 동쪽 언덕에 올라서 단종의 무사 귀환과 넋을 달랬다고 한다. 그 장소를 동망봉(東望峰)이라고 한다. 동망봉은 청룡사 동쪽 앞에 우뚝 솟은 바위산을 말하는데, 이곳에는 현재 숭인공원(일명 동망산공원)이 있다. 숭인동과 보문동의 경계가 되는 동망산 서쪽 부분은 일제 때부터 광복 이후까지 채석장으로 쓰여 산의 반쪽이 사라져 절벽이 되었다.

정순왕후 송씨는 단종과 이별을 한 후 희안(希安), 지심(智心), 계지(成智) 세 시녀를 데리고 정업원 암자에서 초근목피로 연명하며 지냈다. 이에 조정에서는 근방에 집을 지어주고, 이곳을 영빈정동(英嬪貞洞)이라 부르게 하였으나 송씨는 끝내 그 집에 들지 않고 정업원에 머물렀다. 송씨는 아침저녁으로 동망봉에 올라 영월 쪽을 바라보며 단종의 평안을 빌었으나 세조 3년(1457년) 10월 4일 헤어진 지 4개월 만에 영월에서 노산군이 사약을 받고 숨을 거두었다는 소식이 날아들었다. 그 이 후부터 송씨는 동망봉에 올라 단종의 고혼(孤魂)이 헤매는 영월을 바라보며 명복을 빌었다.

영조 47년(1711년), 영조는 창덕궁에 갔다가 현재 동대문구 숭인동인 연미정동(燕尾汀洞)의 정업원을 들러 단종비 송씨의 옛일을 물어보았다. 이때 전 참판(參判) 정운유(鄭運維)가 불려 와서 말하기를 세조가 송씨의 의지할 곳이 없음을 측은히 여겨 성안에 집을 마련하여 주고자 하였으나 송 씨가 동대문 밖에서 동쪽을 바라다 볼 수 있는 곳에 거처할 것을 원하였으므로 재목을 내려 집을 꾸민 것이 정업원이라고 하였다. 영조는 지난날의 일을 듣고 나서 친히 청룡사 자리에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 라는 글을 써서 비석을 세우게 하고, 또한 '동망봉(東望峰)' 이란 석 자를 써서 정순왕후 송씨가 올랐던 바위에 새기게 하였다. 그러나 일제 때 채석장이 되면서 바위가 깨어져나가 글씨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현재는 동망봉 정상 주변까지 주택이 밀집하여 바위산 봉우리의 옛 모습은 찾을 수 없는데, 정순왕후가 단종의 무사귀환을 기원하던 곳에는 동망산신각이 세워져 있다. 이 산신각은 언제 누가 세웠는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15세기경에 호랑이가 출몰하여 인명과 가축의 피해가 심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당을 짓고 산제(山祭)를 지내기 위해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주민들은 매년 음력 10월 초하룻날이면 이 산신각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 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권. 뜨란출판사, 2007, pp.46-49
  • 이 밖에 청룡사의 역사와 문화재에 관한 다양한 사진자료는 서울 청룡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권. 뜨란출판사, 2007, pp. 60~64.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228.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p. 156, 355, 363, 364.
  • 하춘생. 『깨달음의 꽃1(한국불교를 빛낸 근세 비구니)』. 여래, 1998, p 224~23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74132
  • 티스토리, 종로구 숭인동 청룡사 (2013년) https://gotemplestay.tistory.com/171
  • 티스토리, 일생을 호국과 사원불사에 몸바친 상근, 윤호 두 스님 (2020년) https://causeme1.tistory.com/15614885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상근(祥根)스님 본항목 상근스님(祥根, 1872~1951) 祥根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상근스님(祥根,_1872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상근스님(祥根) 법기문중(法起) ~의 일원이다
상근스님(祥根) 창수스님(昌守) ~의 수계제자이다
상근스님(祥根) 창수스님(昌守) ~의 딸이다
상근스님(祥根) 금전스님(錦典) ~의 자매이다
상근스님(祥根) 서울 청룡사 ~에서 출가하다
상근스님(祥根) 초암스님(草庵)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상근스님(祥根) 영봉스님(靈峰)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상근스님(祥根) 석두스님(石頭) ~(으)로부터 전법하다 당호 : 인월당(印月堂)
상근스님(祥根) 서울 청룡사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감원)
상근스님(祥根) 항일독립운동 ~에 참여하다 자금지원
상근스님(祥根) 안거 ~을(를) 성만하다 회양 장안사 영원암(금강산), 고성(고산) 유점사 반야암(금강산), 고성(고산) 유점사 백련암(금강산), 고성(고산) 유점사 홍성암(금강산), 고성(고산) 신계사 법기암(금강산)

지도

  • 청룡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17-1



다른 비구니 스님

지식관계망




주석

  1. 석(石, 섬) : 1되(升)의 100배, 1말(斗)의 10배, 여기서는 논밭의 곡물 소출 단위
  2. 2023년 10월 16일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현 청룡사 주지 진홍스님은 '새절 승방'이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함
  3. 2023년 10월 16일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현 청룡사 주지 진홍스님은 이 문장을 "혜비가 청룡사에서 출가하였고, 조선태조 딸 경순공주가 출가하였다."로 보아야 적절하다고 지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