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곡도(幽谷道)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경상도 문경의 유곡역(幽谷驛)을 중심으로 설치한 역도.

개설

유곡도(幽谷道)는 고려시대의 상주도(尙州道)와 경산부도(京山府道)의 속역을 바탕으로 조선 세종대에 설치되었다. 이후 장수도와 통합 및 분리를 반복하다가, 1462년(세조 8)에 독립된 역도(驛道)로 확정되었다.

내용 및 특징

유곡도는 사근도(沙斤道)·안기도(安奇道)·장수도(長水道)·김천도(金泉道)·성현도(省峴道)·황산도(黃山道)·소촌도(召村道)·자여도(自如道)·송라도(松羅道)·창락도(昌樂道)와 더불어 경상도 지역에 설치된 역도이다. 문경-함창-상주-선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역로와, 문경-용궁-비안-군위 방면으로 연결되는 역로(驛路)를 관할하였다. 1896년(고종 33) 1월 18일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변천

고려의 역도를 계승한 조선 왕조가 언제부터 역도를 개혁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태종과 세종대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역도를 개편하였다. 그 뒤 1457년(세조 3) 9월에는 병조의 수교관문(受敎關文)에 의거하여 이조에서 올린 계(啓)에 따르면, 국도(國都) 주변의 경기 여러 역과 강원·충청도의 일부 역을 합속하여 경기좌우도(京畿左右道)·경기충청좌우도(京畿忠淸左右道)·경기충청도(京畿忠淸道)·경기강원도(京畿江原道) 등 6개 역도로 나누어 역승(驛丞)을 폐지하고 정역찰방(程驛察訪)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역도-속역 체제의 개편 과정에서 경상도 지방의 역도는 1460년(세조 6)과 1462년의 개편을 통해 일부 역도가 통합되면서 완성되었다.

유곡도는 고려시대에 상주도·경산부도라 불리다가 조선 세종대에 이르러 유곡도로 불리게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유곡도에는 요성역(聊城驛)·덕통역(德通驛)·낙양역(洛陽驛)·낙동역(洛東驛)·낙원역(洛源驛)·낙서역(洛西驛)·장림역(長林驛)·청리신역(靑里新驛)·공성신역(功城新驛)·상평역(常平驛)·구며역(仇旀驛)·영향역(迎香驛)·안곡역(安谷驛)·상림역(上林驛)·쌍계역(雙溪驛)·안계역(安溪驛)·수산역(守山驛)·용궁 신역(龍宮新驛)·지보역(知保驛)·소계역(召溪驛) 등 20개의 속역이 있었다.

그 뒤 1457년에는 유곡도와 장수도를 합하여 장수도라 칭하였으나, 1460년에는 유곡도에 속한 19개 속역과 장수도에 소속된 12개 속역을 합하여 장수도라 하였다. 이어 1462년에는 역제를 개편, 확정하면서 유곡도를 복설하고, 유곡역·요성역·덕통역·지보역·수산역·쌍계역·안계역·낙평역(洛平驛)·낙동역·낙양역·낙서역·장림역·낙원역(洛原驛)·상림역·영향역·구미역(仇彌驛)·안곡역·소계역 등 18개 역을 속역으로 두었다.

1808년(순조 8)에 편찬된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따르면 유곡도에는 요성역·덕통역·대은역(大隱驛)·지보역·수산역·안계역·쌍계역·소계역·낙원역·낙동역·낙양역·낙서역·장림역·낙평역·영향역·구미역(仇味驛)·안곡역·상림역 등 18개 역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1865년(고종 2)에 편찬된 『대전회통(大典會通)』에는 요성역·덕통역·수산역·낙양역·낙동역·구미역(仇彌驛)·쌍계역·안계역·대은역·지보역·소계역·연향역(延香驛)·낙원역(洛源驛)·상림역·낙서역·장림역·낙평역·안곡역 등 18개 역이 유곡도의 속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유곡도의 운영 상황을 보여 주는 자료는 많지 않지만, 영조대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유곡도역지급사례등보책(幽谷道驛誌及事例謄報冊)』과 『영남역지(嶺南驛誌)』 등을 통해 조선시대 후기의 운영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영조대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따르면 유곡도에는 역리(驛吏) 2,748명, 역노(驛奴) 417명, 역비(驛婢) 101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또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영남역지』에 의하면 대마(大馬) 19필, 중마(中馬) 41필, 소마(小馬) 48필 등 총 108필의 역마가 배치되어 있었다. 그뿐 아니라 1895년에 편찬된 『유곡도역지급사례등보책』을 살펴보면, 유곡도에는 총 182결 19부 6속의 복호결(復戶結)이 지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1895년에 편찬된 『영남역지』의 기록을 바탕으로 유곡도의 속역별 공수전(公須田)마위전(馬位田), 복호결의 지급 현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T00012428 01.PNG

P00012428 01.PNG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만기요람(萬機要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유곡도역지급사례등보책(幽谷道驛誌及事例謄報冊)』
  • 『영남역지(嶺南驛誌)』
  • 조병로, 『韓國近世 驛制史硏究』,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