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확(權鑊)"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22일 (금) 01:35 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권확 |
한글표제 | 권확 |
한자표제 | 權鑊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광해군~인조 |
집필자 | 이현숙 |
자 | 사중(士重) |
호 | 석계(石溪)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568년(선조1) |
사망 | 1638년(인조16) |
본관 | 안동(安東) |
주거지 | 서울 |
묘소소재지 | 경기도 파주(坡州) 천점(泉岾) 길경촌(桔梗村) |
증조부 | 권세헌(權世憲) |
조부 | 권윤희(權胤禧) |
부 | 권결(權潔) |
모_외조 | 임주김씨(臨州金氏): 김사근(金思謹)의 딸 |
처_장인 | 죽산안씨(竹山安氏): 안사흠(安士欽)의 딸 |
자녀 | (1자)권게(權垍) (2자)권영(權坽) (2자)권후(權垕) (4자)권우(權堣)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권확(權鑊) |
총론
[1568년(선조1)∼1638년(인조16) = 71세]. 조선 중기 광해군~인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사중(士重)이고, 호는 석계(石溪)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유학자 권결(權潔)의 아들이고, 권영(權坽) · 권우(權堣)의 아버지이다. 김사근(金思謹)의 외손자이고 안사흠(安士欽)의 사위이다.
광해군 시대의 활동
44세이던 1611년(광해군3)에 과거에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에 선발되어 한림(翰林)의 후보자로 추천되었는데, 권신 이이첨(李爾瞻)이 자기편에 가담하지 않는다고 한림의 추천자 명단에서 삭제해버렸다. 1618년(광해군10)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 이이첨 등이 백관들에게 대궐의 뜰에 나가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를 요청하는 정청(庭請)을 강요했으나 그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 뒤 전적(典籍)으로 옮겼다가, 광해군 말엽 후금(後金)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평안도 지방이 소란할 때에 평안도독운사(平安道督運使)의 종사관이 되어 서북 변경으로 나갔다. 이후 시사(時事)가 어지러운 것을 보고 가족을 거느리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인조 시대의 활동
1623년(인조1)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곧바로 정언(正言)에 발탁되었다. 1624년(인조2) 장령(掌令)에 임명되어, 필선(弼善) · 사간(司諫) · 집의(執義) · 사예(司藝) · 사성(司成)을 거쳐, 군자감(軍資監) · 상의원(尙衣院) · 군기시(軍器寺) · 종부시(宗簿寺) · 사복시(司僕寺)의 정(正)을 역임하였다. 1626년(인조4)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진하여, 길주목사(吉州牧使)로 나가서 북방 지방을 다스렸다. 1629년(인조7) 동부승지에 발탁되어, 호조 참의 · 형조 참의를 거쳐, 해주목사(海州牧使) · 여주목사(驪州牧使)로 나갔다가 1632년(인조10) 좌부승지에 임명되었다. 1636년(인조14) 아산(牙山)의 농장으로 물러가서 은거하다가, 1638년(인조16) 향년 71세로 돌아갔다.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기도 파주(坡州) 천점(泉岾) 동쪽 길경촌(桔梗村)에 있으며, 정두경(鄭斗卿)이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인조실록(仁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 『응천일록(凝川日錄)』
- 『창석집(蒼石集)』
- 『오리집(梧里集)』
- 『운천집(雲川集)』
- 『우복집(愚伏集)』
- 『계곡집(谿谷集)』
- 『명재집(明齋集)』